Netclass Grammar

SUBJUNCTIVE MOOD 가정법 문제

1

가정법 과거

 현재사실  과   반대의 일  을 나타내며   if절과 주절의 동사  는   과거형  이다.
If S +  과거동사  , S +   would  동사원형
 should 
  could  
  might  
be의 과거는 were이며 was는 쓸 수 없다.
If he helped me, I could have made a success. (X)
 만일 그가 나를 도왔다면, 나는 성공했을 텐데.
 could have made → could make
If it was not raining, I could go out. (X)
 만일 비가오지 않는다면 나는 외출할 수 있는데. 
 was → were

기출 5회

16. 국가직 7급

14. 지방직 7급

14. 경찰직 2차

12. 지방직 9급

10. 국회직 8급

3/5

1

우리말을 영어로 잘못 옮긴 것은?  (12. 지방직 9급)
그는 마치 자신이 미국 사람인 것처럼 유창하게 영어로 말한다.
 He speaks English fluently as if he were an American.
우리 실패하면 어떻게 하지?
 What if we should fail?
만일 내일 비가 온다면, 나는 그냥 집에 있겠다.
 If it rains tomorrow, I’ll just stay at home.
뉴턴이 없었다면 중력법칙은 발견되지 않았을 것이다.
 If it was not for Newton, the law of gravitation would not be discovered.

정답 & 해설

as if(마치 ~처럼)절에는 [가정법 과거가정법 과거완료]가 온다. 영문에서 as if절에 과거동사 were이 있으므로 가정법 과거이다. 가정법에서 be동사의 과거는 주어의 단/복수에 관계없이 were를 쓴다. 따라서 as if절에서 he 다음의 were는 옳다.
What if S + V는 [~라면 어떻하지] 뜻이다. What if는 What (would be the result) if에서 would be the result를 생략하고 관용적으로 쓰이는 표현이다.
조건부사절(If it rains tomorrow), 주절(I’ll just stay at home).
조건부사절에서는 미래에 will을 쓸 수 없고 그 대신에 현재동사를 쓴다. 영문에서 조건부사절에 tomorrow미래시간이므로 동사미래형이 와야 한다. 그런데 if절은 조건부사절이므로 will을 쓸 수 없고 현재동사rains를 쓴 것이다. 주의할 점은 조건부사절에서만 미래에 will을 쓰지 않을 뿐 주절에는 미래에 will을 쓴다. 따라서 주절에 I will은 올바르다. * I’ll = I will
가정법에서는 be동사의 과거로 was를 쓸 수 없고 단/복수에 관계없이 were를 쓴다. was → were
정답

2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16. 국가직 7급)
Hardly had the new recruits started training when they were sent into battle.
Disagreements over the treaty arose among the indigenous peoples of Africa.
If I had enough money, I would have bought a fancy yacht.
Do you want me to come with you, or do you want to go alone?

정답 & 해설

신병들은 훈련을 시작하자마자 전쟁터로 보내졌다.
조약에 대한 반대가 아프리카 토착민들 사이에서 일어났다.
만일 내가 충분한 돈만 있었다면, 내가 좋아하는 요트를 구매했을 텐데.
당신은 내가 당신과 함께 가기를 원합니까, 혼자 가기를 원합니까?
  
해설조건절(If I had enough money), 주절(I would have bought a fancy yacht).
조건절가정법 과거(had)이고 주절가정법 과거완료(would have bought)이다. 문맥상 두 절은 같은 시간에 발생한 일이므로 두 절의 시간(시제)을 일치시켜야 한다. [would have bought → would buy] or [had → had had]
정답
2

가정법 과거완료

 과거사실  과   반대의 일  을 나타내며   if절과 주절의 동사  는   과거완료  이다. 조건절과 주절의 위치는 바뀔 수 있다.
If S +   had p.p.  , S +   would    have p.p. 
 Had  + S +   p.p.   should 
  could  
  might  
if절과 주절의 동사는 과거완료이다.
I could have gone abroad if I have been rich. (X)
 만일 내가 부자였더라면, 나는 해외에 갔었을 텐데.
 have been → had been
Had I been rich, I could have gone abroad.
 만일 내가 부자였더라면, 나는 해외에 갔었을 텐데.

기출 10회

19. 국회직 8급

17. 지방직 9급

15. 국가직 7급

15. 지방직 7급

13. 서울시 9급

13. 국가직 7급

12. 국가직 7급

11. 국가직 9급

10. 지방직 9급

10. 국회직 8급

3/5

1

어법상 ㉡과 ㉢에 들어가기 가장 적절한 표현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5. 서울시 9급)
 

In books I had read-from time to time, when the plot called for it – someone would suffer from homesickness. A person would leave a not so very nice situation and go somewhere else, somewhere a lot better, and then long to go back where it was not very nice. How impatient I would become with such a person, for I would feel that I was in a not so nice situation myself, and how I wanted to go somewhere else. But now I, too, felt that I wanted to be back where I came from. I understood it, I knew where I stood there. If I (㉡)to draw a picture of my future then, it(㉢) a large gray patch surrounded by black, blacker, blackest.

  
would have, were
had had, would have been
would have, was
have had, would be

정답 & 해설

해석내가 가끔 읽었던 책에서, 줄거리가 그것(향수병)을 필요할 때, 누군가 향수병에 시달리곤 했다. 사람은 별로 좋지 않은 상황을 떠나 다른 곳으로 가고, 훨씬더 나아진 어딘가, 그리고 나서 그다지 좋지 않은 곳 으로 돌아 가기를 갈망한다. 나는 그런 사람과 어울리는 것이 얼마나 참을성이 없었는지, 왜냐하면 나는 나 자신이 별로 좋지 않은 상황에 처한 것처럼 느껴졌기 때문이다. 그리고 나는 얼마나 어딘가에 가고 싶었던가. 그러나 이제는 나도 역시 내가 왔던 곳으로 돌아가고 싶다고 느꼈다. 나는 그것을 이해했다, 나는 내가 거기에 서있는 것을 알았다. 만일 그때 내가 내 미래의 사진을 그렸다면, 그것은 검은 색, 더 검은 색, 가장 검은 색으로 둘러싸인 커다란 회색 조각이었을 텐데.
해설 
If I had had ~ then,
가정법 절의 동사는 시간표시어 보다 하나 과거로 표현한다. 이 규칙을 적용하면 then(과거 그때)은 과거이므로 가정법 동사이것보다 하나 더 과거대과거(=과거완료)이어야 한다. 따라서 had had가 올바르다. had had에서 첫째 had조동사이고 둘째 had는 목적어를 취하는 본동사이다. had가 2개 나란히 있어도
그 역할이 다르므로 틀린 것이 아니다.
If I had had ~then, it  would have been ~.
문장의 의미를 고려해보면 조건절주절같은 시간에서의 일이므로 두 절의 시제같다조건절과거완료이므로 빈 곳도 과거완료would have been이 옳다.
정답

2

우리말을 영어로 가장 잘 옮긴 것은? (15. 지방직 7급)
 
Jenny가 2월 28일까지 지원을 했더라면, 대학교는 봄 학기에 그녀를 받아들였을 텐데.
  
When Jenny entered the university, it was not until she applied by February 28.
Jenny’s application to the university for the spring semester should have been accepted by February 28.
If Jenny had applied by February 28, the university would have accepted her for the spring semester.
If Jenny could apply by February 28, the university would accept her for the spring semester.

정답 & 해설

해설우리말은 가정법 과거완료 형식이다. 가정법 과거완료는 [If S + had p.p., S + 조동사 과거 + have p.p.]이다. 이 형식과 일치하는 것은 ③번이다.
정답
3

가정법 미래

If S +  were to  do , S +   would    동사원형 
  should   should 
  could  
  might  
if S + should do는 실현 가능한 미래를 나타낼 때 쓰인다.
 실현가능한 미래  의   주절  에는   will, shall, can, may  를 쓸 수 있다.
if S + were to do는 실현불가능한 미래를 나타낼 때 쓰인다.
If I were to be born again, I would marry her.
 만일 다시 태어난다면, 나는 그녀와 결혼할 텐데.
If I should fail, I would [will] go into business.
 만일 내가 실패하면, 나는 사업을 할 것이다.

기출 5회

18. 서울시 9급

15. 기상직 9급

11. 경찰직 2차

10. 국회직 8급

08. 지방직 7급

2/5

1

다음 밑줄 친 대목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표현은? (11. 경찰직 2차)
 
Margaret wouldn’t believe Fred again if the sun (           ) to rise in the west, because he told her too many lies.
 
iswere
had beenhas been

정답 & 해설

해석Margaret은 비록 태양이 서쪽에서 뜬다 할지라도 다시는 Fred를 믿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가 그녀에게 너무나 많은 거짓을 말했기 때문이다.
해설태양이 서쪽에서 뜬다는 것은 [실현 불가능한 미래]이다. [실현 불가능한 미래]에는 [ if S + were to do ]를 쓴다. 따라서 빈칸에는 were이 들어가야 한다.
정답
4

if의 생략

 가정법  에서   if  가 생략되면 if절은   동사 + 주어  의 순서로   도치  된다.
If   S   +   should   Should   S 
If   S   +   were   Were   S 
If   S   +   had p.p.    Had    S   +   p.p. 
Were I rich, I could buy a car.
 만일 내가 부자라면, 나는 차를 살 수 있는데.
Should it be fine tomorrow, I would go out.
 내일 날씨가 좋다면, 나는 외출할 것이다.
Had I had time, I could have done it.
  시간만 있었다면, 나는 그것을 했을 텐데.

기출 8회

18. 지방직 9급

18. 국회직 9급

18. 경찰직 2차

17. 경찰직 2차

14. 서울시 9급

13. 국가직 7급

12. 국가직 7급

11. 국가직 9급

4.5/5

1

다음 빈칸에 들어갈 표현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8. 경찰직 2차)
 
Rachel impressed her superiors so much that __________ a position available, they would have promoted her immediately.
    
had been there had been
had there beenif there were

정답 & 해설

해석레이첼은 그녀의 상사에게 많은 감명을 주었고, 만일 이용가능한 자리가 있으면 즉시 그녀를 승진시켰을 텐데.
해설 
조건절(had + been + a position ↖ available), 주절(they would have promoted ~ ).
had been이 들어가면 조건절의 주어가 없다. 따라서 had been은 부적합하다.
조건절(there + had been + a position ↖ available), 주절(they would have promoted ~).
there had been이 들어가면 절이 2개이다. 절이 2개이면 접속사가 1개 있어야 한다. 그런데 접속사가 1개 없다. 따라서 there had been은 부적합하다.
조건절(had + there + been + a position ↖ available), 주절(they would have promoted ~)
가정법은 조건절 동사와 주절 동사의 시제는 같다. 주절의 would have promoted는 [가정법 과거완료]이다. 따라서 빈 곳은 가정법 과거완료의 조건절이 되어야 한다. 가정법 과거완료의 조건절은 [If S had + p.p. = Had + S + p.p.]이다. 이 기준에 부합하는 것은 had there been이다.  
조건절(if there + were + a position available), 주절(they would have promoted ~)
빈 곳에 If there were이 들어가면 가정법 과거가 되고, 주절가정법 과거완료이다. 가정법은 주절과 종속절 동사의 시제가 같아야 한다. 따라서 조건절과 주절의 시제가 달라서 If there were은 안된다.
정답

2

어법상 빈칸에 들어가기에 적절한 것은? (14. 서울시 9급)
 
(              ) test positive for antibiotics when tanker trucks arrive at a milk processing plant, according to the Federal Law, the entire truckload must be discarded.
    
Should milkIf milk
If milk is Were milk
Milk will  

정답 & 해설

해석탱크로리 트럭이 우유 가공 공장에 도착했을 때, 우유가 항생물질에 대한 양성 반응이 나오면, 연방법에 따라 트럭에 실린 화물 전체가 버려져야 한다.
해설 
조건절(Should + milk + test + ~), 주절(the entire truck load + must be discarded).
[동사 + 주어]로 시작하는 절은 [if가 생략된 가정법]이다.
Should milk는 [if가 생략된 가정법]이다. 가정법 미래에서 주절은 [가정법]과 [직설법] 모두 쓰인다. must be직설법이다.
If milk가 들어가면 주어가 3인칭 단수이므로 tests로 되어야 한다.
가정법에서 조건절동사원형을 쓰는 것은 관용적 [고어적, 시적] 표현 외에는 오늘날 직설법 현재동사를 쓴다.
If milk is가 들어가면 동사가 2개(is, test)가 되어서 안 된다.
Were milk가 들어가면 동사가 2개(were, test)가 되어서 안 된다.
Milk will이 들어가면 동사가 2개(will, must )가 되어서 안 된다.
정답
5

wish + 가정법

 wish that   다음은   가정법 과거  나   가정법 과거완료  가 온다.
 I wish(ed)  that S +   과거동사  가정법 과거
that S +   had p.p.  가정법 과거완료
~라면 좋을 텐데
wish (that) 다음의 be동사는 were이지만 구어에서는 was를 쓰기도 한다.
과거동사는 wish(ed)와 같은 시간에 일어난 일이다.
had p.p.는 wish(ed)보다 먼저 일어난 일이다.
wish (that) S + would/ could도 가능하다.
that절에는 현재동사, have + p.p., has + p.p.를 쓸 수 없다.
I wish that I will have a car. (X)
 나는 차가 있으면 좋을 텐데. 
 will have → had
I wish I am on vacation now. (X)
 나는 지금 방학 중이라면 좋을 텐데. 
 am → were
I wish I had studied biology.
 나는 생물학을 공부했으면 좋을 텐데.

기출 5회

17. 기상직 9급

16. 서울시 7급

10. 국가직 9급

10. 국가직 7급

08. 지방직 7급

3/5

1

우리말을 영어로 잘못 옮긴 것을 고르시오.  (10. 국가직 7급)
그는 여행하는 동안 어디에서 머물지 결정하지 않았다.
 He hasn’t decided where to stay during his trip.
그녀는 살을 빼기 위해 점점 더 적게 먹기 시작했다.
 She started to eat less and less to lose weight.
민지네 가족은 벌써 파리로 이사갔니?
 Has Minji’s family moved to Paris yet?
우리가 지금 방학 중이라면 좋을 텐데.
 I wish that we are on vacation now.

정답 & 해설

해설I wish 다음 절에는 가정법 과거과거완료가 오며, 현재동사는 올 수 없다. are → were
정답

2

다음 우리말을 영어로 옮긴 것으로 가장 옳은 것은? (10. 국가직 9급)
우리가 작년에 그 아파트를 구입했었더라면 얼마나 좋을까.
  
I wish we purchased the apartment last year.
I wished we purchased the apartment last year.
I wish we had purchased the apartment last year.
I wished we had purchased the apartment last year.

정답 & 해설

해설I wish + 가정법
I wish는 직설법이며 wish의 목적어는 가정법이 온다. 우리말인 [우리가 작년에 그 아파트를 구입했었더라면 얼마나 좋을까.]에서 말하는 시점현재이다. 따라서 직설법을 표시하는 I wish에서 wish현재동사이어야 한다. I wish 다음가정법 과거과거완료가 온다. [가정법에서 동사는 시간표시어보다 하나 과거]로 한다. last year과거이므로 동사하나더 과거인 과거완료(had purchased)가 옳다. I wish we had purchased the apartment last year.
정답

3

다음 중 표현상 올바르지 않은 것은? (17. 기상직 9급)  
I wish I will use my imagination earlier.  
In Australia, donating is not a special but an ordinary act.  
Tom might have been like that throughout his life, had he not found his son.  
It is necessary that the language in any advertising campaign be examined carefully.

정답 & 해설

해석 
나는 더 일찍 내 상상력을 이용하면 좋을 텐데.
호주에서 기부는 특별한 것이 아니라 일상적인 행위이다.
만일 톰이 그의 아들을 찾지 못했다면, 톰은 평생 동안 그처럼 했을 텐데.
모든 광고 캠페인의 언어는 신중하게 검토될 필요가 있다.
해설 
I wish 다음은 [가정법 과거]나 [가정법 과거완료]가 온다. 따라서 will이 온 것은 잘못이다.
had he not found his son은 if가 생략된 조건절이다.
necessary는 [판단형용사]이며 [It be 판단형용사 that S (should) + 동사원형]으로 쓰인다. should생략이 가능하다.
정답
6

혼합 가정법

 가정법  에서   현재시간부사  가 오면 동사는   과거  가 오고   과거시간부사  가 오면 동사는   과거완료  가 온다.
주어 +   과거동사    ⟵  현재시간 부사 
주어 +   과거완료    ⟵  과거시간 부사 
가정법에서 동사의 시간(시제)은 시간부사의 시간보다 하나 더 과거이다.
If I had money at that time, I would have lent it to you. (X)
 그때 돈이 있었다면, 너에게 돈을 빌려줬을 텐데
 had → had had
If he had not died in the war, he would be forty now.
 전쟁에서 죽지 않았다면 그는 지금 40일 텐데.

기출 11회

20. 지방직 9급

17. 국가직 9급

15. 서울시 9급

14. 경찰직 2차

12. 경찰직 3차

12. 지방직 9급

10. 지방직 9급

10. 국가직 9급

10. 국회직 8급

08. 지방직 7급

08. 국가직 7급

5/5

1

우리말을 영어로 잘못 옮긴 것을 고르시오.  (17. 국가직 9급)
이 편지를 받는 대로 곧 본사로 와 주십시오.
 → Please come to the headquarters as soon as you receive this letter.
나는 소년 시절에 독서하는 버릇을 길러 놓았어야만 했다.
 → I ought to have formed a habit of reading in my boyhood.
그는 10년 동안 외국에 있었기 때문에 영어를 매우 유창하게 말할 수 있다.
 → Having been abroad for ten years, he can speak English very fluently.
내가 그때 그 계획을 포기했었다면 이렇게 훌륭한 성과를 얻지 못했을 것이다.
 → Had I given up the project at that time, I should have achieved such a splendid result.

정답 & 해설

해설 
as soon as절은 시간부사절이다. 시간부사절에는 미래에 will을 쓰지 않고 현재동사를 쓴다. 따라서 receive는 옳다.
should have p.p. = ought to have p.p. = ~했어야 했는데[하는데] (실제로는 하지 않았다)
분사구문(Having been abroad for ten years), 주절(he can speak English very fluently).
Having p.p.주절 동사의 시제보다 한 시제 앞선다. 외국에 10년 동안 있었던 일이 영어를 유창하게 말하는 것보다 앞선 시제이다. 따라서 Having been abroad ~는 올바르다.
[내가 그때 그 계획을 포기했었다면]는 과거의 일이고 [이렇게 훌륭한 성과를 얻지 못했을 것이다]는 현재의 일이다. 두 절의 시간이 다르다. 그런데 두 절 모두 과거완료로 되어 있어서 잘못되었다. 가정법에서는 시간부사보다 동사의 시간이 하나 더 과거로 표현된다. at that time(그때)은 과거이므로 동사는 하나 더 과거인 had given으로 표현된 것은 옳다. 주절은 현재의 일이다. 현재의 일을 가정법으로 표현하면 가정법과거가 된다. Had I given up the project at that time은 If가 생략된 가정법이다.
I should have achieved → I should not achieve
정답

2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10. 지방직 9급)
Many studies ①have shown the life – saving value of safety belt. When accidents ②occur, most serious injuries and deaths are ③caused by people being thrown from their seats. About 40 percent of those killed in bygone accidents ④would be saved if wearing safety belts. 

정답 & 해설

해석많은 연구는 안전 벨트의 생명 구조의 가치를 보여줘 왔다. 사고가 발생 했을 때, 대다수 심각한 부상과 사망은 그들의 좌석에서 튕겨져 나온 사람들에 의한 것이다. 지난날 사고에서 사망한 사람들 중에서 약 40%는 만약 안전 벨트를 착용했었다면 구조되었을 것이다.
해설 
Many studies가 복수이므로 복수동사인 have가 온 것은 올바르다. 일반동사의 복수형은 <동사원형>이다.
occur(발생하다)은 자동사이다. accidents복수이므로 복수동사 occur은 옳다.
cause(~를 야기하다)의 수동태는 be caused by(~이 야기되다)이다. are caused는 수동태로서 구조나 문맥상 의미가 옳다. 
주절[About 40 percent of those ↖ killed in bygone accidents + would be saved] 분사구문의 조건절[if wearing safety belts].
가정법 절의 동사는 시간표시어 보다 하나 더 과거이다. killed in bygone accidents(지난 사고에서 사망한)는 [과거의 사건]이므로 동사하나 더 과거인 [과거완료]이어야 한다. 그런데 would be saved과거이므로 잘못이다. if they had been wearing safety belt = If (they had been) wearing safety belt. would be saved → would have been saved
정답

3

다음 빈칸에 순서대로 들어갈 말로 가장 옳은 것은? (12. 경찰직 3차)
  
내가 학교 다닐 때 중국어를 배웠더라면, 이 문장이 무슨뜻인지 이해할 수 있을 텐데.
→ If I (        ) Chinese when I (        ) at school, I (        ) what this sentence means now.
  
had studied, had been, could have understood
studied, was, could have understood
had studied, was, could understand
studied, had been, could understand

정답 & 해설

해설
If절:

가정법에서는 동사만 가정법으로 표시되고 [목적절, 부사절, 시간부사]는 직설법으로 되어 있다. 이런 이유로 [가정법 절의 동사시간표시어보다 하나 더 과거]로 표시된다. when절시간부사절이므로 직설법적용된다. 우리말에서 [학교 다닐 때는] [과거]이므로 when절은 was가 옳다. when절이 [과거]이므로 가정법절의 동사는 이보다 하나 더 과거인 [과거완료] had studied가 옳다. had studied, was

주절:
목적절인 what this sentence means now에서 meansnow가 [현재]이므로 가정법의 동사는 이 시제보다 하나 더 과거가 들어가면 된다. 따라서 빈곳은 could understand가 옳다.

정답
7

It is time

 It is (high, about) time   다음은 가정법   과거동사  나   should  가 온다.
 It is time   +  (that)   S +   과거동사 
 (that)   S +    should  
(for + 목적어) + to do
 ~해야할 때이다  
It is time I went to bed.
 나는 잠자러 가야 할 시간이다.
It is timeshould go to bed.
 나는 잠자러 가야 할 시간이다.

기출 1회

09. 지방직 9급

1/5

1

어법상 밑줄 친 곳에 가장 적절한 것은? (09. 지방직 9급 )
 
Our failure to provide full security to the American people has shaken the nation devastated by this terrible carnage and has stunned the whole world. It is high time that we (        ) our foreign policy in the Middle East.
    
have reviewed review
reviewedare reviewed

정답 & 해설

해설

미국인들에게 충분한 보안을 제공하는 데 대한 우리의 실패는 이 끔찍한 대학살에 의해 황폐화된 나라를 흔들어 왔으며 그리고 전 세계를 놀라게 했다. 우리는 중동에서 우리의 외교 정책을 정밀하게 살펴봐야 할 때이다.

It is high time that 다음은 [가정법 과거동사]나 should가 온다.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