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class
Grammar
NOUN 명사 문제
1
가산명사의 특징
• | 셀 수 있는 명사 를 말한다. |
• | a, an 을 붙일 수 있다. 예) a boy |
• | 수사 를 붙일 수 있다. 예) two boys |
• | 복수형 이 가능하다. 예) boys |
• | 단독으로 쓰일 수 없고 한정사 와 함께 쓰인다. 예) this boy |
기출 1회
12. 국가직 9급
☆☆☆☆☆ 3/5
1
다음 중 어법상 옳은 것은? (12. 국가직 9급) | |
① | She felt that she was good swimmer as he was, if not better. |
② | This phenomenon has described so often as to need no further clichés on the subject. |
③ | What surprised us most was the fact that he said that he had hardly never arrived at work late. |
④ | Even before Mr. Kay announced his movement to another company, the manager insisted that we begin advertising for a new accountant. |
정답 & 해설
해석 | |
① | 그녀는 더 좋지는 않지만 그 사람만큼 훌륭한 수영 선수라고 생각했다. |
② | 이 현상은 그 주제에 대해 더 이상 진부한 표현이 필요 없을 정도로 자주 묘사되어 왔다. |
③ | 우리를 가장 놀라게 한 것은 그가 늦게 직장에 도착한 적이 것의 없다는 사실이었다. |
④ | Kay씨가 다른 회사로 이직을 발표하기 전에, 그 관리자는 새로운 회계사 광고를 시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해설 | |
① | swimmer는 [가산명사]이다. [가산명사]는 [한정사 + 가산명사, 복수명사]로 쓰인다. good swimmer → a good swimmer |
② | 타동사의 목적어는 능동태 다음과 수동태 앞에 온다. describe(묘사하다)는 타동사의 능동태인데 그 다음에 목적어가 없으므로 잘못이다. 타동사의 능동태 다음에 목적어가 없으면 타동사를 수동태로 바꾼다. has described → has been described |
③ | hardly(거의 ~않다)는 준부정어로 이중부정을 할 수 없다. hardly never는 [이중부정]이다. hardly never → hardly |
④ | 충고 [주장, 제안, 명령, 요구] 동사 + that S + (should) 동사원형 insisted that we 다음에 begin은 [동사원형]으로 올바르다. |
정답 | ② |
2
가족단위 잡합체
가족단위 집합체 가 주어일 때 동사 이하의 내용 이 개별적인 행위 가 없으면 단수동사 , 개별적인 행위 가 있으면 복수동사 가 온다. |
✱ 개별적 행위 : 구성원을 하나의 집단으로 취급하지 않고 개별적으로 취급하는 행위를 말한다. |
• | Team | ||
• | Committee | ||
• | Group | ||
• | Family | + | 단수동사 + 개별적 행위 없음 |
• | Jury (배심원) | 복수동사 + 개별적 행위 있음 | |
• | Class (학급) | ||
• | Audience | ||
• | Crew | ||
• | Staff |
• | This team consists of six. |
이 팀은 6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 |
동사 이하의 내용이 구성원의 개별적인 행위가 언급되지 않았으므로 단수동사가 왔다. | |
• | This team usually work late on Fridays. |
이 팀은 보통 금요일 늦게까지 일한다. | |
일하는 것은 개별적인 행위이므로 복수동사가 왔다. |
기출 2회
12. 지방직 9급
19. 경찰직 1차
☆☆☆☆☆ 1.5/5
1
어법상 옳은 것은? (12. 지방직 9급) | |
① | Without plants to eat, animals must leave from their habitat. |
② | He arrived with Owen, who was weak and exhaust. |
③ | This team usually work late on Fridays. |
④ | Beside literature, we have to study history and philosophy. |
정답 & 해설
해석 | |
① | 먹을 식물이 없다면, 동물은 서식지에서 떠나야 한다. |
② | 그는 Owen과 함께 도착했는데, 그는 약하고 쇠약해져 있다. |
③ | 이 팀은 보통 금요일에 늦게까지 일한다. |
④ | 문학과 더불어, 우리는 역사와 철학을 연구해야 한다. |
해설 | |
① | start from = leave = 떠나다. leave from → leave |
② | exhaust(다 써버리다, 기진맥진하게 만들다)는 보어 자리이다. 보가 될 수 있는 것은 형용사나 명사이다. exhaust는 동사이므로 보어가 될 수 없다. [동사+ing /동사+ed]는 분사(=형용사)이다. exhaust → exhausted(기진맥진한, 다 써버린) |
③ | 집합명사는 [구성원의 개별적 행위가 언급]되면 복수로 취급하고, [구성원의 개별적 행위가 언급되지 않으면] 단수로 취급된다. team은 집합명사이다. [일하는 것은 구성원의 개별적 행위]이므로 team은 복수로 취급된다. 따라서 복수동사인 work가 온 것은 옳다. |
④ | beside(곁에)는 besides(게다가, 더하여, ~에 덧붙여서)가 되어야 문맥상 의미가 맞다. beside → besides |
정답 | ③ |
3
물질명사
불가산명사 이며 일정한 모양이나 한계가 없어서 셀 수 없는 물질로 된 명사 이다. |
• | water | 물 |
• | Latin | 라틴어 |
• | food | 음식 |
• | paper | 종이 |
• | cash | 현금 |
• | money | 돈 |
• | bread | 빵 |
✱ waters = (물이 고여 있는) 바다/호수/강,흐르는 물, 홍수 | ||
✱ fatty foods(기름진 음식)처럼 특정 식품은 가산명사로 쓰인다. |
• | He is in a hot water. (X) |
그는 곤경에 처해있다. | |
in a hot water → in hot water(곤경에 처한) | |
• | He ate so many processed foods. |
그는 매우 많은 가공식품을 먹었다. |
기출 3회
17. 지방직 9급
15. 서울시 9급
07. 국가직 9급
☆☆☆☆☆ 2/5
1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15. 서울시 9급) | |||
The cartoon character SpongeBob SquarePants is ①in a hot water from a study ②suggesting that watching just nine minutes ③of that program can cause short-term attention and learning problems ④in 4-year-olds. |
정답 & 해설
해석 | 만화 캐릭터인 SpongeBob SquarePants는 단지 그 프로그램의 10분 시청으로도 4세 아이들에게 단기 집중력과 학습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한 연구로 인해 곤경해 쳐해있다. |
해설 | |
① | a, an은 단수가산명사와 결합한다. water은 불가산명사이다. in a hot water → in hot water |
② | suggest는 동사의 뜻에 따라 목적어로 오는 that절 동사의 형태가 달라진다. suggest(제안하다) that S + (should) 동사원형 suggest(암시하다, 넌즈시 말하다) that S + 동사 이 영문에서 suggest는 [암시하다, 넌즈시 말하다]의 뜻으로 쓰였다. 이때 that절의 동사는 should가 아닌 그외의 동사가 올 수 있다. 따라서 올바른 문장이다. |
③ | that program에서 that은 The cartoon ~ SquarePants을 대신해서 쓰였다. The cartoon ~ SquarePants은 단수이므로 단수형 that은 옳다. that의 수식을 받는 program도 단수이므로 이 또한 옳다. |
④ | old는 형용사 뿐만 아니라 명사로도 쓰인다. [수사 – year – old]는 복합명사로서 [~살 된 사람/동물]를 뜻한다. 4 – year – olds는 [4살된 아이들]을 뜻하며 복합명사로서 in의 목적어이다. |
정답 | ① |
4
추상명사
불가산명사 이며 구체적인 형태가 없어서 만질 수 없는 명사 이다. |
• | advice | 충고 | |
• | homework | 숙제 | |
• | information | 정보 | |
• | news | 뉴스 | |
• | weather | 날씨 | |
• | wisdom | 지혜 | |
• | evidence | 증거 |
• | I had to do many homeworks. (X) |
나는 많은 숙제가 있었다. | |
many homeworks → much homework | |
• | I need an advice for my business. (X) |
나는 사업상 조언이 필요하다. | |
an advice → advice |
기출 6회
18. 국회직 9급
17. 교행직 9급
13. 지방직 9급
12. 지방직 7급
10. 국가직 7급
09. 지방직 9급
☆☆☆☆☆ 3/5
1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13. 국가직 9급) | |
① | George has not completed the assignment yet, and Mark hasn’t either. |
② | My sister was upset last night because she had to do too many homeworks. |
③ | If he had taken more money out of the bank, he could have bought the shoes. |
④ | It was so quiet in the room that I could hear the leaves being blown off the trees outside. |
정답 & 해설
해석 | |
① | 조지는 아직 임무를 완수하지 않았으며, 마크도 역시 하지 않았다. |
② | 나의 언니는 너무 많은 숙제를해야만 했기 때문에 어젯밤에 언니는 화가났다. |
③ | 만약 그가 은행에서 더 많은 돈을 인출했다면, 그는 신발을 구입할 수 있었을텐데. |
④ | 방안이 너무나 조용해서 나는 밖에서 나뭇잎이 흩날리는 소리를 들을 수 있었다. |
해설 | |
① | hasn’t 다음은 completed the assignment가 생략됐다. [역시]라는 표현에는 too, either이 있다. too는 긍정절에, either은 부정절에 쓰인다. |
② | homework(숙제, 공부)는 불가산명사이다. 불가산명사는 복수형이 안된다. many(많은)는 복수가산명사에 쓰이고 much는 불가산명사에 쓰인다. many homeworks → much homework |
③ | 가정법 과거완료(If S + had p.p., S + 조동사 과거 + have p.p.) 문장이다. more은 비교급이다. 비교급 다음은 [than + 비교대상]은 오지 않을 수 있다. 이런 비교급을 절대비교급이라 한다. |
④ | [so + 형용사 + that절]로 된 문장이다. 지각동사 hear은 [hear + 목적어 + 동사원형/분사]의 형식으로 쓰인다. hear the leaves being blown이 맞는지는 목적어와 분사 사이에 be동사를 넣어보면 된다. [the leaves (are) being blown (잎들이 바람에 날려 지고 있다)]는 문맥상 의미가 맞다. |
정답 | ② |
5
수, 양 표시어
• | few (거의 없는, 소수의) | + 복수명사 |
• | many (많은) | |
• | a number of (많은) | |
• | little (거의 없는, 조금의) | + 불가산명사 |
• | much (많은) | |
• | a deal of (많은) | |
• | an amount of (많은) | |
• | a lot of (많은) | + 복수 / 불가산명사 |
• | lots of (많은) | |
• | plenty of (많은) |
• | A great deal of books on the shelf were written in English. (X) |
선반 위의 많은 책들이 영어로 쓰여졌다. | |
book은 가산명사의 복수형이다. | |
A great deal of → A good number of |
기출 21회
20. 지방직 7급
18. 지방직 9급
18. 서울시 9급
17. 국가직 9급
17. 교행직 9급
17. 국회직 8급
16. 국가직 9급
16. 국가직 7급
16. 기상직 9급
15. 기상직 9급
15. 서울시 9급
14. 기상직 9급
14. 국가직 9급
13. 국가직 9급
12. 국가직 9급
12. 경찰직 2차
12. 경찰직 3차
11.국회직 9급
09. 국회직 9급
08. 지방직 7급
07. 국가직 9급
05. 국회직 8급
☆☆☆☆☆ 5/5
1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07. 국가직 9급) | |||
Some of the notebooks that George Washington kept ①as a young man are still ②in existence, and they show that he learned ③a few Latin and that he ④acquired some of the basic elements of good conduct. |
정답 & 해설
해석 | 조지 워싱턴이 젊었을 때 가지고 있던 노트들 중에서 몇 권이 여전히 존재한다. 그리고 그것들은 그가 약간의 라틴어를 배웠으며, 그리고 훌륭한 행동의 기본적인 요소들 중 일부를 배웠음을 보여준다. |
해설 | Latin(라틴어)는 불가산명사이다. a few → a little |
정답 | ③ |
2
Choose the sentence which is not grammatically correct. (05. 국회직 8급) | |
① | They each spent one million dollars on the election. |
② | Fred and Jim have both won a prize. |
③ | All the students in my school are studying English. |
④ | A great deal of books on that shelf were written in English. |
⑤ | Many of the students in our class are very smart. |
정답 & 해설
해석 | ① 그들은 각각 선거에 100만 달러를 썼다. ② 프레드와 짐 둘다 상을 받았다. ③ 저의 학교의 모든 학생들은 영어를 공부하고 있다. ④ 그 선반에 관한 많은 책들이 영어로 쓰여졌다. ⑤ 수업 시간에 많은 학생들이 매우 똑똑하다. |
해설 | a great deal of 다음에는 불가산명사가 온다. 그런데 가산명사인 books가 왔으므로 잘못이다. a great deal of → a number of |
정답 | ④ |
6
명사의 전환
불가산명사 | 가산명사 | ||
• | fire (불) | – | a fire (화재) |
• | beer (맥주) | – | a beer (맥주 한 잔) |
• | tea (차) | – | two teas (차 두 잔) |
• | authority (권위) | – | authorities (당국) |
• | coffee (커피) | – | a coffee (커피 한 잔) |
• | paper (종이) | – | a paper (서류, 신문, 논문) |
• | success (성공) | – | a success (성공한 사람) |
• | rain (비, 빗물) | – | rains (소나기, 장마, 강우) |
• | The building was destroyed in a fire. |
빌딩이 화재로 소실되었다. | |
• | I want to have a beer. |
나는 맥주 한 잔 하고 싶다. |
기출 6회
18. 지방직 9급
15. 지방직 7급
14. 서울시 7급
13. 지방직 7급
11. 지방직 7급
10. 국가직 7급
☆☆☆☆☆ 3/5
1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10. 국가직 7급) | |
① | I want to have a beer. |
② | Are all the cattle in? |
③ | I need an advice for my business |
④ | I really need some money. |
정답 & 해설
해석 | |
① | 나는 맥주를 마시고 싶다. |
② | 모든 소들이 안에 들어 있니? |
③ | 나는 사업에 대한 조언이 필요하다. |
④ | 나는 정말로 돈이 필요하다. |
해설 | |
① | beer가 「맥주」를 뜻하면 불가산명사이지만 「맥주 한잔」을 뜻하면 가산명사이다. have a beer = 맥주 한 잔 마시다 |
② | in(안에, 안으로, 들어와, 집에 있어)은 부사로 쓰였다. |
③ | advice는 불가산명사이다. 불가산명사에는 a(n)를 붙일 수 없다. an advice → a piece of advice |
정답 | ③ |
7
-ful로 끝나는 명사
-ful 은 형용사 형 접미사 인데 명사 형 접미사 로도 쓰인다. |
• | spoonful | [명] 한 숟갈 가득 |
• | handful | [명] 한 줌 가득 |
• | mouthful | [명] 한 입 가득 |
• | cupful | [명] 컵에 가득 |
• | I put spoonful sugar. (X) |
나는 설탕 한 숟가락을 넣었다. | |
3형식 문장에서 명사 2개(spoonful, sugar)를 나란히 둔 것은 잘못이다. | |
spoonful → a spoonful of |
기출 3회
16. 서울시 7급
15. 국가직 7급
12. 지방직 9급
☆☆☆☆☆ 1/5
1
우리말을 영어로 가장 잘 옮긴 것은? (15. 국가직 7급) | |||||
① | 이 가벼운 골프 카트는 접어서 내 차량 트렁크에 넣을 수 있다. | ||||
→This lightweight golf cart will fold and fit in the trunk of my car. | |||||
② | 아놀드는 새로운 사업 아이디어들을 가지고 있는 소수의 젊은이들 중 하나이다. | ||||
→Arnold is one of handful youngsters with ideas for a new business. | |||||
③ | 교육문제는 사회구성원들의 합의에 바탕을 두어 해결되어야 한다. | ||||
→Educational problems should solve upon the agreement of the society members. | |||||
④ | 그 강의 시리즈는 재무 문제를 다루는 데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다. | ||||
→The lecture series are intended for those who are not used to deal with financial issues. |
정답 & 해설
해설 | |
① | fold = 접다, 접히다. 이 문장에서 fold는 자동사로 쓰였으므로 동사 다음에 목적어가 필요없다. 이 영문은 올바르다. |
② | handful = [명] 한 움큼, 손에 그득, 소량, 소수. 소수를 뜻하는 handful은 명사이다. 형용사가 되어 명사인 youngsters를 수식하려면 a handful of가 되어야 한다. handful → a handful of |
③ | solve = 풀다, 해결하다. solve는 타동사이므로 그 다음에 목적어가 있어야 한다. 그런데 solve 다음에 목적어 없다. 타동사의 능동태 다음에 목적어가 없으면 수동태로 되어야 한다. solve → be solved |
④ | be used to do = ~하기 위해 사용되다 be used to ~ing = ~하는데 익숙하다. 우리말에서 [익숙하지 않은] 표현을 하려면 be used to ~ing 형식을 써야 한다. are not used to deal → are not used to dealing |
정답 | ① |
8
모음변화에 의한 복수
단수 | 복수 | ||
• | foot | – | feet (발) |
• | tooth | – | teeth (치아) |
• | goose | – | geese (거위) |
• | mouse | – | mice (생쥐) |
• | Monkeys use their foot to eat. (X) |
원숭이는 먹기위해 발을 사용한다. | |
원숭이의 발은 2개가 기본이므로 their 다음은 foot의 복수형이 와야 한다. | |
foot → feet |
기출 1회
05. 국회직 8급
☆☆☆☆☆ 0.5/5
1
Choose the sentence which is grammatically correct. (05. 국회직 8급) | |
① | Monkeys use their foot to eat, to gesture, and to climb. |
② | Any material that is attractive by a magnet is by definition “magnetic.” |
③ | About 150 years ago, Charles Darwin shocked the world with his theory that humans were relatively to apes. |
④ | One of the longest wars in history were the Hundred Year’s War, fought between England and France. |
⑤ | The word “scuba” is actually an acronym that comes from the words “self-contained underwater breathing apparatus.” |
정답 & 해설
해석 | |
① | 원숭이들은 먹고, 몸짓하고, 그리고 기어오르기 위해 그들의 발을 사용한다. |
② | 자석에 끌리는 어떤 물질도 정의상 「자성을 띤」 것이다. |
③ | 약 150년 전, 다윈은 인간은 원숭이와 가깝다는 자신의 이론으로 세상에 충격을 주었다. |
④ | 역사상 가장 길었던 전쟁 중의 하나는 영국과 프랑스 사이에서 벌어졌던 백년 전쟁이었다. |
⑤ | 스쿠버라는 단어는 실제로 「독립적인 수중 호흡 장치」라는 단어들에서 나온 두문자어이다. |
by definition= 정의상 relatively= 비교적 acronym =두문자어(머리글자로 된 말) self-contained= 말이없는, 독립적인 apparatus= 장치, 기구 | |
해설 | |
① | monkeys가 복수이므로 foot도 복수형이 와야 한다. foot → feet |
② | 물질은 자석에 끌리는 대상이므로 동작을 동반한 수동이어야 한다. attractive → attracted |
③ | be 다음은 보어가 온다. 부사(relatively)는 보어가 될 수 없다. relatively → close (or relative) |
④ | 주어가 one이므로 단수동사가 옳다. of the longest wars는 수식어구이다. were → was |
정답 | ⑤ |
9
외래어 복수
단수 | 복수 | ||
• | datum | – | data (자료) |
• | phenomenon | – | phenomena (현상) |
• | bacterium | – | bacteria (박테리아) |
• | memorandum | – | memoranda (메모) |
• | medium | – | media (통신기관) |
• | criterion | – | criteria(기준) |
• | stimulus | – | stimuli (자극) |
• | focus | – | foci (촛점) |
• | alumnus | – | alumni (남자졸업생) |
✱ data는 복수지만 물질명사로 단수 취급을 하기도 한다. 사회과학에서는 단수, 자연과학에서는 복수로 취급하는 경우가 흔하다. |
• | Where is the data that you gathered? (X) |
네가 모은 자료들은 어디에 있니? is → are |
기출 4회
17. 국회직 9급
12. 국가직 9급
08. 국회직 8급
06. 국회직 8급
☆☆☆☆☆ 1.5/5
1
Choose the under lined part which is not grammatically correct. (06. 국회직 8급) | |||
The data, ①which have been submitted ②for publication in ③the Astrophysical Journal, also ④confirms that the universe is not ⑤what it seems to human senses. |
정답 & 해설
해석 | 천체물리학 저널의 발행을 위해 제출된 그 자료는 우주는 인간의 감각에 보이는 것과 같지 않다는 것을 또한 확인시켜 준다. submit= 제출하다, 복종시키다 publication= 발표, 출판, 발행 astrophysical= 천체 물리학의 confirm= 확실히 하다, 확인하다 |
해설 | 주어인 The data는 복수이므로 복수동사(confirm)가 와야 한다. confirms → confir |
정답 | ④ |
10
단수와 복수 동형
percent , salmon , sheep , deer , head , species , series 는 단수 와 복수 가 같다 . |
단수 | 복수 | |
• | percent | = percent (퍼센트) |
• | salmon | = salmon(s) (연어) |
• | sheep | = sheep (양) |
• | deer | = deer (사슴) |
• | head | = head (머리) |
• | species | = species (종) |
• | series | = series (시리즈, 연속) |
✱ salmon의 복수형은 salmon, salmons 두 가지이다. |
• | Fares are increased by 5 percents. (X) |
임금은 5퍼센트 인상되었다. | |
5 다음은 복수명사가 온다. 명사를 두개(spoonful, sugar) 나란히 둔 것은 잘 못이다. | |
percents → percent |
기출 3회
15. 국가직 9급
12. 지방직 7급
05. 국가직 7급
☆☆☆☆☆ 1.5/5
1
아래 밑줄 친 것 중 문법적으로 틀린 것은? (05. 국가직 7급) | |||
The ①average salt ②content of seawater is ③more than three ④percents. |
정답 & 해설
해석 | 바닷물의 평균 소금의 농도는 4% 이상이다. seawater= 바닷물 content= 내용, 함유량, 산출량 |
해설 | percent는 단수와 복수의 형태가 같다. percents → percent |
정답 | ④ |
11
명사 + 명사
(숫자) – 단수명사 – (형용사) + 명사 |
✱ 명사 앞에 또 다른 명사가 올 때 숫자 다음의 첫째는 단수명사이다. |
✱ customs officer처럼 복수로만 쓰이는 명사는 “복수명사 + 명사“로 쓴다. |
✱ 소괄호( ) 안의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
• | He has a ten – year – old son. |
그는 10살 된 아들이 있다. | |
old = [형] ~살 된 | |
• | He is a ten – year old. |
그는 10살 된 사람이다. | |
old = [명] ~살 된 사람 | |
• | This is a TV program for ten – year – olds. |
이것은 10세용 TV 프로그램이다. | |
그는 세 살 난 어린애이다. | |
a three – year – old = [명] 세 살 난 어린애 |
기출 6회
19. 국가직 9급
18. 서울시 9급
15. 서울시 9급
14. 국회직 9급
09. 지방직 9급
13. 경찰직 1차
☆☆☆☆☆ 3.5/5
1
어법상 괄호 안에 들어갈 적절한 표현은? (09. 지방직 9급) | |||
Richard Wagner had the emotional stability of a ( ) child. | |||
① | ten-year-old’s | ② | ten-year-olds |
③ | ten-years-old | ④ | ten-year-old |
정답 & 해설
해석 | 리차드 와그너는 10살 아이의 감정적인 안정을 가졌다. |
해설 | |
① | 관사, 소유격, this, that은 나란히 중복해서 쓸 수 없다. a는 관사이고 ten – year – old’s는 소유격이므로 나란히 쓸 수 없다. 빈 곳 앞에 a가 있으므로 ten – year – old’s는 들어갈 수 없다. |
② | ten – year – olds에서 old는 형용사이므로 olds는 잘못이다. |
③ | 명사 + 명사에서 첫 명사는 단수형이어야 한다. 명사인 child 앞에 years가 들어가면 [명사 + 명사]가 된다. 따 라서 ten – years – old에서 years는 단수형인 year이 되어야 한다. |
정답 | ④ |
2
다음 중 어법에 맞는 표현을 골라 가장 바르게 연결한 것은? (13. 경찰직 1차) | |
The first grapefruit trees in Florida, around Tampa Bay, ㉠was/were planted by Frenchman Count Odette Phillipe in 1823. Today, Florida produces more grapefruit than the rest of the world ㉡to combine/combined. The first skyscraper, the ㉢10-story/10-stories Wainwright Building in St. Louis, was designed by Louis Henry Sullivan in 1891. | |
① | was — combined — 10-stories |
② | was — to combine — 10-stories |
③ | were — to combine — 10-story |
④ | were — combined — 10-story |
정답 & 해설
해석 | 탬파 베이 (Tampa Bay) 주변 플로리다의 최초 자몽 나무들은 1823년 프랑스 백작 Odette Phillipe에 의해 심어졌다. 오늘날 플로리다는 세계의 나머지 지역을 합친 것보다 더 많은 자몽을 생산한다. 첫 번째 고층건물인, 세인트 루이스에 있는 10층 짜리 웨인 라이트 빌딩은 1891년 Louis Henry Sullivan에 의해 디자인되었다. |
해설 | |
㉠ | 주어가 복수(The first grapefruit trees)이므로 복수동사가 온다. 따라서 were이 옳다. |
㉡ | combine = [타/자] ~과 결합시키다, 결합하다, 합병하다. [명사 + to do(능동), 명사 + 동사ed(p.p.)(수동)]에서 문법적 적합성은 둘 사이에 be동사를 넣어서 의미가 맞는지 확인해 보면 된다. 이것을 to combine에 적용해보면 [the rest of the world (is) to combine (세계의 나머지 부분이 합친다)]가 된다. 이것은 의미가 맞지 않다. 세계의 나머지 부분이 스스로 합칠 수는 없다. 이번에는 이것을 combined에 적용해보면 [the rest of the world (is) combined (세계의 나머지 부분이 합쳐진다)]가 된다. 이것은 의미가 맞다. 따라서 combined가 옳다. |
㉢ | [명사 + 명사]에서 첫째 명사는 단수만 가능하고 둘째 명사는 단/복수 제약이 없다. 즉, [단수명사 + (단수/복수) 명사]가 바른 형태이다. 수사와 [단수명사 + 명사]가 함께 오더라도 첫째 명사는 단수만 가능해서[수사 – 단수명사 + 명사]형식이 된다. 따라서10 -story (-) Wainwright Building가 옳다. |
정답 | ④ |
3
다음 중 문법상 틀린 것을 고르면? (14. 국회직 9급) | |
① | Tomato was borrowed from Mexico and pajamas from India. |
② | Our sandwich was named after a man named Sandwich. |
③ | That magnificent five-centuries-old palace was constructed by the Korean. |
④ | Placed 100 yards apart are tall towers. |
⑤ | In the outback are huge sheep and cattle ranches called “stations.” |
정답 & 해설
해석 | |
① | 토마토는 인도에서 멕시코와 파자마에서 빌렸다. |
② | 우리의 샌드위치는 샌드위치라는 남자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③ | 그 장엄한 5세기의 궁전은 한국인에 의해 세워졌다. |
④ | 높이가 큰 탑들은 100야드 떨어져서 위치하고 있다. |
⑤ | 미개척지에는 “stations”이라 불리는 거대한 양과 소 목장이 있다. |
해설 | |
① | borrow (~를 빌리다)는 3형식 동사이다. |
② | name after = ~의 이름을 따서 이름을 짓다. name = ~이라고 이름을 붙이다. [명사 + 동사ed(수동)]가 맞는지는 둘 사이에 be동사를 넣어서 의미가 맞는지 확인해 보면 된다. 이것을 named에 적용해보면 [a man (is) named Sandwich (어떤 남자가 샌드위치라고 이름이 지어졌다)]가 된다. 이것은 의미가 맞다. |
③ | 명사가 2개 나란히 올때는 [수사 – 단수명사 – 형용사 + 명사]형식으로 쓰인다. 영문에서 five – centuries – old palace는 첫째 명사가 복수형이므로 잘못되었다. five – centuries – old → five – century – old |
④ | 보어가 문두에 나오면 [보어 + 동사 + 주어]의 순서로 도치된다. |
⑤ | 장소부사가 문두에 나오면 [장소부사 + 동사 + 주어]의 순서로 도치된다. |
정답 | ③ |
12
한정사와 이중소유격
(대상) 한정사 | 관사, 소유격, 지시사(this, that) |
(수량) 한정사 | all, both, half |
some, any, no | |
each, either, neither | |
many, much, more, most | |
little, less, least | |
few, fewer, fewest | |
enough | |
several |
• | (대상) 한정사는 둘을 함께 쓸 수 없다. | |
• | 대상 한정사 앞에 수량 한정사를 두려면 둘 사이에 of를 둔다. | |
• | [대상 한정사] + [many, most, few, little, least]의 순서는 가능하다. | |
• | (수량) 한정사는 둘을 함께 쓸 수 있다. | |
• | 소유격은 관사, 지시사, 수량사(some, any, no 등)와 나란히 쓸 수 없다. 함께 쓸 때는 을 명사 뒤에 붙여서 대상한정사 + 명사 + of + -’s/소유대명사 형식이 된다. 이것은 [소유전치사 of]와 [-’s 소유격]을 나란히 쓰기 때문에 이중소유격이라 한다. |
• | Many my hats are rare. (X) |
나의 많은 모자는 희귀하다. | |
Many my hats → Many of my hats | |
• | Paul’s this book is expensive. (X) |
폴의 이 책은 비싸다. | |
Paul’s this book → This book of Paul’s |
기출 1회
09. 지방직 9급
☆☆☆☆☆ 0.5/5
1
우리말을 영어로 바르게 옳긴 것은? (09. 지방직 9급) | |||||
① | 나는 그에게 충고 한 마디를 했다. | ||||
I gave him an advice. | |||||
② | 많은 아버지의 친구들이 그 모임에 왔다. | ||||
Many father’s friends came to the meeting. | |||||
③ | 나는 나 혼자서 사업을 운영하겠다고 주장하였다. | ||||
I insisted to run my business alone. | |||||
④ | 밥은 쓸데없는 일에 돈을 낭비한 것을 후회한다. | ||||
Bob regrets wasting his money on useless things. |
정답 & 해설
해설 | |
① | advice는 불가산명사이므로 an을 앞에 붙일 수 없다. an advice → a piece of advice |
② | (수량) 한정사(Many)는 (대상) 한정사(father’s) 앞에 나란히 둘 수 없다. 그 사이에 전치사 of(~중에서)를 넣어서 Many of father’s friends로 하든지 아니면 [(대상) 한정사 + 명사] 다음에 [of + 소유격]을 둬서 Many friends of father’s 로 해야 한다. Many father’s friends → Many of father’s friends [or Many friends of father’s] |
③ | insisted to run → insisted on running |
④ | regret + ~ing에서〜ing는 과거를 나타낸다. 이 영작은 올바르다. |
정답 | ④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