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class Grammar

ARTICLE 관사 문제

1

관사의 위치

 so  +  형   +  (a)   +  (명) 
 as 
 too 
 how 
 however 
 such +   a   +  (형)  +   명  
 half 
 what 
 all  +  the  +  (형)  +   명  
 both 
 half 
 double 
 quite  +   a   +  (형)  +   명  
 rather 
 such  +  형   +  복수/ 불가산명사 
 what 
 
 소괄호(  ) 안의 내용은 생략할 수 있다. 형= 형용사, 명= 명사, a = 부정관사
 half 다음은 a, the 모두 올 수 있다.
She is such nice a girl that I love her. (X)
  그녀는 매력적인 소녀여서 나는 그녀를 사랑한다. 
  such nice a girl → such a nice girl
His address was such great that the audience supported him. (X)
  그의 연설은 대단해서 청중은 그를 지지했다. such → so

기출 6회

18. 국회직 9급
17. 서울시 9급
14. 지방직 9급
12. 기상직 9급
11. 지방직 7급
17. 경찰직 2차

3.5/5

1

다음 우리말을 영작한 것 중 가장 적절한 것은? (17. 경찰직 2차)
나는 그런 관대한 인물을 아직 본 적이 없다.
 
Never I have met such generous a man before.
Never I have met such a generous man before.
Never have I met such generous a man before.
Never have I met such a generous man before.

정답 & 해설

해설 
부정부사 다음은 도치된다. Never I have met → Never have I met, such generous a man → such a generous man
Never I have met → Never have I met
such generous a man → such a generous man
문법적으로 모두 올바르다.
정답

2

다음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18. 국회직 9급)
 
Democracy, after all, is not just ① a set of practices but a culture. It lives not only ② in so formal mechanisms as party and ballot ③ but in the instincts and expectations of citizens. Objective circumstances – jobs, war, competition from abroad – shape ④ that political culture, but ⑤ so do the words and deeds of leaders.

정답 & 해설

해석결국 민주주의는 하나의 관행일 뿐 아니라 하나의 문화이다. 그것은 정당과 투표와 같은 공식적인 메커니즘뿐만 아니라 시민들의 본능과 기대속에서 살아 간다. 객관적인 상황은 – 직업, 전쟁, 해외로부터의 경쟁 – 그 정치 문화를 형성하지만 그러나 지도자들의 말과 행동 역시 그렇다.
해설 
but앞/뒤같은 품사로 이루어진다. 즉 병치이다. but 다음에 a culture사이고 a set of practices명사이므로 병치가 잘 됐다.
so + 형용사 + a(n) + 명사 = such + a(n) + 형용사 + 명사 =such + 형용사 + 복수명사 [불가산명사]. formal + mechanisms는 [형용사 + 복수명사]이므로 so가 온 것은 잘못이다. so → such
not only A but (also) B (A뿐만 아니라 B역시 ~이다). and앞/뒤같은 품사로 이루어지는 병치구조를 이룬다. instincts and expectations는 [명사 + and + 명사]로 병치되었으므로 옳다.
that은 지시형용사로서 단수명사와 결합한다. culture단수명사이므로 올바르다.
So + V + S는 앞에 나온 절의 내용이 주어만 다르고 나머지는 모두 같을 때 이것을 줄여서 쓰는 방식이다. doshape대신해서 쓰였다.
정답

3

우리말을 영어로 잘못 옮긴 것을 고르시오. (11. 지방직 7급)
아무리 추워도 환기를 자주 시켜주어야 한다.
 No matter what cold it may be, you should let in some fresh air from time to time.
추운 날씨와 의사의 충고에도 굴하지 않고 할머니는 산에 올랐다.
 The cold weather and the doctor’s advice couldn’t deter the grandmother from climbing up the mountain.
팬케이크 믹스가 떨어져 그녀는 팬케이크 반죽을 처음부터 만들어야했다.
 She was out of pancake mix, so she had to make the batter from scratch.
교육당국은 외국인들의 불법 사설 강습을 단속할 수 있는 방안을 가지고 있지 않다.
 The educational authorities have no measures to crack down on illegal private tutoring by foreigners.

정답 & 해설

해설how + 형용사 + (관사 + 명사) = what + a(n) + (형용사) + 단수명사 = what + 형용사 + 복수명사 [불가산명사].
cold형용사이다. 형용사수식하는 것은 부사이므로 how cold이어야 한다. No matter what cold → No matter how cold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