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class
Grammar
SPECIAL SYNTAX 부정, 도치, 강조, 생략 문제
준부정어
hardly , scarcely , barely , seldom , rarely 는 다른 부정어와 함께 쓸 수 없다 . |
• | hardly | 거의 ~않는 |
• | scarcely | |
• | barely | |
• | seldom | 좀처럼 ~하지 않는 |
• | rarely |
• | I can never hardly speak English. (X) |
나는 영어를 거의 못한다. | |
never hardly → hardly |
기출 5회
19. 기상직 9급
18. 서울시 9급
18. 교행직 9급
12. 국가직 9급
11. 서울시 9급
1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8. 서울시 9급 ) | |||||
His survival ①over the years since independence in 1961 does not alter the fact that the discussion of real policy choices in a public manner has hardly ②never occurred. In fact, there have always been ③a number of important policy issues ④which Nyerere has had to argue through the NEC. |
정답 & 해설
해석 | 1961년 독립 이후 수년 동안 죽 그의 생존은 공공 정책에 대한 실질적인 정책 선택에 대한 논의가 결코 일어나지 않았다는 사실을 바꾸지 않았다. 사실 Nyerere가 NEC를 통해 논해야만 했던 많은 중요한 정책들이 늘 있어왔다. |
해설 | |
① | over = ((기간)) …(동안) 죽, 내내 |
② | hardly는 이중부정을 할 수 없다. 따라서 hardly는 다른 부정어와 나란히 쓰일 수 없다. hardly never → hardly |
③ | a number of(많은)는 복수명사와 결합한다. 따라서 importance policy issues는 복수명사이므로 옳다. |
④ | 관계대명사 다음은 불완전한 절이 온다. 이 영문에서 which는 관계대명사이다. which 다음은 argue의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이므로 올바르다. which의 선행사는 사물이나 동물이 오는데 importance policy issues가 선행사이다. |
정답 | ② |
2
다음 중 어법상 올바른 문장은? (11. 서울시 9급) | |
① | I never dreamed of there being a river in the deep forest. |
② | No sooner he had gone out than it started raining. |
③ | Most teller in the banks these days cannot dispense without computers. |
④ | I have successfully completed writing the book three weeks ago. |
⑤ | I can’t hardly make myself understood in English. |
정답 & 해설
해석 | |
① | 나는 깊은 숲 속에 강이 있다는 것을 결코 꿈꿔본 적 없었다. |
② | 그가 나가자마자 비가 오기 시작했다. |
③ | 오늘날 은행의 대부분의 창구 직원은 컴퓨터 없이는 지낼 수 없다. |
④ | 나는 3주 전에 책을 쓰는 것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
⑤ | 나는 영어로 자신을 이해시킬 수 없었다. |
해설 | |
① | of의 목적어는 동명사(there being a riverin the deep forest)이다. |
② | 충고/주장/제안/명령/요구 + that S (should) + 동사원형. order(명령하다)는 이 형식을 따른다. 따라서 ordered 다음의 that절에 동사원형인 be done은 올바르다. |
③ | offer(~에게 ~를 제공하다)는 4형식 수여동사이다. 수여동사의 수동태 다음은 목적어가 온다. was offered 다음의 목적어인 the job은 옳다. |
④ | keep A from B = A가 B하는 것을 막다 |
정답 | ① |
부분부정
내용의 일부분 을 부정 하는 것을 부분부정 이라 한다. |
not ~ | all | 모두 ~한 것은 아니다 | |
• | both | 둘 다 ~한 것은 아니다 | |
every | 모두 ~한 것은 아니다 | ||
not ~ | always | 늘~ 한 것은 아니다 | |
altogether | 완전히 ~한 것은 아니다 | ||
• | generally | 일반적으로 ~한 것은 아니다 | |
completely | 완전히 ~한 것은 아니다 | ||
necessarily | 반드시 ~한 것은 아니다 | ||
✱ not의 위치는 바뀔 수 있다. |
• | Things are not always what they seem to be. |
사물은 보이는 것과 늘 같지는 않다. |
기출 5회
18. 교행직 9급
18. 기상직 9급
17. 지방직 7급
16. 지방직 9급
16. 경찰직 2차
1
다음의 우리말을 영어로 가장 알맞게 옮긴 것은? (18. 기상직 9급) | |||||
① | 내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목표는 인정을 받는 것보다는 성공을 하는 것이다. | ||||
The most important goal in my life is not so much achieving success as receiving recognition. | |||||
② | 스마트폰은 내가 집중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을 때는 언제나 유용하지 않다. | ||||
A smartphone is not always useful for me when I need to increase my concentration. | |||||
③ | 그는 네가 파티에 가도록 끝까지 너를 설득할 사람이다. | ||||
He would be the last person to persuade you to go to the party. | |||||
④ | 너는 어머니가 상 차리시는 것을 도와주는 것보다 차라리 빨래를 너는 편이 낫겠다. | ||||
You may as well hang the washing out to dry as help your mother set the table. |
정답 & 해설
해설 | |
① | not so much A as B = A라기 보다는 오히려 B이다. 영문(내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목표는 성공을 하는 것보다 인정을 받는것이다. )과 우리말의 뜻이 다르다. 한글에서 요구하는 뜻이 되려면 achieving success와 receiving recognition의 위치를 바꿔야 한다. |
② | not always(늘 ~한 것은 아니다)는 부분부정이다. 그런데 우리말은 완전부정(=언제나 유용하지 않다)이다. 즉 영어와 한글의 뜻이 다르다. |
③ | the last + 명사는 [결코 ~할 것 같지 않은] 뜻으로 부정이다. 우리말은 긍정으로 되어 있는데 영어(그는 네가 파티에 가도록 끝까지 너를 설득할 사람이 결코 아니다.)는 부정으로 되어 있어서 뜻이 다르다. |
④ | may as well A as B (B하느니 A하는 편이 낫다)에서 as 앞/뒤는 같은 품사로 시작되는 병치구조이다. 따라서 A와 B는 같은 품사로 시작되어야 한다. 이 영문에서 help와 hang는 둘 다 동사원형이므로 병치되었다. |
정답 | ④ |
2
다음 우리말을 영작한 것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6. 경찰직 2차) | |||||
① | 무고한 사람들을 보호하는 것이 우리가 가장 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이다. | ||||
It is our top priority to protect the innocent people. | |||||
② | 일단 우리가 어떤 습관을 가지게 되면 그것을 버리기 쉽지 않다. | ||||
Once we get into a habit, it is not easy for us to take it over. | |||||
③ | 긍정적인 생각이 우리를 인생에서 성공하도록 할 것이다. | ||||
Positive thinking will lead us to success in life. | |||||
④ | 모든 사물은 보이는 것과 항상 같지는 않다. | ||||
Things are not always what they seem to be. |
정답 & 해설
해설 | |
① | 가주어(It) + is our top priority + 진주어(to protect ~ people). |
② | once = (접) 만일 ~라면. 한글에는 [버리다]의 뜻이 있는데 영문에는 없어서 뜻이 다르다. 영어: 일단 우리가 어떤 습관을 가지게 되면, 우리가 습관을 들이기란 쉽지 않다. |
③ | lead + 목적어 + to do = ~에게 ~할 마음이 나게 하다 succeed in = ~에 성공하다 |
④ | not always는 [늘 ~한 것은 아니다]의 뜻으로 부분분정이다. 이것은 우리말의 [항상 같지는 않다]는 뜻과 일치한다. |
정답 | ② |
부정어와 도치
부정 의미 의 부사(구/절) 다음 은 동사 + 주어 로 도치 된다. |
• | Never 결코 ~않다 | + 동사 + 주어 |
• | Little 거의 ~않다 | |
• | Not only ~뿐만 아니라 | |
• | On no account 결코 ~않다 | |
• | Under no circumstances | |
• | Nor ~도 ~하지 않다 | |
• | No sooner ~하자 마자 | |
• | Not until S + V ~까지 않다 | |
• | Not until + 목적어 ~까지 않다 | |
• | Hardly 거의 ~않다 | |
• | Scarcely 거의 ~않다 | |
• | Seldom 좀처럼 ~않다 | |
• | Rarely 좀처럼 ~않다 | |
• | Nowhere 아무데도 ~없다 | |
• | In no case 결코 ~이 아니다 | |
• | At no time 한번도 ~없다 | |
• | By no means 결코 ~아니다 | |
• | In no circumstances | |
✱ Under (or In) no circumstances = 무슨 일이 있어도 ~않다 |
• | Never again lions crossed his fence. (X) |
사자는 다시 그의 담장을 넘지 않았다. | |
lions crossed → did lions cross | |
• | Not until a man dies you can tell his real worth. (X) |
사람은 죽고 나서 진정한 가치를 알 수 있다. | |
you can tell → can you tell |
기출 15회
19. 지방직 7급
18. 법원직 9급
18. 국회직 9급
17. 경찰직 2차
17. 경찰직 1차
16. 사복직 9급
15. 지방직 9급
15. 지방직 7급
14. 지방직 9급
13. 국회직 9급
12. 국가직 7급
11. 서울시 9급
11. 국가직 7급
08. 지방직 9급
08. 국회직 8급
1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11. 국가직 7급) | |||||
A few weeks earlier I had awoken just after dawn to find the bed beside me ①empty. I got up and found Jenny sitting in her bathrobe at the glass table on the screened porch of our little bungalow, bent over the newspaper with a pen in her hand. There was ②nothing unusual about the scene. Not only ③were the Palm Beach Post our local paper, it was also the source of half of our household in come. We were a two-newspaper career couple. Jenny worked as a feature writer in the Post’s “Accent” section; I was a news reporter at the ④competing paper in the area, the South Florida Sun-Sentinel, based an hour south in Fort Lauderdale. |
정답 & 해설
해석 | 몇 주 전에 나는 동이 튼 직후 깨어나서 내 옆에 침대가 비어있음을 발견했다. 나는 일어나서 제니가 우리의 작은 방갈로의 가려진 현관에 있는 유리 테이블에서 실내복을 입고 앉아 있는 것을 발견했다. 그리고 그녀는 손에는 펜을 쥐고 신문지 위에 몸을 구부리고 있었다. 그 장면에서는 평상시와 다른 것은 아무것도 없었다. Palm Beach Post는 우리의 지역 신문일 뿐만 아니라 우리의 가계 소득의 절반의 원천이었다. 우리는 두 명의 신문 직업 커플이었다. 제니는 포스트지의 “Accent”부서에서 특집기사 작가로서 일했다; 나는 Fort Lauderdale에서 남쪽 1시간 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South Florida Sun-Sentinel이라는 그 지역의 경쟁사에서 뉴스 리포터였다. |
해설 | [Not only + 동사 + 주어]에서 the Palm Beach Post our local paper는 단수 주어이므로 was가 옳다. were → was |
정답 | ③ |
2
우리말을 영어로 옮긴 것 중 가장 어색한 것은? (15. 지방직 9급) | |||||
① | 그녀는 젊었을 때 더 열심히 일하지 않았던 것을 후회한다. | ||||
She regrets not having worked harder in her youth. | |||||
② | 그는 경험과 지식을 둘 다 겸비한 사람이다. | ||||
He is a man of both experience and knowledge. | |||||
③ | 분노는 정상적이고 건강한 감정이다. | ||||
Anger is a normal and healthy emotion. | |||||
④ | 어떤 상황에서도 너는 이곳을 떠나면 안 된다. | ||||
Under no circumstances you should not leave here. |
정답 & 해설
해설 | |
① | regret(후회하다)은 목적어로 -ing를 취한다. regret + having p.p.에서 having p.p.는 [과거의 일]을 나타낸다. |
② | both A and B(A와 B 둘 다)는 A와 B는 같은 품사로 이루어진다. experience(경험)와 knowledge(지식)는 모두 명사이다. |
③ | emotion = [가산, 불가산] 감정 |
④ | Under no circumstances(어떤 일이 있어도 ~않다) 다음은 [동사 + 주어] 순서로 도치된다. 이 영문에서는 도치되지 않아서 잘못이다. you should not leave → should you not leave |
정답 | ④ |
3
Choose the underlined part that is not grammatically correct. (08. 국회직 8급) | |||||
The first successful British colony, at Jamestown on Chesapeake Bay in Virginia, ①was not founded until 1607. The first settlers ②relied on suppliers from England and depended on the Indians ③to teach them how to survive. Not until ④they began cultivating tobacco for sale abroad ⑤they could finance their activities and develop their country. |
정답 & 해설
해석 | 버지니아의 체사피크 만에있는 제임스 타운 (Jamestown)에서 처음으로 성공한 영국 식민지는 1607년까지 설립되지 않았다. 최초의 이주자들은 영국의 공급업자들에게 의존하였고 그리고 인도인들에게 의존하여 그들에게 생존 방법을 가르쳤다. 그들이 해외 판매를 위해 담배를 재배하기 시작한 후에 그들의 활동에 자금을 조달하고 그들의 국가를 개발할 수 있었다. |
해설 | Not until S + V + ~ 다음은 [동사 + 주어]의 순서로 도치된다. 이 영문에서 Not until they ~abroad 다음은 [동사 + 주어]로 도치되지 않았다. they could finance → could they finance 정답 |
정답 | ⑤ |
4
다음 우리말을 영작한 것 중 가장 적절한 것은? (17. 경찰직 1차) | |||
경찰작용은 더 이상 법 집행에만 초점이 맞춰지지 않았으며‚ 다양한 활동에 관여될 것이 요구되었다. | |||
① | No longer were solely focused police actions on law enforcement but were required to involve in a variety of activities. | ||
② | No longer police actions were solely focused on law enforcement but to be required involve in a variety of activities. | ||
③ | No longer police actions solely focused on were law enforcement but required to be involved in a variety of activities. | ||
④ | No longer were police actions solely focused on law enforcement but were required to be in volved in a variety of activities. |
정답 & 해설
해설 | No longer는 부정부사이다. 부정부사 다음은 도치된 절이 온다. ① ② ③은 No longer 다음에 도치되지 않았거나 도치의 규칙을 따르지 않았다. ④번은 No longer 다음에 동사(were) + 주어(police actions) + p.p.(focused)로 올바르게 도치되었다. * be involve in = 관여되다 |
정답 | ④ |
5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18. 법원직 9급) | |||||
After lots of trial and error, Richard finally created a system of flashing LED lights, ①powered by an old car battery that was charged by a solar panel. Richard set the lights up along the fence. At night, the lights could be seen from outside the stable and took turns flashing, ②which appeared as if people were moving around with torches. Never again ③lions crossed Richard’s fence. Richard called his system Lion Lights. This simple and practical device did no harm to lions, so human beings, cattle, and lions were finally able to make peace with ④one another. |
정답 & 해설
해석 | 많은 시행 착오 끝에, Richard는 마침내 LED 조명을 깜박이는 시스템을 만들었는데, 그것은 태양 전지판으로 충전되는 오래된 자동차로부터 동력을 얻는다. Richard가 울타리를 따라 불을 지폈다. 밤에는 불빛이 마구간 밖에서도 보였고 번갈아 가며 나타났다. 그것은 마치 사람들이 횃불을 갖고 돌아 다니는 것처럼 나타났다. 사자들은 다시는 Richard의 울타리를 넘지 않았다. Richard는 그의 시스템을 Lion Lights라고 불렀다. 이 간단하고 실용적인 장치는 사자들에게 어떤 해도 끼치지 않았다. 그래서 인간, 소, 사자는 마침내 서로 화해할 수 있었다. |
해설 | |
① | power = [타] ~에 동력을 공급하다. powered~panel은 분사구문이며 분사 앞에 의미상주어가 없다면 주절의 주어와 공유한다. powered 앞에 의미상주어가 없으므로 주절의 주어인 Richard가 의미상주어가 된다. 이것이 문법적으로 맞는지는 주어와 분사 사이에 be동사를 넣어서 뜻이 맞는지를 보면 된다. [Richard (was) powered(리차드는 동력을 공급받았다)]는 뜻이 맞다. |
② | which는 관계대명사이다. which 앞에는 콤마를 둘 수 있으며 which 다음은 불완전한 절이 온다. 이 영문에서도 which 다음은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이므로 올바르다. |
③ | 부정부사구 다음의 절은 [동사 + 주어]의 순서로 도치된다. Never again는 부정부사구이다. 그런데 도치되지 않아서 잘못이다. lions crossed → did lions cross |
④ | one another = (셋 이상) 서로 each other = (둘 사이) 서로 |
정답 | ③ |
6
다음 문장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18. 국회직 9급) | |
① | Attached is the document file you’ve requested. |
② | Never in my life have I seen such a beautiful woman. |
③ | Should you need further information, please contact me. |
④ | Hardly has the situation more serious than now. |
⑤ | Now is the time to start living the life you have always imagined. |
정답 & 해설
해석 | |
① | 당신이 요청한 문서 파일이 첨부되었다. |
② | 나는 내 인생에서 결코 그런 아름다운 여인을 본적이 없다. |
③ | 만일 당신이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하면, 저에게 연락하십시오. |
④ | 상황이 지금보다 더 심각하지 않다. |
⑤ | 이제는 당신이 늘 상상했던 삶을 살아야 할 때이다. |
해설 | |
① | 보어가 문두에 오면 [보어 + 동사 + 주어] 순서로 도치된다. 보어(Attached) + 동사(is) + 주어(the document file)는 올바르게 도치됐다. |
② | 부정부사(구) 다음은 도치된다. Never in my life는 부정부사구이므로 have + I + seen은 올바르다. |
③ | 조건절의 if가 생략되면 V + S로 도치된다. 따라서 조동사(Should) + S(you) + 동사원형(need)은 올바르다. |
④ | 부정부사 다음은 도치된다. Hardly는 부정부사이다. 일반동사일 때의 도치법은 [do + S + 동사원형]을 쓴다. has는 일반동사이므로 도치하려면 does를 이용한다. Hardly has the situation → Hardly does the situation have |
⑤ | 명사 + S + V에서 명사와 주어 사이에는 관계대명사 [관계부사]가 생략됐다. 이 영문에서 life와 you 사이에는 which가 생략되었다. |
정답 | ④ |
only와 도치
Only + 부사구/ 부사절 다음은 동사 + 주어 의 순서로 도치 된다. |
• | Only on one point are we agreed. |
단 한 개의 점에서만 우리는 의견이 일치한다. |
기출 5회
17. 국가직 9급
16. 국회직 9급
14. 서울시 9급
11. 사복직 9급
11. 지방직 9급
1
다음 밑줄 친 부분 중 문법상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16. 국회직 9급) | |||||
①Although there ②had been resistance to the high rate of immigration during the nineteenth century, only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③was several laws ④passed that restricted both the number of people who could come to the United States and where they could come ⑤from. |
정답 & 해설
해석 | 19세기 동안 높은 이민율에 대한 저항이 있었지만, 20세기 초가 되어서 미국에 올 수 있는 사람들의 수와 그들이 올 수 있는 출신지를 제한하는 몇 가지 법률이 통과되었다. |
해설 | |
① | There은 There + V + S(명사) 형식으로 쓰인다. 이 문장에서 there 다음은 올바르다. Although는 양보접속사로서 다음에 절이 이어지며, 주절과 부사절은 상반된 의미이므로 옳다. |
② | 부사절은 19세기(the nineteenth century)의 일이고 주절은 20세기( twentieth century)의 일이다. 주절보다 부사절이 1세기가 앞선 일이다. 주절이 과거이므로 그 보다 앞선 부사절은 대과거이어야 한다. 따라서 had been은 올바르다. |
③ | Only + 부사 다음은 [동사 + 주어]의 순서로 도치된다. 따라서 were + several laws는 올바르다. 주어가 복수명사(several laws)이므로 복수동사가 와야 한다. 그런데 단수동사가 왔으므로 잘못됐다. was → were |
④ | S(several laws) + V(were passed) 순서에서 Only + 부사 다음이 도치되면서 V(were) + S(several laws) + p.p.(passed)의 형태가 되었다. 관계대명사 that의 선행사는 several laws이다. |
⑤ | where은 from의 목적어로 쓰인 의문대명사이다. where이 의문대명사로 쓰일 때는 from의 목적어에 한한다. 따라서 올바르다. |
정답 | ③ |
보어와 도치
보어 가 문두 에 오면 보어 + 동사 + 주어 의 순서로 도치 된다. |
• | Blessed are the poor in spirit. |
마음이 가난한 사람들은 복을 받는다. | |
the poor (가난한 사람들)이 주어이다. | |
• | So angry was he that he could not speak. |
그는 너무 화가 나서 말할 수 없었다. | |
• | Such is her beauty that it is second to none. |
그녀의 미모는 최고이다. |
기출 10회
18. 국회직 9급
17. 지방직 9급
16. 서울시 7급
15. 기상직 9급
14. 지방직 7급
14. 국회직 9급
14. 서울시 9급
11. 지방직 7급
11. 국가직 9급
09. 국회직 8급
1
다음 중 어법상 가장 옳지 않은 것을 고르면? (16. 서울시 7급) | |
① | No amateur can participate in the contest except that he is recommended by a previous prize winner. |
② | There go the last piece of cake and the last spoonful of ice cream. |
③ | Such was the country’s solutions that they drew international attention to the issue. |
④ | I wish I had studied biology when I was a college student. |
정답 & 해설
해석 | |
① | 어떤 아마추어도 그가 이전 수상자로부터 추천을 받은 것을 제외하고는 그 대회에 참석할 수 없다. |
② | 마지막 케익 조각과 마지막 스푼의 아이스크림이 나갑니다. |
③ | 그 나라의 해결책들이 너무나 커서 그들은 그 문제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을 끌었다. |
④ | 나는 내가 대학생이었을 때 생물학을 공부했었다면 하고 바란다. |
해설 | |
① | except that ~ = ~을 제외하고, ~라는 사실 이외에, ~한 일이 없다면 |
② | [There + V + S] 형식이다. |
③ | 보어(such) + V(was) + S(the country’s solutions)로 도치 구조이다. 주어가 복수이므로 복수동사가 와야 한다. was → were |
④ | I wish 다음의 that절에는 [가정법 과거]나 [가정법 과거완료]가 온다. [가정법에서 동사는 시간표시어의 시간 보다 하나 더 과거]이다. when I was young은 과거시간이므로 I wish 다음에 과거완료(had studied)가 온 것은 올바르다. |
정답 | ③ |
2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15. 기상직 9급) | |||||
Earth’s atmosphere is a relatively thin, gaseous envelope ①comprised mostly of nitrogen and oxygen, with small amounts of other gases, such as water vapor and carbon dioxide. Nestled in the atmosphere ②is clouds of liquid water and ice crystals. Although our atmosphere extends upward for many hundreds of kilometers, it gets progressively thinner with altitude. Almost 99 percent of the atmosphere ③lies within a mere 30 km of Earth’s surface. In fact, if Earth ④were to shrink to the size of a beach ball, its inhabitable atmosphere would be thinner than a piece of paper. This thin blanket of air constantly shields the surface and its inhabitants from the sun’s dangerous ultraviolet radiant energy, as well as from the onslaught of material from interplanetary space. |
지구의 대기는 수증기와 이산화탄소와 같은 소량의 다른 기체와 더불어 질소와 산소로 대부분 구성된 비교적 얇은 기체층이다. 액체 물과 얼음 결정의 구름이 대기권에 자리잡고 있다. 비록 우리의 대기는 수 백 킬로미터 위로 뻗어 있지만, 고도에 따라 점점 더 얇아진다. 대기의 거의 99 %는 지구 표면에서 불과 30km 내에 있다. 사실, 만일 지구가 비치 볼의 크기까지 줄어들면, 생존에 적합한 대기는 한 장의 종이보다 더 얇아질 것이다. 이 얇은 공기덮개는 태양의 위험한 자외선 방사 에너지뿐만 아니라 행성간 공간으로부터의 나오는 물질의 맹공격으로부터 표면과 그 거주자를 끊임없이 보호한다.
정답 & 해설
해설 | |
① | comprise = [타] ~으로 이루어지다. [명사 + 동사ed(수동)]가 맞는지는 둘사이에 be동사를 넣어서 의미가 맞는지 확인해 보면 된다. [gaseous envelope (is) comprised mostly of nitrogen and oxygen (기체층은 질소와 산소로 대부분 구성되어 있다 )]가 된다. 이것은 의미가 맞다. 따라서 comprised는 과거 분사로서옳다. |
② | 보어가 문두에 나오면 「보어 + 동사 + 주어]의 순서로 도치된다. Nestled in the atmosphere는 과거분사로서 보어이며 clouds of liquid water and ice crystals가 주어이다. 주어가 복수이므로 are이 와야 한다. is → are |
③ | [Percent + of + 명사]가 주어로 오면 of 다음의 명사가 동사의 단/복수를 결정한다. Almost 99 percent of the atmosphere에서는 the atmosphere가 동사의 단/복수를 결정한다. the atmosphere가 단수이므로 단수동사인 lies는 옳다. 또한 lies는 1형식 자동사이므로 목적어를 취하지 않는다. |
④ | 영문에 if절은 가정법이다. 가정법에서 be동사의 과거는 주어의 단/복수에 관계없이 were을 쓴다. 따라서 Earth 다음에 were은 올바르다. |
정답 | ② |
not ~ until
• | not ~ until ~ |
~하고 나서야 (비로소) ~하다 | |
~한 후에야 (비로소) ~하다 |
• | He did not arrive until it grew dark . |
= | It was not until it grew dark that he arrived. |
It be 강조어 that 구문 | |
= | It was not until it grew dark he arrived . |
It be 강조어 that에서 that이 생략됐다. | |
= | Not until it grew dark did he arrive. |
Not until S + V 다음은 도치된다. | |
= | Only after it grew dark did he arrive. |
그는 어두워진 후에서야 비로소 도착했다. | |
Only after S + V 다음은 도치된다. |
기출 7회
18. 국가직 9급
17. 기상직 9급
14. 사복직 9급
13. 국가직 9급
13. 국회직 9급
11. 지방직 9급
08. 국회직 8급
1
우리말을 영어로 잘못 옮긴 것을 고르시오? (14. 사복직 9급) | |||||
① | 그가 전화를 하고 나서야 나는 지갑을 잃어버린 것을 알았다. | ||||
I did realize I had lost my wallet until he called me. | |||||
② | 그를 보는 순간, 그가 범인이라는 감이 왔다. | ||||
The moment I saw him, I had a feeling that he was the criminal. | |||||
③ | 그는 대통령 선거에서 누가 이기든 상관하지 않을 것이다. | ||||
He won’t care who wins the presidential election. | |||||
④ | 초록 단추를 눌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작동하지 않을 것이다. | ||||
You have to press the green button; otherwise it won’t work. |
정답 & 해설
해설 | |
① | 영어: 나는 그가 나에게 전화했을 때까지 나는 나의 지갑을 분실했었다는 것을 정말 알고 있었다. I had 앞에 접속사 that은 생략되었다. 우리말과 영문의 뜻이 다르다. 뜻이 일치하려면 not A until B [B하고 나서야 A하다]의 구조로 바꿔야 한다. did realize → did not realize |
② | The moment(~하자마자)는 The moment (that) S + V에서 that을 생략되고 쓰이는 어구이다. |
③ | who는 의문사겸 주어이다. who wins the presidential election는 간접의문문으로서 명사절이며 care의 목적어이다. |
④ | otherwise = [부] 그렇지 않으면 |
정답 | ① |
2
다음 우리말을 영어로 옮긴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1. 지방직 9급) | |||
그녀가 나한테 전화했을 때 비로소 그녀가 사무실에 없다는 것을 나는 알았다. | |||
① | I did not realize that she was in her office even when she called me. | ||
② | She called and told me that she was not in her office. | ||
③ | I had not realized she was not in her office until she called me. | ||
④ | She did call me in order to let me know that she was not in her office. |
정답 & 해설
해석 | |
① | 나는 그녀가 나에게 전화했을 때 조차도 그녀가 그녀의 사무실에 있다는 것을 몰랐다. |
② | 그녀가 전화해서 그녀가 그녀의 사무실에 없다고 나에게 말했다. |
③ | 나는 그녀가 나에게 전화할 때까지 그녀가 그녀의 사무실에 없다는 것을 깨닫지 못했다. |
④ | 그녀는 그녀가 그녀의 사무실에 없다는 것을 내가 알 수 있도록 하기위해 나에게 정말 전화했다. |
해설 | not A until B는 <B하고 나서야 A하다>라는 뜻이다. 이 어구로 영작된 ③번이 우리말과 일치한다. 나머지 ①, ②, ④번은 우리말과 그 뜻이 다르다. |
정답 | ③ |
3
다음의 문장을 영어로 가장 잘 옮긴 것은? (18. 기상직 9급) | |||
그가 핸드폰을 택시에 두고 내린 것을 안 것은 집에 도착해서였다. | |||
① | It was not until he arrived home that he found he’d left his cell phone in the taxi. | ||
② | It was only after he arrived home that he find he’d not left his cell phone in the taxi. | ||
③ | He didn’t find he’d left his cell phone in the taxi after he arrived home. | ||
④ | Until he arrived home, he found he’d left his cell phone in the taxi. |
정답 & 해설
해석 | |
① | 집에 도착해서야 그는 택시에 휴대폰을 두고 내렸다는 것을 알았다. |
② | 그는 집에 도착한 후에야 그가 택시에 휴대폰을 두고 내리지 않았다는 것을 알았다. |
③ | 그가 집에 도착한 후에 택시에 핸드폰을 두고 내렸다는 것을 알지 못했다. |
④ | 그가 집에 도착할때까지 계속, 그는 택시에 핸드폰을 두고 내렸다는 알았다. |
해설 | not A until B = B하고 나서야 A하다. It was + 강조어(not until he arrived home) + that She ~ the taxi. 우리말과 일치하는 것은 ①번 밖에 없다. |
정답 | ① |
4
다음 문장을 가장 자연스럽게 옮긴 것은? (18. 기상직 9급) | |||
우리는 건강을 잃고 나서야 비로소 건강의 가치를 깨닫는다. | |||
① | It is not until we lose our health that we realize the value of it. | ||
② | No sooner had we realized the value of our health when we lost it. | ||
③ | We will realize the value of our health even though we lose it. | ||
④ | It will not be long before we realize the value of our health. | ||
Our ill health prevents us from realizing the value of it. |
정답 & 해설
해석 | |
① | 우리는 건강을 잃고 나서야 그것의 가치를 깨달았다. |
② | 우리는 우리의 건강의 가치를 깨닫자마자 우리는 그것을 잃었다. |
③ | 비록 우리가 우리의 건강을 잃어 버린다 하더라도, 우리는 우리의 건강의 가치를 깨닫게 될 것이다. |
④ | 머지 않아 곧 우리는 우리의 건강의 가치를 깨닫는다. |
⑤ | 우리의 좋지 못한 건강이 그것의 가치를 깨닫지 못한게 한다. |
해설 | |
① | not until S + V= ~할 때까지는 아니다, 즉 ~하고 나서야 ~하다 |
② | No sooner ~ than S + V = ~하자마자 ~하다. sooner은 비교급이므로 뒤에 비교급 접속사 than이 와야 한다. 따라서 when이 온 것은 잘못이다. 이 영문은 문법적으로도 맞지 않고 우리말과의 뜻도 다르다. |
③ | 우리말과 영문의 뜻이 다르다. |
④ | It will not be long before S + 현재동사 = 머지않아 곧 ~할 것이다. 우리말과 영문의 뜻이 다르다. |
⑤ | prevent A from B = A가 B하는 것을 막다. 우리말과 영문의 뜻이 다르다. |
정답 | ① |
강조구문
It be | + 강조대상 + | that | + | (S) + V |
who | ||||
which | ||||
when | ||||
✱ 강조 대상에 주어, 목적어, 보어, 부사를 넣어서 강조한다. | ||||
✱ 보통 that을 쓰지만 사람일 때는 who, 사물일 때는 which, 시간일 때는 when을 쓰기도 한다. | ||||
✱ be와 V는 시제가 같아야 한다. |
• | It is passion that leads you to success. |
당신을 성공으로 이끄는 것은 열정이다. |
기출 5회
17. 지방직 9급
16. 서울시 9급
14. 사복직 9급
13. 국가직 9급
10. 기상직 9급
1
어법상 빈칸에 들어가기에 가장 적절한 것은? (16. 서울시 9급) | |||
It was when I got support across the board politically, from Republicans as well as Democrats, I knew I had done the right thing. | |||
① | who | ② | whom |
③ | whose | ④ | that |
정답 & 해설
해석 | 나는 내가 옳은 일을 했다는 것을 알게 된 것은 내가 민주당원뿐만 아니라 공화당원으로부터도 정치적으로 폭넓은 지지를 받았을 때이다. |
across the board 전반에 걸쳐 | |
Republican [ripΛblikən] [명] 공화당원 [형] 공화주의의 | |
Democrat [déməkrӕt] [명] 미국의 민주당원, 민주주의자 | |
해설 | It was + 강조어(when ~ politically, from ~Democrats), that I knew ~ thing. 빈 곳 다음은 완전한 절이 왔다. 완전한 절에는 관계대명사를 쓸 수 없고 접속사나 관계부사를 쓴다. who, whom은 관계대명사이므로 쓸 수 없다. whose는 whose + 명사 형태로만 쓰인다. 빈 곳 다음에 명사가 없으므로 whose는 쓸 수 없다. that은 관계부사 기능이 있으므로 빈 곳에 쓸 수 있다. |
정답 | ④ |
2
다음 문장과 같은 뜻이 되도록 할 때 빈칸에 적당한 표현은? (10. 기상직 9급) | |||
“Decisions about family matters were made by her husband.” → It was her husband . | |||
① | making family matters decide | ||
② | that was made decisions about family matters | ||
③ | decided about family matters | ||
④ | who made decisions about family matters |
정답 & 해설
해석 | “가족 문제에 관한 결정은 남편에 의해 이루어진다.” → 가족 문제에 관한 결정을 내린 것은 남편이었다. |
해설 | It be + 강조어 + 관계대명사/관계부사] 구문이다. 관계대명사나 관계부사로는 that이 흔히 쓰이지만 who, which, where, when, why 등도 쓰인다. 강조 대상은 her husband이다. 빈 곳은 that이나 who가 들어가야 강조구문이 된다. 타동사의 목적어는 능동태 다음과 수동태 앞에 위치한다. ②번의 was made는 타동사의 수동태이므로 그 다음에 목적어인 decisions가 올 수 없다. 따라서 ④번이 옳다. |
정답 | ④ |
not ~ all
• | not ~all | (부분부정) 모두 ~한 것은 아니다 |
• | not ~ at all | (전체부정) 모든 점에서 ~이 아니다 |
• | Not all water is suitable for drinking. |
모든 물이 마시기에 적합한 것은 아니다. | |
• | I do not agree at all. |
나는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 |
기출 1회
08. 지방직 9급
1
우리말을 영어로 잘못 옮긴 것은? (08. 지방직 7급) | |||||
① | 나는 기꺼이 그것을 받아들이겠다. | ||||
I am only too glad to accept it. | |||||
② | 그녀는 전적으로 행복한 것은 아니다. | ||||
She is not at all happy. | |||||
③ | 그러한 사람은 있다고 해도 거의 없다. | ||||
There are few, if any, such men. | |||||
④ | 비용은 말할 것도 없고 시간도 많이 걸린다. | ||||
It takes up too much time, let alone the expenses. |
정답 & 해설
해설 | |
① | only too = (glad, happy등과 to do로 이어지는 꼴로) 그저 ~할 따름, 매우 |
② | not at all은 [모든 점에서 아니다, 조금도 ~않다]는 뜻으로 완전부정이다. 그런데 우리말의[전적으로 행복한 것은 아니다]는 부분부정이다. 따라서 영어와 우리말의 뜻이 다르다. |
③ | few, if any = ~이 있다 하더라도 거의 없다 |
④ | let alone = ~은 말할 것도 없다 |
정답 | ② |
as, than, so
as , so , than 다음 은 종종 도치 된다. |
• | The sea has its currents, as does the river. |
바다는 강과 마찬가지로 물살이 있다. | |
• | She respects him more than does her son. |
그녀는 아들보다 그를 훨씬 더 존중한다. |
기출 2회
14. 서울시 9급
14. 지방직 9급
1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14. 서울시 9급) | |
① | At certain times may this door be left unlocked. |
② | Eloquent though she was, she could not persuade him. |
③ | So vigorously did he protest that they reconsidered his case. |
④ | The sea has its currents, as do the river and the lake. |
⑤ | Only in this way is it possible to explain their actions. |
정답 & 해설
해석 | |
① | 특정 시간에 이 문은 열려 있을 수 있다. |
② | 비록 그녀는 유창했지만, 그녀는 그를 설득할 수는 없었다. |
③ | 그는 그들이 그의 사건을 재고했다는 점에 대해 강력하게 항의했다. |
④ | 바다는 조류가 있다. 강과 호수도 마찬가지이다. |
⑤ | 이런 식으로 만 그들의 행동을 설명 할 수있다. |
해설 | |
① | 시간(At certain times)은 문두에 와도 그 다음의 [주어 + 동사]는 도치가 일어나지 않는다. may this door be left → this door may be left |
② | though/ as/ that = (양보접속사) 비록 ~이지만. [무관사 명사/형용사/부사 + though/as/that S + V]은 도치 양보절이다. 이 영문은 보어인 Eloquent가 접속사 앞에 나간 도치양보절이다. |
③ | so ~ that S + V에서 so를 강조하기 위해 so가 문두에 나가면 그 다음은 도치된 절(V + S)이 온다. |
④ | as(~처럼, ~와 마찬가지로)는 양태 접속사이며 문어에서는 as + V + S의 순서로 도치 구문을 쓰기도 한다. 이 문장에서 as 다음은 도치 구문이 쓰였으며 do는 have its currents를 대신해서 쓰인 대동사이다. |
⑤ | only + 부사(구/절) 다음은 [동사 + 주어] 어순으로 도치된다. |
정답 | ① |
부정어
• | no | [형] 어떤 ~도 없는 |
• | not | [부] ~않다 |
• | never | [부] 결코 ~하지 않은 |
• | little | [부] 거의 ~않다 |
• | none | [대] 아무도 ~않다 |
• | nowhere | [부] 어디에도 ~없다 |
• | He has no money. |
그는 돈이 하나도 없다. |
기출 1회
18. 교행직 9급
1
다음 빈칸 (A), (B)에 들어갈 표현으로 어법상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18. 교행직 9급) | |||||
Modern industrial societies and their problems are becoming increasingly complex, and because (A) one person today can master all the social sciences, growing emphasis is placed on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many social problems.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 means (B) a group of social scientists with different specialties will work together on a certain problem, not all of whose aspects any one of the group fully understands. | |||||
(A) | (B) | (A) | (B) | ||
① | no | that | ② | any | that |
③ | no | what | ④ | any | what |
정답 & 해설
해석 | 현대 산업 사회와 그 문제는 점차 복잡해지고 있다. 오늘날 어느 한 사람이 모든 사회 과학을 습득할 수 없기 때문에, 많은 사회 문제에 대한 학제간 접근에 점점 더 중점을 두고 있다. 학제간의 접근법은 다른 전문가들로 된 사회 과학자 그룹이 특정 문제에 대해 공동으로 일해야 함을 뜻하며, 그 그룹의 어느 한 사람이 문제의 측면 모두를 완전히 이해하는 것은 아니다. |
interdisciplinary [ìntərdísəplənèri] 학제간의(=여러 학문 분야가 관련된) | |
approach [əpróuʧ] 접근법 | |
increasingly [inkríːsiŋli] 점점 더 | |
specialty [spéʃəlti] 특수성 | |
aspect [ǽspekt] 측면 | |
해설 | |
(A) | Modern ~ complex(현대 산업 사회와 그들의 문제가 점차 복잡해지고 있다)와 growing ~ problems(많은 사회 문제에 대해 여러 학문분야가 참여해서 문제를 해결하는 학제간 접근이 중요하다)를 고려하면 because절은 [어느 한 사람이 모든 사회 과학을 습득할 수 없다]고 해야 문맥상 의미가 맞다. 따라서 (A)에는 부정의미의 no가 들어가야 한다. |
(B) | 관계대명사 다음은 불완전한 절이 온다. 접속사 다음은 완전한 절이 온다. (B) 다음은 1형식의 완전한 절이다. 따라서 빈 곳에는 접속사 that이 들어가면 된다. |
정답 | 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