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class Reading

TOPIC SENTENCE CLUE 주제문 단서

1

비평

필자는   두 가지 상반되는 내용  을   대조  시켜서   자신의 주장  을 편다. 이 때   일반적인 사실을 먼저 제시  하고 난 다음에   이에 반대되는 자신의 주장  을 담은  주제문  을   대조 접속사  나   대조 접속부사   다음에  제시  한다.
일반인들 생각+but  그러나+필자의 생각
  however 주제문
  yet  
  still  
  while  
  conversely  그와 반대로  
  on the contrary  
  on the other hand  
  contrariwise  
  in contrast 대조적으로  
  대조접속(부)사    
       
↳ 대조접속(부)사 다음에 있는 필자의 주장이 일반적으로 주제문이다.
다음 글은 비평에 대한 예이다.
The supporters of capital punishment believe that fear of death penalty deters crime. However, it is wrong to treat minors the same as adults in giving death penalty.
해석:

사형제도의 지지자들은 사형의 두려움이 범죄를 그만두게 한다고 믿고 있다. 그러나, 미성년자들을 성인들과 똑같이 사형에 처하는 것은 잘못이다.

주제문:However, it is wrong to treat minors the same as adults in giving death penalty.
해설:사형제도에 대한 지지자들의 생각을 먼저 말하고 나서 이와 반대되는 필자 자신의 생각을 However 다음에서 제시했는데 바로 이 문장이 주제문이다.
5/5
2

대조

 대조 접속(부)사  의   앞과 뒤  에   3자의 생각  으로만 구성되어 있고   필자의 주관적 생각이 없다면  , 대조 접속(부)사 앞과 뒤의   두 문장 모두 주제문에 포함  시켜야 한다.
3자의 생각+but  그러나
+3자의 생각
주제문 however 주제문
  yet  
  still  
  while  
  conversely  그와 반대로  
  on the contrary  
  on the other hand  
  contrariwise  
  in contrast 대조적으로  
  대조접속(부)사    
       
↳ 3자의 생각 모두를 일반적으로 주제문에 포함시킨다.
다음 글은 대조에 대한 예이다.
Some museums refuse to accept any objects that have a questionable provenance because they might have been stolen from archaeological sites or looted from other museums. It is not unusual during times of war or political upheaval, as recent wars in Afghanistan and Iraq have illustrated, for artifacts to be stolen and offered for sale to the highest bidder. Howeversome other museum directors insist that there are good reasons for accepting artifacts of unknown origin. …

   이론

   예문

   끊어읽기

해석:일부 박물관들은 출처가 의심스러운 어떠한 유물도 받길 거부한다. 왜냐하면 그것들은 고고학 발굴지에서 도난당했거나 다른 박물관들에서 약탈당한 것일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에서의 최근 전쟁이 보여주는것처럼, 전시나 정치적 격변기에 문화유물이 도난당하고 높은 금액을 부르는 사람에게 팔려고 내놓아지는 것은 흔한 일이다. 하지만 일부 다른 박물관 관장들은 출처를 모르는 문화유물들을 받아들이는 데에는 충분한 이유가 있다고 주장한다.
주제문:Some museums refuse to …However, some other museum … unknown origin.
해설:however 앞[뒷]절은 3자의 생각이므로 두 절을 합한 내용(박물관이 안고 있는 딜레마)이 주제문이다.
5/5
3

양보

 문두  나   문미  에   양보절/구  로 구성된 문장이 있다면,   양보절 다음의 주절  이 보통   주제문  이다.
   Though   S + V  S + V 
=  Although   S + V
=  However   S + V
=  No matter how   S + V
=  In spite of  목적어  S + V  
=      Despite  목적어
  양보절/구  주절(주제문)
Though he was so poor, he had enough to eat.
  그는 매우 가난했지만, 먹을것은 충분했다.
No matter how dry a desert may be, it is not necessarily worthless.
  사막이 아무리 건조하다 할지라도, 반드시 가치가 없는 것은 아니다.
4/5

1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Although praise may encourage children to continue an activity while an adult is watching, according to recent studies, they are less likely to continue the activity when the adult leaves or to repeat the activity in the future. Rather than increasing children’s commitment to positive behavior, praise encourages children to find ways to get future verbal “ goodies” from important adults. In other words, praise is like the large pink icing rose in the center of a cake. It is appealing and at first bite its sweetness tastes wonderful. A couple more bites still might taste good, but it quickly becomes overly sweet. It has only one simple flavor; we soon tire of it and if we eat very much at any one time, we might even feel slightly ill. It may provide some quick energy but it provides no nourishment and doesn’t support growth or health.
   
칭찬은 어린이에게 장기적으로는 효과가 없을 수 있다.
칭찬받는 어린이는 정신적으로 건강하게 성장한다.
칭찬은 어린이의 바람직한 행동을 유발할 수 있다.
어린이를 칭찬할 때는 달콤한 언어를 삼가야 한다.
어린이를 칭찬하는 어른은 일관성을 유지해야 한다.
해석: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비록 칭찬이 아이들로하여금 어른이 지켜보고 있는 동안은 어떤 활동을 계속하게끔 장려할 수 있지만, 그들은 어른이 자리를 떠날 때 그 행위를 계속하거나 미래에 그 행동을 반복할 가능성이 더 적다. 칭찬은 긍정적인 행위에 대한 어린이들의 헌신을 증가시키기 보다는, 아이들로 하여금 중요한 어른들로부터 미래의 언어적으로 맛있는 것들을 얻기위한 방법을 찾도록 조장한다. 다시 말하면, 칭찬은 케익 중앙에 있는 큰 핑크색 당의 장미와 같다. 그것은 매력적이고 처음 깨물었을 때 그것의 달콤함은 환상적인 맛이다. 두 번 더 깨물어도 좋은 맛이 날지 모른다. 하지만 그것은 빠르게 지나치게 단맛이 된다. 그것은 단지 한 가지의 단순한 맛을 지닌다. 우리는 곧 그것에 실증을 낸다. 그리고 만일 우리가 언젠가 한 번에 매우 많이 먹으면, 우리는 다소 기분이 나쁠지 모른다. 그것은 약간의 신속한 에너지를 공급하지만 그것은 영양분을 공급하지는 않으며 성장이나 건강을 증진시키지는 않는다.
 
주제문:Although praise may ~ studies, they are less ~ in the future.
해설:양보절(Although praise ~ studies,) 다음에 있는 주절(they are less ~ in the future)이 주제문이다. 요지는 바로 주제문 안에 있다.
정답:
4

예시

 for example  for instance  first  ,   first of all  의   앞 문장  이   주제문  이다.  
for example, for instance, first, first of all은 주제문 바로 다음에서 뒷받침문의 시작을 알려준다. 따라서 이 어구 앞의 문장이 주제문이다. 주의할 것은 뒷받침문을 다시 뒷받침하는 문장에도 for example, for instance가 온다는 점이다.
 for example (예를 들어) 
 S + V  ,  for instance (예를 들어)  ,   S + V 
주제문  first (첫째)      뒷받침문
 first  of all (다른 무엇보다 먼저)  
다음 글은 예시에 대한 예이다.
Computer language can be funny at times. For example, we say computers have a memory. We know that they do not really remember or think.
해석:컴퓨터 언어는 때때로 재미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우리는 컴퓨터가 메모리를 갖고 있다고 말한다. 우리는 그것들이 정말 기억하거나 생각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다.
주제문:Computer language can be funny at times.
해설:For example 앞의 문장이 주제문이므로 Computer language can be funny at times가 주제문이다.
2.5/5
5

이유

 because  because of  for this reason  ,   since (~때문에)  ,   owing to  ,   due to   등 원인이나 이유가 오면   주절  은   결과를 나타내는 주제문  일 가능성이 높다.  
 Because ~ 
=  Since ~ 
=  Because of ~   S + V 
=  For this reason ~       주제문
=  Owing to ~ 
=  Due to ~ 
~때문에
다음 글은 이유에 대한 예이다.
Because of the damage that mice do, people have made traps to catch them. Early people built a simple trap. When the mouse touched the bait, a heavy rock fell on it. Since then, people have invented all kinds of traps.
해석:쥐가 끼치는 해로움 때문에, 사람들은 그들을 잡기 위해 쥐덫을 만들었다. 옛날 사람들은 단순한 쥐덫을 만들었다. 쥐가 미끼를 건드리면, 무거운 돌이 쥐 위에 떨어진다. 그때 이후부터, 사람들은 모든 종류의 쥐덫을 고안해 냈다.
주제문:Because of the damage that mice do, people have made traps to catch them.
원인:Because of the damage that mice do
결과:people have made traps to catch them.
해설:원인과 결과로 구성된 문장에서는 결과절이 주제문이 된다.
2.5/5
6

의문문

 질문으로 시작하는 글  은   답변 문장  이   주제문  일 가능성이 높다. 
의문문으로 글을 시작하는 것은 필자가 질문의 답을 알면서도 독자의 관심을 끌기 위한 것이다. 필자는 질문과 함께 답변도 제시하는데 답변 문장이 주제문이다. 수사 의문문은 글쓴이의 주장을 강조한다.
 (의문사) + V + S  ~?    S + V ~. 
의문문        주제문
다음 글은 의문문과 주제문에 대한 예이다.
Will cyber schools replace traditional schools someday? In spite of their problems, traditional classrooms hold many advantages over online classes. First of all, traditional classrooms are a place where students may relate to one another face to face.
해석:가상 학교가 언젠가 전통 학교를 대체할까? 그것들의 문제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인 교실들은 온라인 교실들에 비해 많은 장점을 갖고 있다. 무엇보다 먼저, 전통적인 교실들은 학생들이 얼굴을 맞대고 서로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장소이다.
주제문:traditional classrooms hold many advantages over online classes.
해설:첫 문장은 의문문이며 두 번째 문장은 답변이다. 따라서 답변 문장인 두 번째 문장이 주제문이다.
3/5
7

I think

 I think  I believe  I suggest  ,   In my thought  ,   In my opinion  처럼   필자 자신의 생각을 직접 표현  하는 문장은   주제문  일 가능성이 높다.  
I think (or believe, suggest) that, in my thought, in my opinion(내 생각에는) 다음은 필자의 주장이 온다. 필자의 주장이 주제문이므로 이런 어구가 오면 주제문임을 확인하자.
 I think 
 I believe 
 I suggest  +   (that) S + V 
 In my thought                   주제문
 In my opinion 
다음 글은 I think와 주제문에 대한 예이다.
As parents we all have different ideas of what success means for our children. I think that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success has to do with finding a real passion for something in life. It means a responsibility to live up to one’s potential. That has to be discovered; it can’t be forced upon a youngster growing up.
해석:부모로서 우리들 모두는 성공이 자녀들에게 무슨 의미인지에 대해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다. 나는 성공의 가장 중요한 면은 삶에 있어서 무언가를 위한 진정한 열정을 발견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것은 자신의 잠재력에 따라 살아야 할 책임감을 뜻한다. 그것은 발견되어야 한다; 그것은 자라나는 청소년들에게 강요되어서는 안 된다.
도입문:As parents we all have different ideas of what … for our children.
주제문:I think that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success has to do with finding a real passion for something in life.
해설:첫 문장은 도입문이며 주제문은 I think that 다음 부터 주제문이다.
2.5/5
8

현재시간 표시어

 now  today  currently (현재)  ,   presently (현재)  ,   at present (현재)  등   현재를 뜻하는 단어  가 오면 그 문장이   주제문  일 가능성이 높다.  
필자는 과거에 비해 달라진 현재 상황을 강조하기 위해 과거 상황과 현재 상황을 나란히 둔다. 이때 now, today 등으로 현재 상황을 나타낸 문장이 주제문이다.
다음 글은 현재시간 표시어와 주제문에 대한 예이다.
Because of technological advances, now more than ever before, personal privacy is hard to achieve. For example, If you use a credit card, every charge you make is on a database that police, among others, can check.
해석:기술적인 진보 때문에, 이전 보다 지금이 더, 개인적인 프라이버시는 성취되기 힘들다. 예를 들어, 만일 당신이 신용카드를 사용한다면, 당신이 하는 모든 거래는, 다른 사람들 중에서도, 경찰이 조사해 볼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화 된다.
주제문:Because of technological advances, now more than ever before, personal privacy is hard to achieve.
해설:과거에 비해 지금이 개인 프라이버시를 성취하기 더 어렵다.
3/5
9

전문가

필자는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견해  전문가 (철학자, 과학자 심리학자, 의사 등)  연구 보고서의 결과  ,   통계자료  ,   인용문  속담  등을 제시하여   자신의 주장을 펴거나   또는   자신의 주장을 대신  한다.  
이런 경우 보통 다른 사람의 의견이 제시되고, 그 다음에 이를 뒷받침하는 구체적인 사례나 타당한 설명이 이어진다.
 scientist    과학자 
 researcher    연구원  
 expert    전문가  
 doctor    의사  
 psychologist    심리학자  
 survey    조사하다  
 research    연구(하다)  조사(하다) 
 study    연구  학문  검토  조사  
 show    증명하다  밝히다  
 suggest    제안하다  암시하다  
 report    보고하다  기록하다     
 believe    믿다  
 say    말하다  
Research in learning suggests that getting good grades depends more on effective study skills than on a high IQ.
  학습 연구 결과는 좋은 점수를 얻는 것은 높은 IQ보다 효과적 학습법에 더 의존한다는 사실을 제시하고 있다.
Recent studies by psychologists suggest that posture reflects a person’s attitude toward people he is with.
  심리학자들의 최근 연구는 자세는 함께 있는 사람들에 대한 그의 태도를 반영한다고 한다.
Scientists and doctors say that junk food is bad.
  과학자들과 의사들은 영양가가 낮은 식품은 나쁘다고 말한다.
Studies show that ,as you get fatter, the risks escalate sharply.
  연구결과는 뚱뚱해 질수록 위험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것으로 나와있다.
5/5

1

다음 글의 주제문을 찾아보세요.
 
Scientists studying the effects of deforestation on weather see two conflicting outcomes. One group predicts a global warming trend, spurred by the ‘Greenhouse’ effect of carbon dioxide released when woodlands and fossil fuels are burned. Others believe that by making the earth’s surface ‘shinier’ lost forest cover may increase reflection of sunlight and lower temperatures down.
해석:산림벌채가 날씨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있는 과학자들은 두 가지 상충된 결과를 예상한다. 한 그룹은 세계적인 온난화 경향을 예측하고 있다, 산림지와 화석연료가 탈 때 방출되는 이산화탄소에 의한 ‘온실’효과에 의해 촉진된다. 다른 과학자들은 지구표면을 ‘더 빛나게’함으로써 산림이 벌채된 표면은 태양광선의 반사를 증대시켜 온도를 떨어뜨릴 것으로 믿는다.
주제문:Scientists studying the effects of deforestation on weather see two conflicting outcomes.
해설:첫 문장에서 과학자들의 의견이 제시되었고 둘째 문장에서 뒷받침문이 시작된다.
10

포괄적 개념

 포괄적인 개념 (several, many, different, difference)  을 담고 있는 문장이   주제문  이고,   구체적인 개념  을 담고 있는 문장은   뒷받침문  이다. 포괄적 개념을 제시한 이후 이것을 다시 하나의 개념으로 줄여서 주제문으로 하고 이어서 뒷받침문이 시작되기도 한다.
구체적 개념전체에서의 일부, 집단에서의 개체를 말한다. 포괄적 진술은 주제문이 되고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진술은 뒷받침문이 된다.
There are several reasons for the aging of American population.
 미국 인구의 노령화에 대한 몇 가지 이유가 있다.
The use of animals in medical research has many practical benefits.
 의학연구에서 동물의 이용은 많은 실질적인 이점들이 있다.
They differ from hospitals and nursing homes in several ways.
 그것들은 몇 가지 점(way)에서 병원이나 요양원과는 다르다.
College is really different these days.
 대학은 최근에 정말 달라졌다.
People study for different reasons.
 사람들은 다양한 이유로 공부를 한다.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listening to something and reading it.
 무언가를 듣는 것과 그것을 읽는 것에는 큰 차이가 있다.
다음 글은 포괄적 개념과 주제문에 대한 예이다.
There are many ways by which man arrives at a truth. He arrives at a mathematical truth by deduction, he arrives at the truth on beauty and on order by his aesthetic judgement, and he arrives at a moral truth by conscience.
해석:인간이 진리에 도달하는 여러 가지 방법들이 있다. 추론에 의해 수학적 진리에 이르고, 미적 판단에 의해미와 질서에 관한 진리에 이르고, 양심에 의해 도덕적 진리에 이른다.
주제문:There are many ways by which man arrives at a truth.
주제문 근거:many ways
뒷받침문:He arrives at a mathematical … by conscience.
해설:many ways(여러 가지 방법들)는 포괄적 개념의 단어이며, many ways에 대한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개념으로 deduction(추론), aesthetic judgement(미적 판단), conscience(양심)이 제시되었다.
5/5
11

강조 형용사, 최상급

 necessary  essential  important  ,   clear  ,   certain  obvious  evident  ,  the most  등 강조 형용사나 초상급이 있는 문장은   주제문  일 가능성이 높다.
중요성(important, critical), 필요성(necessary, essential), 명백함(clear, certain, evident, obvious), 최상급(the most) 등은 필자가 자신의 주장을 강조할 때 쓰이는 형용사들이다. 이런 단어가 있는 문장은 주제문일 가능성이 높다. 명백함은 자신의 주장에 이의가 없으므로 믿으라고 할 때 쓰이는 말이다.
Crying is necessary for the infant and the parents.
 우는 것은 아이와 부모에게 필요하다.
Abundant energy is essential to modern civilization.
 풍족한 에너지는 현대문명에 필요하다.
The most important lessons can’t be taught.
 가장 중요한 교훈들은 가르쳐질 수 없다.
다음 글은 강조 형용사와 주제문에 대한 예이다.
It is obvious that TV is addictive : Even babies will sit for hours fascinated by the movement and changing colors. From childhood onwards, when the sounds and pictures have meaning, it is a great temptation to just sit in front of the television.
해석:TV가 중독성이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 아기들조차도 움직임과 색상의 변화에 매혹되어 몇 시간 동안 앉아 있다. 소리와 그림이 의미를 가질 때, 어린시절 이후부터, TV 앞에 앉아 있고 싶은 큰 유혹이 있다.
주제문:It is obvious that TV is addictive
주제문 근거:obvious
해설:obvious로 봐서 첫 문장이 주제문이다. Even babies부터는 뒷받침문의 시작이다.
3.5/5
12

조동사

 must  should  need  가 있는 문장이 있다면   주제문  일 가능성이 높다.
must(~해야 한다), should(~해야 한다), need(~할 필요가 있다)는 필자의 주장이나 의무, 필요성을 나타낸다. 필자의 주장을 나타내는 문장을 주제문이라 한다. 따라서 이런 조동사가 있는 문장은 주제문일 가능성이 높다.
다음 글은 조동사와 주제문에 대한 예이다.
Language is so much a part of our daily activities that some of us may come to look upon it as a more or less automatic and natural act like breathing or winking. Of course, if we give the matter any thought at all, we must realize that there is nothing automatic about language. Children must be taught their native tongue and the necessary training takes a long time.
해석:언어는 우리의 일상 활동의 너무나 많은 부분을 차지해서 우리들 중 일부는 그것을 숨쉬고 눈을 깜박거리는 것처럼 다소 무의식적이고 당연한 활동으로 여길지 모른다. 물론, 만일 우리가 그 문제를 생각해 본다면, 우리는 언어에 관한 무의식적인 것은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아이들은 그들의 모국어를 가르침받아야만 하고 그리고 필요한 훈련은 긴 시간이 걸린다.
주제문:Children must be taught their native tongue and the necessary training takes a long time.
주제문 근거:must
해설:문미에 있는 문장에 must가 있으므로 주제문이다. must는 필자의 주장을 나타내는 단어이다.
3.5/5
13

일화, 체험

 일화  체험  으로 시작하는 글은   문미의 문장  에   주제문  일 가능성이 높다.
필자는 자신이 직접 경험한 체험이나 일화를 토대로 글을 전개해 나간다. 이런 글은 이야기가 전개되는 과정을 따라가면서 잘 읽어야 한다. 필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요지나 의도는 문미에 있는 결론 부분에 주로 나타낸다.
다음 글은 일화나 체험과 주제문의 관계에 대한 예이다.
My wife and I were at a friend’s house recently. We noticed our friend talking on the phone while simultaneously answering the door, checking on dinner, and changing her baby’s diaper. Many of us do the same when we are speaking to someone and our mind is elsewhere. When doing anything, just focus on what you are doing.
해석:아내와 나는 최근에 한 친구 집에 갔었다. 우리는 그 친구가 전화를 받으면서 동시에 찾아온 손님을 맞이하러 나오고, 식사 준비를 확인하며, 아기의 기저귀를 갈아 주는 것을 보았다. 우리들 중 많은 사람들이 누군가와 이야기 하고 있을 때 같은 행동을 하는데 그러면 우리의 마음은 딴 데 있다. 어떤 일을 할 때는 여러분이 하고 있는 것에 집중하라.
주제문:When doing anything, just focus on what you are doing.
일화:My wife and I were at a friend’s house recently. We … diaper.
해설:일화로 시작해서 글을 전개하고 문미에 가서 필자의 주장이 담긴 문장이 주제문으로 나왔다.
2/5
14

in brief, in short

 문미  에   in brief (요약해서 말하자면)  in short (요약해서 말하자면)  가 오면   주제문  이다.
in brief, in short는 앞에서 언급된 내용을 한 문장으로 요약해 주기 위해 온다. 이 어구 다음의 문장이 주제문이거나 문두에 언급된 주제문을 재구성한 것이 된다.
다음 글은 in brief나 in short와 주제문의 관계에 대한 예이다.
Every product we buy has an effect on the environment. Even before we spend our money, making, advertising, and packaging what we buy can cost a lot in pure water, air, and soil. In short, our shopping habits can have considerable effects on the environment.
해석:우리가 구매하는 모든 제품은 환경에 영향을 미친다. 우리가 우리의 돈을 쓰기 전에 조차도, 우리가 구매하는 것을 만들고, 광고하고, 그리고 포장하는 것은 깨끗한 물, 공기 그리고 토양에 많은 희생을 치르게 한다. 결국, 우리의 쇼핑 습관은 환경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주제문:Every product we buy has an effect on the environment.
결론문:our shopping habits can have considerable effects on the environment.
표시어:In short
해설:결론문은 문두의 주제문을 재구성 한 것이다. 따라서 in brief, in short가 나오면 그 다음 내용은 주제문의 반복이라고 보면 된다.
3.5/5
15

명령문

 명령문  이   문두  나   문미  에 있다면   주제문  일 가능성이 높다.
명령문은 글쓴이의 충고나 조언으로 필자가 자신의 주장을 강하게 나타낼 때 쓰인다. 필자의 주장이 실린 문장이 주제문이다. 따라서 문두나 문미에 명령문이 있다면 주제문일 가능성이 높다.
다음 글은 명령문과 주제문의 관계에 대한 예이다.
Most people have great difficulties making their own decisions when they are not sure what to do. They often let close friends and relatives influence them through opinions. They even allow gossiping neighbors to express their thoughts for them. Remember you have a brain and mind of your own. You should use it and reach your own decisions.
해석:대다수 사람들은 그들이 무엇을 해야 할지 확신하지 못할 때 그들 자신의 결정을 내리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그들은 종종 친한 친구와 친척들이 의견을 제시하여 그들에게 영향을 미치도록 한다. 그들은 심지어 수다스러운 이웃들이 그들을 위하여 생각을 표현하도록 허용한다. 당신은 당신 자신의 두뇌와 정신을 갖고 있다는 것을 기억하라. 당신은 그것을 사용해서 당신 자신의 결론에 이르러야 한다.
주제문:Remember you have a brain and mind of your own. You should use ~ decisions.
표시어:명령문(Remember …), should
해설:문미에 명령문이 있으므로 주제문임을 알 수 있다. 명령문 다음에는 필자의 주장을 나타내는 should가 있으므로 이 또한 주제문의 단서이다.
3/5
16

in other words

 문미  에   in a word  ,   in other words  that is  that is to say  가 있다면   주제문  일 가능성이 높다.
in a word(한 마디로 하면), in other words(바꿔 말하면), that is (to say) (바꿔 말하면) 등은 필자의 생각을 다시 정리해 주므로 결론문(=재구성된 주제문)을 이끈다.
다음 글은 in other words와 주제문의 관계에 대한 예이다.
The great fault in John’s character was a strong dislike of all kinds of domestic duty. He was always first to appear at local events, and he would never refuse to help a neighbor. As for taking care of his own family and keeping his farm in order, however, he found these tasks impossible. In a word, John was ready to attend to anybody’s business but his own.
해석:존의 성격에서 큰 단점은 모든 종류의 가사를 아주 싫어한다는 것이었다. 그는 늘 지역 행사에는 맨 먼저 나타났고, 그리고 그는 이웃을 돕는 것을 결코 거절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의 가정을 돌보고 그리고 그의 농장을 정리정돈하는 것에 관해서는, 그는 이 일들이 불가능한 것을 알았다. 한 마디로, 존은 자신의 것을 제외한 다른 사람의 일을 보살필 준비가 되어 있었다.
주제문:The great fault in John’s character was ~ duty.
결론문:John was ready to attend to anybody’s business but his own.
표시어:In a word
해설:주제문과 결론문은 의미가 같음(=자신의 일은 싫어하고 남을 도와 주는 것은 좋아함)을 알 수 있다. 결론문에는 주제문이 재구성되어 나타나며 in a word 다음은 재구성된 주제문이 온다는 것을 기억하자.
3/5
17

결론문 표시어

문미에   so  therefore  thus  ,   hence   등   결과 접속사  가 오면   바로 다음 문장  이   주제문  일 가능성이 높다.  
 원인   so    결과 (필자의 결론) 
 therefore 
 thus 
 hence 
결론문 표시어        결론문
 because of this ~    이 ~ 때문에 
 for this reason    이런 이유 때문에   
 for these reasons    이런 이유들 때문에  
 as a result of    ~의 결과로서  
 in the result    결국  
 in the end    결국  
 in sum    결국  
 in conclusion    결론으로서  
 so    그러므로  그래서  
 hence    그러므로  
 thus    그러므로  따라서 
 therefore    따라서  그 결과 
 overall    전체적으로 보면 
 certainly    확실히  
 clearly    확실히  
 surely    확실히  
 sure    확실히  
 indeed    (양보) 정말  ,   확실히 
 so ~ that S + V    너무 ~해서 ~하다  ✱ that절이 결과절이다.
다음 글은 결론문 표시어와 결론문의 관계에 대한 예이다.
Foreigners have played and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this hightech world. They make up half of our Ph. D.’s in computer science and one quarter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Therefore restricting the admission of these gifted immigrants is against our own interest.
해석:외국인들이 이런 첨단 기술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 왔고 그리고 하게 될 것이다. 이들이 컴퓨터 과학 분야에서 우리 박사들의 절반을 차지하며 국립과학원의 4분의 1을 차지한다. 따라서 이런 재능있는 이민자들의 입국을 제한한다는 것은 우리의 이익에 배치된다.
주제문:restricting the admission of these gifted immigrants is against our own interest.
결론문 표시어:Therefore
해설:원인(외국인들이 첨단 분야에 중요한 역할을 함) + therefore + 결과(재능 있는 이민자들의 입국을 제한 하는 것은 우리 이익에 배치됨)
4/5
18

주관적 견해

 주제에 대한 필자의 생각  은   주관적인 견해  이다. 따라서   주관적인 견해(opinion)  를 담고 있는 문장이   주제문  일 가능성이 높다.  
한 편의 글에 담긴 정보는 객관적 사실(fact)과 주관적 견해(opinion)가 혼합되어 있다.fact와 opinion을 구분하는 것은 필자의 관점과 태도 및 주장하는 바가 무엇인지, 어떤 사실을 바탕으로 결론에 이르는지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➊ 주관적 견해 (opinion)      
 
 글쓴이의 주관적인 생각이나 주장  이다.
주제문의   요지  는   주관적인 견해 (opinion)  가 제시된 부분이다.
➂ 증명될 수 없다.
➃ seem, appear과 같은 동사가 종종 나타난다.
➄ apparently, probably, potentially, possibly와 같은 부사가 종종 나타난다.
➅ more, better, most, best, least와 같은 비교 표현이 종종 쓰인다.
➆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가치 판단을 종종 한다.
➇ 문두나 문미에 주제문이 없다면 견해(opinion)가 있는 문장에서 답을 구한다.
Horses are the best companions a person can have.
 말은 사람이 함께하는 가장 친한 친구이다.
The mosquito is the insect most willing to duel with man.
 모기는 인간과 가장 잘 싸우는 벌레이다.
➋ 객관적 사실 (fact)
 
 실제 있거나 있었던 일  을 나타낸다.
 객관적  이다.
(객관적인 증거나 증언, 과학적 방법 등으로) 증명될 수 있다.
수(number), 통계 자료, 날짜, 측정치 등이 종종 사용된다.
From full moon to full moon, the lunar cycle is 29.5 days.
 만월에서 만월까지, 태음 주기는 29.5일이다.
Albert Einstein was born in Ulm, Germany, in 1879.
 아인슈타인은 1879년 독일의 Ulm에서 태어났다.
Warm air is lighter than cold.
 더운 공기는 찬 공기보다 더 가볍다.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