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class
Reading
DEVELOPMENT METHOD 글의 전개 방식
1
글의 전개방식
필자는 자신이 의도한 것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글을 쓸 때 일정한 전개방식을 취한다. 글의 전개 방식을 알면 읽는 것을 이해하고 기억하는데 도움을 주며, 주제문과 뒷받침문을 구분하는데 도움을 준다.
글의 전개 방식의 종류 | |||||||||
➊ | 열거 Listing | ||||||||
➋ | 시간 순서 Time order | ||||||||
➌ | 원인과 결과 Cause and effect | ||||||||
➍ | 비교와 대조 Comparison and contrast | ||||||||
➎ | 묘사 Description | ||||||||
➏ | 분류 Classification | ||||||||
➐ | 정의 Definition | ||||||||
➑ | 예시 Example |
기출 1회
☆☆☆☆☆ 1/5
2
열거 (Listing)
열거 전개방식이란 뒷받침문을 가리키기 위해 순서 개념의 표시어를 각각의 뒷받침문의 시작점에 붙이는 것을 말한다.
열거 전개 방식에 쓰이는 표시어 | |||||||||
➊ | first 첫째 | ||||||||
➋ | second 둘째 | ||||||||
➌ | finally 마지막 | ||||||||
➍ | for example 예를 들어 | ||||||||
➎ | also 또한 | ||||||||
➏ | some 몇몇 | ||||||||
➐ | one 하나 | ||||||||
➑ | another 다른 또 하나 | ||||||||
➒ | other 다른 것 | ||||||||
➓ | and 그리고 |
다음 글은 열거 전개 방식이 적용된 예이다. | |
Advertisers use many techniques to sell products. First, they use famous people because people want to buy things that famous people advertise. Second, people usually want to do the same thing that others do. Advertisers use this simple fact. Finally, they sometimes use words or sentences which deceive people. |
해석: | 광고주들은 제품을 팔기위해 많은 기법을 사용한다. 첫째, 그들은 유명한 사람들을 이용한다, 왜냐하면 사람들은 유명한 사람들이 광고하는 제품을 구매하길 원하기 때문이다. 둘째, 사람들은 보통 다른 사람들이 하는 것과 같은 것을 하길 원한다. 광고주들은 이 단순한 사실을 이용한다. 마지막으로, 그들은 가끔 사람들을 속이는 단어나 문장을 이용한다. |
주제문: | Advertisers use many techniques to sell products. |
전개방식: | 열거 (Listing) |
표시어: | First, Second, Finally |
뒷받침문: | First, they use ~ which deceive people. |
해설: | 각각의 뒷받침문의 시작점에 First, Second, Finally가 붙어 있는 것으로 봐서 이 글은 열거 전개방식의 글이다. |
☆☆☆☆☆ 4/5
3
원인과 결과
(Cause and effect)
원인과 결과의 전개 방식은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 힘과 그 힘에 의해 결과적으로 초래되는 현상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방식이다. 보통 원인을 기술하고 그 다음에 결과를 제시하지만 그 반대의 경우도 있다. 이 유형에서는 원인과 결과가 동시에 일어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어느 정도 시간적인 순서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원인 + | so 그래서 | + 결과 |
cause ~로 하여금 ~하게 하다 | ||
effect (어떤 결과를) 초래하다 | ||
result in 그 결과 ~이 되다 | ||
lead to 결국 ~이 되다 | ||
can make 야기하다 | ||
be responsible for ~의 원인이다 | ||
결과 + | because ~때문에 | + 원인 |
because of ~때문에 | ||
be caused by ~에 기인하다 | ||
be due to ~때문이다 | ||
result from ~이 원인이다 | ||
be attributable to ~가 원인이다 |
• | I went early, so he could get a seat. |
그는 일찍 갔다, 그래서 자리를 잡을 수 있었다. | |
• | The rain caused the river to overflow. |
비 때문에 강이 범람했다. | |
• | Carelessness results in accidents. |
부주의가 결국 사고가 된다. | |
• | Exercise can make you thirsty. |
운동은 당신을 갈증나게 한다. | |
• | I was late because my car broke down. |
내 차가 고장났기 때문에 내가 늦었다. | |
• | The accident was due to careless driving. |
그 사고는 부주의한 운전 때문이었다. | |
• | Her death resulted from injuries. |
그녀의 죽음은 부상의 결과로 생겼다. |
☆☆☆☆☆ 2/5
1
다음 글은 원인과 결과의 전개 방식이 적용된 예이다. | |
There are many different causes for car accidents in the United States. Sometimes bad weather causes accidents. Ice or snow can make roads dangerous. Accidents also can result from problems with the car. Even a small problem like a flat tire can be serious. Bad roads are another cause of accidents. Some accidents happen because the driver falls asleep. Finally, some accidents are caused by drinking too much alcohol. In fact, thi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auses of accidents. |
해석: | 미국의 자동차 사고에는 많은 다양한 원인들이 있다. 때때로 나쁜 날씨가 사고의 원인이다. 얼음이나 눈이 도로를 위험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사고는 자동차의 문제로부터 발생할 수도 있다. 타이어 펑크와 같은 작은 문제조차도 심각할 수 있다. 나쁜 도로가 사고의 또 하나의 원인이다. 어떤 사고는 운전자가 졸기 때문에 발생한다. 마지막으로, 어떤 사고는 지나치게 많은 술을 마신 것이 원인이다. 사실, 이것은 사고의 가장 중요한 원인들 중 하나이다. |
해설: | causes, can make, be caused of, because, are caused by로 봐서 이 글은 원인과 결과를 나타내는 글이다. |
4
비교 (Comparison)
둘 또는 그 이상의 대상 에 대해 유사점을 서술 하면 비교 라 한다.
• | be like | 닮다 , 유사하다 |
• | be alike | 닮다 , 유사하다 |
• | similar | 닮은 , 유사한 |
• | similarly | 비슷하게 , 유사하게 |
• | also | 또한 |
• | and also | 그리고 또한 |
• | both | 둘 다 |
• | same | 같은 |
• | in common | 공동으로 , 공통으로 |
다음 글은 비교 전개 방식이 적용된 예이다. | |
Cats are like little babies. You only need to feed them, give them water, clean their litter boxes, and play with them occasionally. And you only need to play with them for fifteen to twenty minutes if you don’t have much time. Cats sleep 18 hours a day so you should be able to get your work done easily. |
비교와 대조 이론
예문
해석: | 고양이들은 어린 애기들과 비슷하다. 먹을 것을 주고, 물을 주고, 분비물 상자를 치워 주고, 그리고 때때로 놀아주면 된다. 그리고 만일 시간이 많지 않다면, 15분에서 20분 동안 그들과 놀아 주기만 하면 된다. 고양이는 하루 18시간 잠으로 여러분은 쉽게 자기 일을 할 수 있다. |
주제문: | Cats are like little babies. |
전개방식: | 비교 (comparison) |
표시어: | like |
뒷받침문: | You only need to feed ~ done easily. |
☆☆☆☆☆ 4.5/5
5
대조 (Contrast)
둘 또는 그 이상의 대상 에 대해 차이점 을 서술하면 대조 전개방식 이다. | |
➊ | 한 가지씩 차례대로 대조 해 나가면 항목별 대조 이다. |
➋ | 어느 한 가지를 설명한 다음 나머지를 설명 하면 전체 대조 이다. |
• | but | 그러나 |
• | however | 그러나 |
• | yet | 그러나 |
still | 그러나 | |
• | while | 그러나 |
• | different | 다른 |
• | unlike | 닮지 않은 |
• | more than | ~보다 더 많은 |
• | less than | ~보다 더 적은 |
• | instead | 그 대신에 |
• | in contrast to | ~와 대비하여 , ~와 현저히 달라서 |
• | on the other hand | 다른 한 편으로 , 이와 반대로 |
• | conversely | 거꾸로 , 반대로 , 그것에 비해 |
다음 글은 대조 전개 방식이 적용된 예이다. | |
People used to have very different ways of eating in Europe. Now everyone uses forks, knives, and spoons. But a thousand years ago, no one used forks at the table. They used only spoons and knives. Today most Europeans do not eat with their fingers. But back then many people picked up their food in their hands. In those days most people did not use glasses for drinking. Instead they drank from bowls or large wooden cups. |
비교와 대조 이론
예문
해석: | 유럽에서 사람들은 식사하는 데 매우 다른 방식을 사용하곤 했다. 지금은 모두가 포크, 나이프, 그리고 스푼을 사용한다. 그러나 천년 전에, 아무도 식탁에서 포크를 사용하지 않았다. 그들은 스푼과 나이프만 사용했다. 오늘날 대다수 유럽인들은 손가락으로 먹지 않는다. 그러나 그 때로 돌아가면 많은 사람들은 손으로 음식을 집어먹었다. 그 당시에 대다수 사람들은 음료를 마시는데 컵을 사용하지 않았다. 대신에 그들은 사발이나 큰 나무 컵으로 마셨다. |
주제문: | People used to have very different ways of eating in Europe. |
요지: | 천년 전 유럽인들의 식사 방식과 오늘날의 식사 방식과 다르다. |
전개방식: | 대조 전개방식 (항목별) |
표시어: | different, But |
해설: | 첫 문장에 different(다른)로 봐서 포괄적인 의미를 담고 있는 주제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different는 설명 대상의 차이점을 나타내는 단어이므로 글은 대조 전개방식을 취함을 알 수 있다. |
☆☆☆☆☆ 5/5
6
분류 (Classification)
분류란 어떤 대상이나 내용을 몇 개의 범주로 분류하고, 각 부분의 특성을 설명하는 것을 말한다.
※ 범주: 동일한 성질을 가진 부류나 범위
분류 표시어 | |||||||||
➊ | There are five (different) kinds of ~ | ||||||||
5가지 다른 종류들이 있다 | |||||||||
➋ | We can divide A into two types. | ||||||||
우리는 A를 두가지 타입으로 분류할 수 있다. | |||||||||
➌ | S +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 ||||||||
S는 2가지 범주로 분류될 수 있다. | |||||||||
➍ | The two basic types of A’s are ~ | ||||||||
A의 두 가지 기본적인 형태는 ~이다 | |||||||||
➎ | S + have various ways of ~ | ||||||||
S는 ~에 대해 다양한 방식이 있다 |
다음 글은 분류가 적용된 예이다. | |
Elements of culture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The first is the material culture, which is made up of all the physical objects that people make and give meaning to. Books, clothing, and buildings are some examples. We have a shared understanding of their purpose and meanings. In contrast, nonmaterial culture consists of human creations that are not physical. Examples of nonmaterial culture are values and customs. Our beliefs and the languages we speak are also part of our nonmaterial culture. |
해석: | 문화의 요소들은 두 개의 범주로 나누어 질 수 있다. 첫째는 물질 문화인데, 그것은 사람들이 만들고 의미를 부여하는 모든 물질적인 대상들로 이루어져 있다. 도서, 의류, 그리고 건축물이 몇 가지 예이다. 우리는 그것들의 목적과 의미에 대해 공통된 이해를 가진다. 대조적으로 비물질 문화는 물질적이지 않은 인간의 창조로 이루어진다. 비물질 문화의 예는 가치와 관습이다. 우리의 신념과 우리가 말하는 언어는 또한 우리의 비물질 문화의 부분이다. |
주제문: | Elements of culture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
뒷받침문: | The first is ~ our nonmaterial culture. |
전개방식: | 분류 (Classification) |
표시어: |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
☆☆☆☆☆ 5/5
7
묘사 (Description)
묘사는 대상의 형태, 촉감, 색상, 향기, 소리 등을 있는 그대로 그려내는 것이다. 묘사는 독자로 하여금 머리속 그림이 떠오르게 하는 글이다.
➊ | 독자에게 주제에 대한 시각적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언어로 표현한다. | ||||||||
➋ | 청각, 미각, 촉각, 후각, 시각 에 어필할 수 있는 감각적인 단어를 사용한다. |
다음 글은 묘사가 적용된 예이다. | |
The aliens came out of the spaceship wearing special suits and helmets. One of them carried a box which seemed to be for testing the air. After studying it carefully, they took off their helmets. Their heads are about the size as ours and are large enough to hold brains. |
해석: | 외계인들은 특별한 옷과 헬멧을 쓰고 우주선 밖으로 나왔다. 그들 중 한 명은 공기를 시험하기 위한 것으로 보이는 상자를 들고 있었다. 그것을 주의 깊게 살펴본 후에, 그들은 헬멧을 벗었다. 그들의 머리는 우리 머리 크기만큼 크고 뇌를 담을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크다. |
주제: | aliens (외계인들) |
전개방식: | 묘사 (description) |
특징: | 주로 시각적 그림을 떠오르게 묘사하고 있다. |
☆☆☆☆☆ 2.5/5
8
정의
(Definition)
정의 는 새로운 용어 나 개념 을 이할 수 있도록 설명 하는 글의 구성을 말한다. 정의에는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여러 예시를 사용하는 것이 흔하다. |
다음 글은 정의가 적용된 예이다. | |
Prejudice means literally prejudgement, the rejection of a contention out of hand before examining the evidence. Prejudice is the result of powerful emotions, not of sound reasoning. If we wish to find out the truth of a matter, we must approach the question with as nearly open a mind as we can and with a deep awareness of our own limitations and predispositions. |
해석: | 선입견이란 글자 그대로 사전판단, 증거를 검토하기 전에 즉시 논쟁의 거절을 뜻한다. 선입견이란 건전한 이성이 아니라 강한 감정의 결과이다. 만약 우리가 어떤 문제의 본질을 찾아내길 바란다면, 우리는 가능한 마음을 열고 그리고 우리 자신의 한계와 경향의 깊은 인식과 함께 문제에 접근해야 한다. |
전개방식: | 정의(Definition) |
☆☆☆☆☆ 3.5/5
9
예시
(Example)
필자 는 자신의 주장을 펴고서 이 대해 구체적인 예를 들어서 알기 쉽게 설명 하나 입증하는 방식 의 글이다. |
다음 글은 예시가 적용된 예이다. | |
If a famous person uses a product, we want to buy the product. When we see James Dean model a brand of blue jeans in an ad, we want to buy the brand because he is famous. |
해석: | 만약 유명한 사람이 제품을 사용하면, 우리는 그 제품을 사기를 원한다. 광고에서 제임스 딘이 청바지의 브랜드 모델을 봤을 때, 우리는 그가 유명하기 때문에 그 브랜드를 사고 싶다. |
필자의 주장: | If a famous person uses a product, we want ~ product. |
전개방식: | 예시 (example) |
예시 시작점: | When we see James Dean |
☆☆☆☆☆ 5/5
10
시간 순서
(Time order)
시간 순서 전개 방식은 사건의 전개 , 사물의 변화 , 인물의 행동 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서술 한다. 이 전개 방식을 연대기적 기술(chronological narration)이라고도 한다. 과거의 시간으로부터 현재의 시간으로 글을 구성하는 것이 흔하지만 역으로 구성되는 경우도 있다.
시간 표시어 | |||||||||
➊ | 날짜 | ||||||||
➋ | first 첫째 | ||||||||
➌ | last 마지막 | ||||||||
➍ | at last 마지막에 | ||||||||
➎ | next 다음에 | ||||||||
➏ | soon 곧 | ||||||||
➐ | after 후에, 나중에 | ||||||||
➑ | finally 마지막에 | ||||||||
➒ | later 나중에 | ||||||||
➓ | times 시대, 연대 |
다음 글은 시간 순서가 적용된 예이다. | |
Beethoven was born in 1770 in Bonn, Germany. He began studying music at the age of four. His first compositions were made in 1782. He began to lose his hearing in 1798 but didn’t stop composing. By the time he finished composing his Ninth Symphony in 1823, Beethoven was completely deaf. |
해석: | 베토벤은 1770년 독일 Bonn에서 태어났다. 그는 4살 때 음악을 공부하기 시작했다.그의 첫 번째 작곡집은 1782년에 만들어졌다. 그는 1798년에 청력을 잃기 시작했지만 작곡을 멈추지 않았다. 그가 1823년 제 9번 교향곡을 마쳤을 때, 베토벤은 완전히 귀머거리가 되었다. |
전개방식: | 시간 순서 (time order) |
시간 표시어: | 1770, 1782, 1798, 1823 |
☆☆☆☆☆ 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