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class
Reading
REFERENCE INFERENCE 지칭 추론
1
지칭 추론
지칭 추론이란 글에 제시된 정보를 바탕으로 지시대명사, 인칭대명사 등으로 지칭된 대상의 구체적인 내용을 추론해 내는 것을 말한다.
대명사의 구체적인 의미 | |
필자는 동일한 단어를 여러 번 사용하지 않는다. 그것은 독자를 지루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필자는 종종 같은 것을 의미하기 위해 대명사나 동의어 같은 다른 단어들을 사용한다. 특히 대명사 가 문장 속에서 어떤 명사를 대신하고 있는지 를 파악해야 한다. |
다음 글에서 밑줄 친 첫 번째 they와 두 번째 they가 가리키는 것은? | |
In general, parents feel a special kind of love for their own children that they do not feel for other children. This feeling is often referred to as “parental love.” It is true that not all parents feel this love for their own children. But there are some women who feel the same parental love for other children as they do for their own. |
해석: | 일반적으로, 부모는 그들이 다른 아이들에게서 느끼지 못하는 특별한 종류의 사랑을 그들 자신의 자녀에게서 느낀다. 이 감정은 종종 “부모의 사랑”이라 불리운다. 모든 부모가 그들의 자녀에 대해 이러한 사랑을 느끼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그들이 그들 자신의 아이들에게서 느끼는 것과 같은 보모의 사랑을 다른 아이들에게서 느끼는 일부 여성들도 있다. |
대명사: | ➊ 첫 번째 they: parents ➋ 두 번째 they: some women |
해설: | 인칭대명사는 지시어와 항상 수일치와 성일치를 이룬다. 인칭대명사는 지시대상 다음에 온다. |
☆☆☆☆☆ 1/5
2
지시 대상 추론
독해를 잘하는 사람은 많은 단어를 건너뛴다. 특히 전체를 통한 지시 대상을 추론할 때는 많은 단어를 건너 뛴다. 모르는 단어도 건너뛴다. 또한 중요하지 않은 단어도 건너뛴다. 글을 이해하는데 꼭 많은 단어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몇몇 단어의 뜻을 모르더라도 글을 이해할 수 있다.
전체를 통한 지시 대상 추론은 각 문장에 들어 있는 부분적인 정보들을 종합해서 무엇을 설명하는지를 알아 내는 것이다. 추론 대상과 관련된 여러 정보가 제시되므로 핵심적인 몇개의 단어만 갖고도 추론해 낼 수 있다.
글 전체에 제시된 정보를 근거로 지시 대상을 파악하는 문제의 특징 | |
➊ | 지칭 대상이나 개념 을 직접 설명 한다. |
➋ | 지칭 대상이나 개념 의 용도 , 목적 , 효과 를 들어 간접 설명 한다. |
➌ | 지칭 대상이나 개념 을 사례 , 예시 , 상황 을 통해 간접 설명 한다. |
➍ | 지칭 대상이나 개념 의 설명 은 글의 뒷부분 으로 갈 수록 구체적 이다. |
다음 글은 지칭대상 추론에 대한 글이다. | |
———————————-summer——————— freezing cold —————————————————–drops of ice————————————-cause damage to crops or cars—— |
추론: | 제시된 단어(여름, 얼듯이 차가운, 어름 알갱이, 농작물이나 자동차에 손상의 원인이 된다)만 갖고도 ‘우박’에 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
기출 2회 ↑
☆☆☆☆☆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