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class Reading

ORDERING 순서 정하기

1

결속구조, 응집성

주어진 문장을 순서에 맞게 배열하려면 결속구조와 응집성을 알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필자는 글의 논리적인 흐름을 위해 결속구조와 응집성을 활용하기 때문이다. 

 ➊ 결속구조 
 결속구조  란   문장과 문장을 연결해 주는 표면적인 언어  를 말한다. 결속구조를 나타내는 요소로는    지시사  ,    대체어  ,    생략  ,    접속사  ,   어휘적 요소  가 있다.
 ➋ 응집성 
 응집성  은   내용들 간의 의미적인 연결 관계  를 말한다. 즉   문장들 끼리는 공유하는 공통적인 요소  가 있다. 이 공통적인 요소들 중에   포괄적인 단어  가   앞  에 오고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단어  가 그   다음에  온다.
He ate green fruit. So he had an upset stomach.
 그는 풋과일을 먹었다. 그래서 그는 배탈이 났다.
 so(그래서)로 인해 두 문장은 결속 구조를 갖는다.

기출 25회 ↑

5/5

1

주어진 문장에 이어질 글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은?
Free trade makes possible higher standards of living all over the globe.
 
(A)Free trade also makes the world economy more efficient, by allowing nations to capitalize on their strength.
(B)The case for free trade rests largely on this principle: as long as trade is voluntary, both partners benefit.
(C)The buyer of a shirt, for example, values the shirt more than the money spent, while the seller values the money more.
  
(A) – (C) – (B)(B) – (A) – (C)
(B) – (C) – (A)(C) – (A) – (B)

독해스킬

단어정리

해석:자유 무역은 전 세계적으로 보다 높은 생활수준을 가능하게 한다.
(A) 자유 무역은 또한 국가가 자신들의 강점에 자본을 투자함으로써 세계 경제를 더욱 효율적으로 만든다.
(B) 자유 무역에 대한 사례는 이런 원칙에 주로 의존한다: 무역이 자발적인 경우에 한해, 양 당사자는 이득이 된다.
(C) 셔츠 구매자는, 예를 들면, 소비된 돈 보다 셔츠가 더 가치가 있고, 반면에 판매자는 돈에 더 가치를 둔다.
 순서 정하는 방법:➊ 주어진 문장이 보통 주제문이다.
➋ 순서 나열에 등장하는 지문은 대다수 뒷받침문들이다.
➌ 문장을 연결하는 표면적인 언어를 찾아서 대략적으로 순서를 파악한다.
➍ 표면적인 언어로 대략적인 순서를 정한 다음 해석해서 최종적으로 정한다.
표면적 언어로 순서 정하기:➊ 문장 연결의 표면적 언어는 (A) also, (C) for example, (B) the case이다.
➋ also(또한)는 이미 말한 것에 또 하나의 사실이나 생각을 추가할 때 쓰인다. also가 속한 문장의 내용이 Free trade에 대한 것이므로 (A)지문 앞에도 Free trade에 대한 것이 와야 한다. 따라서 주어진 문장 다음에 (A)가 온다.
➌ for example(예를 들면)은 주제문 다음의 첫 뒷받침문에 온다. 주제문은 주어진 문장+ (A)이다. 따라서 주어진 문장→ (A) → (C) 순서가 된다.
➍ the case(사례)는 (B)문장 앞에 예문이 왔다는 표시어이다. 자유 무역의 사례는 (C)이므로 (C) → (B) 순서가 되어야 한다.
➎ 위의 것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주어진 문장(자유무역의 장점) → (A) (자유무역의 또 다른 장점) → (C) (자유무역의 장점의 예) → (B) (자유무역의 장점의 예에 대한 원칙)
의미적 연결관계로 순서 정하기:➊ 내용들 간의 의미를 파악하면?
① 주어진 문장은 자유 무역의 장점(=높은 생활수준을 가능하게 한다)이다.
② (A) 자유무역의 또 다른 장점(=세계 경제를 더욱 효율적으로 만든다)이다.
③ (B) 자유무역의 장점의 예에 대한 원칙을 서술하고 있다.
④ (C) 자유 무역의 장점의 예를 서술하고 있다.
➋ 내용들 간의 의미를 고려하여 나열하면?
주어진 문장(자유무역의 장점) → (A) (자유무역의 또 다른 장점) → (C) (자유무역의 장점의 예) → (B) (자유무역의 장점의 예에 대한 원칙)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