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class
Idiom
IDIOM 1 – 6
1
sell like hot cakes
불티나게 팔리다, 날개 돋친 듯이 팔리다
The book sells like hot cakes.
그 책은 불티나게 팔린다.
sell like hot cakes(핫케이크처럼 팔리다)는 박람회나 축제에서 팬케이크가 불티나게 팔리는 인기 있는 품목을 표현한 것으로서 오늘날 날개 돋친 듯이 잘 팔리는 물건을 가리킬 때 쓰인다.
공무원 기출
난이도: 상
☆☆☆☆☆ 3/5
2
take forty winks
잠깐 눈을 붙이다 (take a nap)
He took forty winks.
그는 잠깐 눈을 붙였다.
take forty winks는 16세기 영국교회의 39개 조항과 관련이 있다. 지루한 39조항을 읽고 40조항을 읽기전에 잠깐 잠을 자는 것에서 비롯되었다.
catch (or take)(잡다) + forty winks(40번 눈깜박임) = (40번 눈깜박임을 하지 않고) 잠깐 눈을 붙이다
공무원 기출
난이도: 상
☆☆☆☆☆ 3/5
3
take the lion's share
최대의 몫을 갖다
I take the lion’s share of the food.
나는 먹을 것의 최대 몫을 가진다.
이솝 우화에서 사자는 당나귀, 여우와 함께 사냥을 하여 먹이감을 잡았다. 사자가 당나귀에게 배분을 지시하자 당나귀는 먹이를 똑같이 배분하였다. 사자는 화내며 앞발로 당나귀를 죽여 먹이감에 추가했다. 그리고 여우에게 재배분을 지시했다. 여우는 작은 부분만 자기 몫으로 하고 나머지 모두 사자에게 주었다. 여기서 lion’s share(사자의 몫)는 최대의 몫을 뜻한다.
공무원 기출
난이도: 상
☆☆☆☆☆ 3/5
4
take to one's heels
도망가다 (run away, flee, take flight)
He took to his heels.
그는 도주했다.
발 뒤꿈치는 걸을 때 바닥을 향해서 다른 사람에게 보이지 않지만 뛸 때는 하늘을 향한다. 누군가의 발 뒤꿈치가 보인다는 것은 그가 뛰고 있다는 뜻이다. take to one’s heels는 발뒤꿈치가 보이도록 가는 것으로 도망가는 것을 뜻한다.
take(가다) + to one’s heels(발 뒤꿈치) = (발 뒤꿈치가 보이도록) 도망가다
공무원 기출
난이도: 상
☆☆☆☆☆ 3/5
5
the name of the game
본질, 가장 중요한 점
Hard work is the name of the game.
근면은 중요하다.
게임의 이름은 게임의 가장 중요한 점을 나타내어 듣는 사람이 알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the name of the game은 게임의 가장 중요하고 본질적인 속성을 나타내므로 가장 중요한 점, 본질을 표현할 때 쓰인다.
공무원 기출
난이도: 상
☆☆☆☆☆ 3/5
6
the apple of one's eye
매우 소중한 사람 [것]
He is the apple of my eye.
그는 매우 소중한 사람이다.
눈의 동공은 둥글고 단단한 물체라고 믿어서 apple of one’s eye로 표현했다. 안과 관리가 없든 시대에 시력은 소중한 것이었다. 그래서 apple of one’s eye(눈의 사과)는 "소중한 것"에 대한 은유로 쓰인다.
공무원 기출
난이도: 상
☆☆☆☆☆ 3/5
7
wear the pants
남편을 깔고 뭉개다, 주장을 하다
She wears the pants.
그녀는 남편을 깔고 뭉갠다.
19세기에 아내가 바지를 입는다는 것은 가정에서 남자 역할을 한다는 뜻으로 여겨졌다. 그 시절 남자와 여자를 구별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그들이 무엇을 입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었다. wear the pants [trousers]((여성이) 바지를 입는다)는 "여성이 남편보다 힘이나 경제적으로 우위에 섰음"을 뜻한다.
공무원 기출
난이도: 상
☆☆☆☆☆ 3/5
8
a bone of contention
분쟁의 원인, 불화의 씨, 논란거리
It is a bone of contention.
그것은 분쟁의 원인이다.
a bone of contention(분쟁을 일으키는 뼈)은 두 마리의 개가 마지막 뼈를 놓고 싸우는 것에서 유래되었으며, 분쟁의 원인, 불화의 씨의 뜻으로 쓰인다.
a bone(뼈) + of + contention(분쟁) = (두 마리 개가 마지막 뼈를 놓고 싸우게 되는) 불화의 씨, 분쟁의 원인
공무원 기출
난이도: 상
☆☆☆☆☆ 3/5
9
a far cry from
~와는 거리가 먼
I am a far cry from her.
나는 그녀와 전혀 다르다.
a far cry from(~로 부터 먼 외침)은 한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소리를 질러도 듣기에는 "거리가 먼" 상황을 나타낸다.
공무원 기출
난이도: 상
☆☆☆☆☆ 3/5
10
beat around the bush
돌려서 말하다, 요점을 피하다
He beats around the bush.
그는 돌려서 말한다.
beat around the bush(숲 주변을 막대로 치다)의 유래는 15세기 초이다. 당시에 사냥은 인기 있는 스포츠였고 부자들은 막대기로 숲 주변을 쳐서 숲속에 있는 새들을 몰아냈다. 새들이 겁을 먹고 날아오르면 사냥꾼이 보고 잡을 수 있었다. 오늘날 이 표현은 "하고 싶은 말을 직접하지 않고 에둘러 말하고 요점을 피하는 상황"에 쓰인다.
공무원 기출
난이도: 상
☆☆☆☆☆ 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