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class Idiom

IDIOM 1 – 17

1

be hard on

~에게 모질게 굴다 (bother)
He is hard on his kids.
그는 아이들에게 엄하다.

be(이다) + hard(엄한) + on(~에 붙어) = ~에게 붙어 엄하게 하다모질게 굴다

공무원 기출

난이도: 상

3/5
2

be open to

~에 개방되어 있다, 받아들이다 
I am open to temptation.
나는 유혹에 빠지기 쉽다.

open은 열려 있으므로 무엇이든 받아들일 수 있다.

be + open(열린) + to(~에) = ~에 열려있다개방되어 있다, 받아들이다

공무원 기출

난이도: 상

3/5
3

be subject to

지배를 받다, 걸리기 쉽다 
I am subject to colds.
나는 감기에 걸리기 쉽다.

be + subject(지배를 받는) + to(~에) = (법의) 지배를 받다
be + subject(지배를 받는) + to(~에) = (병의) 지배를 받다 (병에) 걸리기 쉽다

공무원 기출

난이도: 상

3/5
4

be immune to

~에 영향을 받지 않다, 면역이 되어있다  
I am immune to Flu.
나는 독감에 면역이 되어 있다.

immuneim(not) + mune(의무)의 결합어로 [의무가 없는 → 면제된] 뜻이다. 이것을 질병에 쓰면 면제는 [면역이 된] 뜻이 된다.

be + immune(면제가 된) + to(~에) = (~에) 영향을 받지 않다
be + immune(면제가 된) + to(~에) = (~에) 면역이 되어 있다

공무원 기출

난이도: 상

3/5
5

be equal to

~을 감당할 수 있다   
I am equal to the task.
나는 그 일을 감당할 수 있다.

equal"같은" 뜻이다. 어떤 사람의 능력과 일을 처리하는데 필요한 능력이 같다면 equal"감당할 수 있는"으로 쓰인다.

be + equal(같은, 감당할 수 있는) + to(~에) = 같다, 감당할 수 있다, 필적하다

공무원 기출

난이도: 상

3/5
6

call ~ name

욕을 하다 (abuse)
Don’t call me names.
나를 욕하지마.

name은 [이름]이지만 names는 []을 뜻한다. 사람은 호적상 하나의 이름만 갖는다. 호적상의 이름 이외의 이름은 사랑스런 애칭도 있겠지만 보통은 비속어인 [욕]으로 된 것들이 더 많다. 따라서 names는 []이란 뜻으로 쓰인다.

call(부르다) ~ names() = ~를 욕으로 부르다~를 욕하다

공무원 기출

난이도: 상

3/5
7

carry on

계속하다 (continue, run on) 
Carry on!
계속해!

on은 접촉 전치사/부사로서 접촉은 처음 접촉하면 일정시간 지속되므로 on은 [계속해서]의 뜻이 있다.

carry(운반하다) + on(계속) = 계속 운반하다계속하다, 계속 나가다

공무원 기출

난이도: 상

3/5
8

come up with

따라잡다 (overtake), 생각해내다 [제안하다] (present, propose) 
I came up with something.
나는 무언가를 생각해냈다.

come(오다) + up(위로) + with(함께) = (실력이) 위로 올라와서 함께하다 따라잡다
come(오다) + up(위로) + with(함께) = (생각을) 위로 올려서 함께하다 제안하다, 생각해내다

공무원 기출

난이도: 상

3/5
9

crop up

불쑥 나타나다 (happen) 
He cropped up into the debate.
그가 논쟁에 불쑥 끼어들었다.

crop은 [(농작물이 땅을 뚫고) 나오다]를, up은 [위로]를 뜻한다. crop up은 [위로 나오다]의 뜻이다. crop up을 사람에게 쓰면 [(무언가가) 불쑥 나타나다]의 뜻이 된다.

crop(나오다) + up(위쪽으로) = 위로 나오다불쑥 나타나다

공무원 기출

난이도: 상

3/5
10

call for

요청하다 (require), 필요로 하다 (require, demand) 
The job calls for care.
그 일은 주의를 요한다.

call은 [부르다]를, for는 [~를 위해]를 뜻한다. call for는 [~를 위해 부르다, 요청하다]이다. 부르거나 요청하는 것은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call for는 [필요하다]의 뜻이 추가된다.

call(부르다) + for(~를 위해) = ~를 위해 부르다 [요청하다], 필요로 하다

공무원 기출

난이도: 상

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