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class Grammar

NOUN 명사-1

1

가산명사의 특징

 셀 수 있는 명사  를 말한다.
 a, an  을 붙일 수 있다. 예) a boy
 수사  를 붙일 수 있다. 예) two boys
 복수형  이 가능하다. 예) boys
단독으로 쓰일 수 없고   한정사  와 함께 쓰인다. 예)  this boy

기출 1회

12. 국가직 9급

3/5
2

불가산명사의 특징

 셀 수 없는 명사  를 말한다.
 물질명사   추상명사  로 나뉜다.
 a, an  을 붙일 수 없다. 예) a milk (X)
 수사  를 직접 붙일 수 없다. 예) two milk (X)
 복수형  이 불가능하다. 예) milks (X)
 한정사   없이 단독으로 쓰일 수 있다.  

기출 1회

12. 국가직 9급

3/5
3

가족단위 잡합체

 가족단위 집합체  가 주어일 때   동사 이하의 내용  이    개별적인 행위  가  없으면    단수동사  개별적인 행위  가  있으면    복수동사  가 온다.
✱ 개별적 행위 : 구성원을 하나의 집단으로 취급하지 않고 개별적으로 취급하는 행위를 말한다.
 Team 
 Committee 
 Group 
 Family  +  단수동사   +   개별적 행위 없음 
 Jury  (배심원)  복수동사   +   개별적 행위 있음 
 Class  (학급)
 Audience 
 Crew  
 Staff 
This team consists of six.  
  이 팀은 6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사 이하의 내용이 구성원의 개별적인 행위가 언급되지 않았으므로 단수동사가 왔다.
This team usually work late on Fridays.
  이 팀은 보통 금요일 늦게까지 일한다.
  일하는 것은 개별적인 행위이므로 복수동사가 왔다.

기출 2회

12. 지방직 9급

19. 경찰직 1차

1.5/5
4

물질명사

 불가산명사  이며   일정한 모양이나 한계가 없어서 셀 수 없는 물질로 된 명사  이다.
 water 
 Latin   라틴어
 food  음식
 paper  종이
 cash  현금
 money 
 bread 
✱ waters = (물이 고여 있는) 바다/호수/강,흐르는 물, 홍수
✱ fatty foods(기름진 음식)처럼 특정 식품은 가산명사로 쓰인다.
He is in a hot water. (X)
  그는 곤경에 처해있다. 
  in a hot water → in hot water(곤경에 처한)
He ate so many processed foods.
  그는 매우 많은 가공식품을 먹었다.

기출 3회

17. 지방직 9급

15. 서울시 9급

07. 국가직 9급

2/5
5

추상명사

 불가산명사  이며    구체적인 형태가 없어서 만질 수 없는 명사  이다.
 advice  충고  
 homework   숙제  
 information  정보  
 news  뉴스
 weather  날씨
 wisdom  지혜
 evidence  증거
I had to do many homeworks. (X)
  나는 많은 숙제가 있었다. 
  many homeworks → much homework
I need an advice for my business. (X)
  나는 사업상 조언이 필요하다. 
  an advice → advice

기출 6회

18. 국회직 9급

17. 교행직 9급

13. 지방직 9급

12. 지방직 7급

10. 국가직 7급

09. 지방직 9급

3/5
6

수, 양 표시어

 few (거의 없는, 소수의)   복수명사 
 many (많은) 
 a number of (많은) 
 little (거의 없는, 조금의)   불가산명사 
 much (많은) 
 a deal of (많은) 
 an amount of (많은) 
 a lot of (많은)   복수 / 불가산명사 
 lots of (많은) 
 plenty of (많은) 
A great deal of books on the shelf were written in English. (X)
  선반 위의 많은 책들이 영어로 쓰여졌다.
  book은 가산명사의 복수형이다. 
A great deal of → A good number of

기출 21회

20. 지방직 7급

18. 지방직 9급

18. 서울시 9급

17. 국가직 9급

17. 교행직 9급

17. 국회직 8급

16. 국가직 9급

16. 국가직 7급

16. 기상직 9급

15. 기상직 9급

15. 서울시 9급

14. 기상직 9급

14. 국가직 9급

13. 국가직 9급

12. 국가직 9급

12. 경찰직 2차

12. 경찰직 3차

11.국회직 9급

09. 국회직 9급

08. 지방직 7급

07. 국가직 9급

05. 국회직 8급

5/5
7

명사의 전환

불가산명사 가산명사
 fire (불)   a fire (화재) 
 beer (맥주)   a beer (맥주 한 잔) 
 tea (차)   two teas (차 두 잔) 
 authority (권위)   authorities (당국) 
 coffee (커피)   a coffee (커피 한 잔) 
 paper (종이)   a paper (서류, 신문, 논문) 
 success (성공)   a success (성공한 사람) 
 rain (비, 빗물)   rains (소나기, 장마, 강우) 
The building was destroyed in a fire.
  빌딩이 화재로 소실되었다.
I want to have a beer.
나는 맥주 한 잔 하고 싶다.

기출 6회

18. 지방직 9급

15. 지방직 7급

14. 서울시 7급

13. 지방직 7급

11. 지방직 7급

10. 국가직 7급

3/5
8

외래어 복수

 단수 복수
 datum   data (자료) 
 phenomenon   phenomena (현상) 
 bacterium   bacteria (박테리아) 
 memorandum   memoranda (메모) 
 medium   media (통신기관) 
 criterion   criteria(기준) 
 stimulus   stimuli (자극) 
 focus   foci (촛점) 
 alumnus   alumni (남자졸업생) 
 
✱ data는 복수지만 물질명사로 단수 취급을 하기도 한다. 사회과학에서는 단수, 자연과학에서는 복수로 취급하는 경우가 흔하다.
Where is the data that you gathered? (X)
  네가 모은 자료들은 어디에 있니? is → are

기출 4회

17. 국회직 9급

12. 국가직 9급

08. 국회직 8급

06. 국회직 8급

1.5/5
9

명사 + 명사

 (숫자)   –   단수명사   –   (형용사)   +   명사 
✱ 명사 앞또 다른 명사가 올 때 숫자 다음첫째 단수명사이다.
✱ customs officer처럼 복수로만 쓰이는 명사는 “복수명사 + 명사“로 쓴다.
✱ 소괄호(   ) 안의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He has a ten – year – old son.
  그는 10살 된 아들이 있다. 
  old = [형] ~살 된
He is a ten – year old.
  그는 10살 된 사람이다. 
  old = [명] ~살 된 사람
This is a TV program for ten – year – olds.
  이것은 10세용 TV 프로그램이다.
  그는 세 살 난 어린애이다. 
  a three – year – old = [명] 세 살 난 어린애

기출 6회

19. 국가직 9급

18. 서울시 9급

15. 서울시 9급

14. 국회직 9급

09. 지방직 9급

13. 경찰직 1차

3.5/5
10

단수와 복수 동형

 percent  ,   salmon  ,   sheep  ,    deer  ,   head  ,   species  ,   series  는   단수  와   복수  가   같다  .
단수 복수
 percent   percent (퍼센트) 
 salmon   salmon(s) (연어) 
 sheep   sheep (양) 
 deer   deer (사슴) 
 head   head (머리) 
 species   species (종) 
 series   series (시리즈, 연속) 
 
  ✱ salmon의 복수형은 salmon, salmons 두 가지이다.
Fares are increased by 5 percents. (X)
  임금은 5퍼센트 인상되었다.
  5 다음은 복수명사가 온다. 명사를 두개(spoonful, sugar) 나란히 둔 것은 잘 못이다. 
  percents → percent

기출 3회

15. 국가직 9급

12. 지방직 7급

05. 국가직 7급

1.5/5
11

-ful로 끝나는 명사

 -ful  은   형용사 형 접미사  인데   명사 형 접미사  로도 쓰인다.
 spoonful [ 한 숟갈 가득 
 handful [ 한 줌 가득 
 mouthful [ 한 입 가득 
 cupful [ 컵에 가득 
I put spoonful sugar. (X)
 나는 설탕 한 숟가락을 넣었다.
 3형식 문장에서 명사 2개(spoonful, sugar)를 나란히 둔 것은 잘못이다.
 spoonful → a spoonful of

기출 3회

16. 서울시 7급

15. 국가직 7급

12. 지방직 9급

1/5
12

of + 추상명사

 of / with + 추상명사  는   형용사  로 쓰인다.
 of benefit  [ 유익한 
 of importance  [ 중요한 
 of interest   [ 흥미있는 
 with ease  [ 쉽게 
 of use   [형]   유용한 
 of necessity   [형]   필연적으로 
 of sense   [형]   지각있는 
 of value   [형]   가치있는 
 of wisdom   [형]   지혜로운 
 of moment   [형]   아주 중요한 
He is of important in the town. (X)
  그는 마을에서 중요한 인물이다.
  전치사 다음은 목적어인 명사가 온다. 그런데 important는 형용사이다.
  of important → of importance

기출 4회

21. 지방직 9급

19. 국가직 9급

19. 기상직 9급

11. 사복직 9급

0.5/5
13

물질명사의 수

 물질명사  에   수의 개념  을 부여할 때는   물질명사    앞  에   수사 + 명사 + of  를 둔다.
 a spoonful of ice cream   아이스크림 한 스푼
 a piece of cake   케익 한 조각, 식은 죽 먹기
 a flash of lightning   한 차레 번갯불
 a glass of water   물 한 잔
 a shower of rain   한 차례 비
 a cup of coffee   커피 한 잔
 a piece of paper   종이 한 장
 a bolt of thunder   한 차례 천둥소리
The application form was two sheets of papers. (X)
  신청용지는 2장이었다.
  sheets of 뒤에는 물질명사가 온다. 그런데 papers는 가산명사이다.
  papers → paper

기출 1회

16. 서울시 9급

0.5/5
14

집합체 불가산명사

 furniture    가구 
 equipment    장비 
 baggage    수화물 
 luggage    수화물 
 mail    메일 
 clothing    옷 
 poetry    시 
 jewelry    보석류 
 machinery    기계류 
 scenery    풍경 
 fiction  소설 
 merchandise    상품 
He bought a costly furniture. (X)
 그는 비싼 가구를 구매했다.
 불가산명사(furniture)에는 a(n)를 쓸 수 없다.
 a costly furniture → a piece of costly furniture

기출 3회

17. 국회직 8급

1.5/5
15

모음변화에 의한 복수

단수 복수
 foot   feet (발) 
 tooth   teeth (치아) 
 goose   geese (거위) 
 mouse   mice (생쥐) 
Monkeys use their foot to eat. (X)
  원숭이는 먹기위해 발을 사용한다.
  원숭이의 발은 2개가 기본이므로 their 다음은 foot의 복수형이 와야 한다.
  foot → feet

기출 1회

05. 국회직 8급

0.5/5
16

한정사와 이중소유격

(대상) 한정사  관사, 소유격, 지시사(this, that) 
(수량) 한정사  all, both, half 
 some, any, no 
 each, either, neither 
 many, much, more, most 
 little, less, least 
 few, fewer, fewest 
 enough 
 several 
(대상) 한정사는 둘을 함께 쓸 수 없다 
대상 한정사 앞에 수량 한정사를 두려면 둘 사이에 of를 둔다. 
[대상 한정사] + [many, most, few, little, least]의 순서는 가능하다.  
(수량) 한정사는 둘을 함께 쓸 수 있다. 
소유격 관사, 지시사, 수량사(some, any, no 등)와 나란히 쓸 수 없다. 함께 쓸 때는 을 명사 뒤에 붙여서 대상한정사 + 명사 + of + -’s/소유대명사 형식이 된다. 이것은 [소유전치사 of]와 [-’s 소유격]을 나란히 쓰기 때문에 이중소유격이라 한다. 
Many my hats are rare. (X)
  나의 많은 모자는 희귀하다. 
  Many my hats → Many of my hats
•  Paul’s this book is expensive. (X)
  폴의 이 책은 비싸다. 
  Paul’s this book → This book of Paul’s

기출 1회

09. 지방직 9급

0.5/5
밑에 이론들은 시험에서 올바른 문장으로 기출되었다.
17

집합체 (복수취급)

 사회계층  과   국민전체  는   복수명사  로 취급된다.
 the police 경찰   +   복수동사 
 the clergy 성직자 
 the peasantry 농민 
 the Americans 미국인들 
 the Koreans 한국인들 
 the English 영국인들 
 the French 프랑스인들 
 the Chinese 중국인들 
The police are unwilling to interfere in family problems.
  경찰은 집안 문제에 개입을 꺼린다.

기출 1회

16.  지방직 9급

0.5/5
18

dozen of

 dozen  은   수사 뒤  에서   형용사  나   명사  로 쓰일 때 보통   단/복수 동형  이다.
 a dozen of   ~  
 (정확한 것) 한 다스의 ~
 a dozen of  +  한정사  ~  
 (특정한 것) 한 다스의 ~
  dozens of   ~  
 (막연한 것) 수십의 ~
two dozen of eggs
 달걀 두 다스 
 dozen은 수사 뒤에서 단/복수 동형이다.
three dozen of these eggs
 이 달걀들 중에서 3다스
dozens of eggs
 수 십개의 달걀들

기출 1회

15. 국가직 9급

1/5
19

막연한 다수

 막연한 다수  는    수사의 복수 + of   를 쓴다.
 dozens of    수 십의 
 scores of    수 십의 
 hundreds of    수 백의 
 thousands of    수 천의 
 millions of    수백 만의 
 tens of thousands of    수 만(명)의 
There were thousands of people there.
  그곳에 수 천명의 사람들이 있었다.

기출 1회

14.  지방직 7급

0.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