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class Grammar

PASSIVE VOICE 수동태 문제

1

능동태

 능동  이란 어떤 일을   스스로 하는 것  을 말한다.   타동사  나   자동사 + 전치사  다음에   목적어  가 있으면  능동태  라 한다.
 타동사    목적어 
 자동사 + 전치사 
  능동태에서 타동사나 자동사 + 전치사 다음에는 목적어가 있어야 한다.
We pollute water.
 우리는 강을 오염시킨다.
I looked after his dog.
  내가 그의 개를 돌봤다.

기출 8회

19. 국회직 9급

18. 서울시 9급

17. 서울시 7급

15. 국가직 7급

14. 국가직 7급

12. 국가직 9급

10. 국가직 7급

12. 경찰직 3차

3/5

1

다음 중 틀린 부분을 고르시오. (10. 국가직 7급)
 
Your memory is a brilliant but unreliable computer storing a vast amount of information. In fact, the memory’s capacity ①is theoretically unlimited. The brain can record more than 86 billion bits of information every day, and our memories ②can probably hold 100 trillion bits in a lifetime. Nevertheless, only about 20 percent of our daily experience ③is registered, and of that only a tiny proportion ④loads into long-term memory.
  
is theoretically unlimited
can probably hold
is registered
loads into

정답 & 해설

해석당신의 메모리는 훌륭하지만 많은 양의 정보를 저장하는 믿을 수 없는 컴퓨터이다. 사실, 메모리의 용량은 이론적으로는 무한대이다. 뇌는 매일 860억 비트의 정보보다 더 많이 기록할 수 있다. 그리고 우리의 메모리는 아마도 일생동안 100조 비트를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일상 경험의 약 20퍼센트만 기록된다. 그리고 그것 중에서 작은 부분만이 장기 메모리에 저장된다.
해설loads (보조 기억 장치에서 주기억 장치로 넣다)는 타동사인데 타동사의 능동태 다음에 [목적어]가 없다. 타동사의 능동태 다음에 목적어가 없으면 수동태로 바꿔야 한다. 왜냐하면 타동사의 목적어는 [능동태 다음]과 [수동태 앞]에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loads → is loaded
정답
2

수동태

 수동  이란 어떤 일을   당하는 것  을 말하며   be + p.p.  를   수동태  라 한다.   동작  임을 분명하 하기위해   get + p.p. (~를 당하게 되다)  를 쓰기도 한다.
 목적어   +  be  +   p.p.  
 get   p.p.  
 동사   p.p.  
타동사의 목적어는 능동태 다음과 수동태 앞에 위치한다.
Water is polluted (by us).
 물이 우리에 의해 오염되고 있다.
He got caught red-handed.
 그는 현행범으로 체포되었다. (체포가 되어지는 동작임)

기출 11회

19. 지방직 9급

19. 교행직 9급

17. 지방직 9급

17. 지방직 7급

17. 서울시 7급

15. 국가직 9급

14. 사복직 9급

14. 지방직 7급

13. 지방직 7급

12. 국가직 9급

11. 지방직 9급

3/5

1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14. 사복직 9급)
When I was growing up, many people asked me ①if I was going to follow in my father’s footsteps, to be a teacher. As a kid, I remember ②saying, “No way. I’m going to go into business.” Years later I found out that I actually love teaching. I enjoyed teaching because I taught in the method ③in which I learn best. I learn best via games, cooperative competition, group discussion, and lessons. Instead of punishing mistakes, I encouraged mistakes. Instead of asking students to take the test on their own, they ④required to take tests as a team. In other words, action first, mistakes second, lessons third, laughter fourth.
내가 자라면서, 많은 사람들이 내가 아버지의 발자취를 따라 선생님이 될 것인지를 내게 물었다. 어렸을 때, 나는 아니라고 말한 것을 기억한다. 나는 사업할 것이다.” 몇 년 후, 나는 실제로 가르치는 것을 좋아한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내가 가장 잘 배웠던 방법을 가르쳤기 때문에 나는 가르침을 즐겼다. 나는 게임, 협동 경쟁, 그룹 토의 및 수업을 통해 가장 잘 배운다. 실수를 벌하는 대신에, 나는 실수를 격려했다. 학생들에게 혼자서 시험을 보도록 부탁하는 대신에, 그들은 하나의 팀으로서 시험을 치도록 요구받는다. 다시 말해서, 행동이 첫째이고, 실수는 두 번째이며, 수업은 셋째이고, 웃음은 넷 번째이다.

정답 & 해설

해설 
if절간접목적어로 쓰인 의문문이다. 의문문일 때 if는 [~인지 어떤지]의 뜻이다. 이 문장에서 if는 올바르게 쓰였다.
I remember saying, “No way, I’m going to go into business.”
remember ~ing = ~했던 것을 기억하다. remember saying는 과거(어렸을 때)에 말한 것을 지금 기억하고 있다는 뜻이므로 옳다.
~method ↖ in which I learn best.
learn(배우다)은 자동사로 쓰였다. [전치사 + 관계대명사] 다음은 완전한 절(= 주어, 목적어, 보어의 생략이 없는 절)이 온다. in which 다음의 절(I learn best)도 완전한 절이다. which선행사사물이나 동물이 오는데 이 문장에서 method이다. 따라서 in which는 옳다.
전치사구(Instead of asking students to take the test on their own), they required to take tests as a team.
require는 [~을 필요로 하다, ~을 요구하다]를 뜻하는 타동사이다. 문맥을 보면 학생들에게 혼자서 시험을 치르도록 요구한 것 대신에 하나의 팀으로서 시험을 치르도록 요구한 것은 I이다. 그렇다면 학생들(they = students)은 I로 부터 하나의 팀으로서 시험을 치르도록 요구를 받는 입장이다. 요구를 받는 것은 수동이므로 be required to do(~하라는 요구를 받다)로 표현되어야 한다. required → was required
정답

2

우리말을 영어로 잘못 옮긴 것은? (11. 지방직 9급)
비가 그치면 나는 외출할 것이다.
 I will go out if the rain stops.
네가 집에 오면 나는 그것을 이미 끝냈을 것이다.
 I will be finished it if you come home.
내가 기다린 지 한 시간 만에 그가 나타났다.
 I had waited for an hour before he appeared.
그는 3년 후에 대학을 졸업할 것이다.
 He will graduate from college in three years.

정답 & 해설

해설be finished는 타동사의 수동이다. 타동사의 수동태 다음에 목적어가 올 수 없다. 그런데 이 영문에서는 타동사의 수동태 다음목적어 it이 있으므로 잘못이다. 타동사 다음에 목적어가 있으면 타동사는 능동태이어야 한다. 또한 끝냈다는 것은 동작의 완료이므로 have+p.p.도 필요하다. will be finished it → will have finished it
정답

3

우리말을 영어로 잘못 옮긴 것은? (14. 지방직 7급)
이 법률은 6월 1일부터 시행된다.
 This law shall be come into force on the 1st of June.
나는 그의 재능을 너무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I thought too much of his talent.
그들 모두는 그를 그들의 지도자로서 우러러 보았다.
 They all looked up to him as their leader.
나는 지난 학기의 시험 결과를 만회하기 위해서 더 열심히 공부해야 한다.
 I must work harder to make up for the results of my last term examination.

정답 & 해설

해설 
come은 [오다, 가다]의 뜻을 가진 자동사이다. come into force는 [효력을 발생하다, 시행되다]의 뜻이다.
come자동사이므로 수동태가 될 수 없다. 따라서 be come into force는 수동태이므로 잘못이다. shall be come into force → shall come into force
think too much of = 지나치게 생각하다
look up to = ~를 우러러보다 as = ~로서
harder은 비교급이며 [than + 비교대상]은 생략한 절대비교급이다. * make up for = (잘못된 상황을 바로잡을 수 있도록) 벌충[만회]하다
정답

4

우리말을 영어로 잘못 옮긴 것을 고르시오. (15. 국가직 9급)
가능한 모든 일자리를 알아보았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적당한 일자리를 찾지 못했다.
 → Despite searching for every job opening possible, he could not find a suitable job.
당신이 누군가를 믿을 수 있는지 알아보는 최선책은 그 사람을 믿는 것이다.
 → The best way to find out if you can trust somebody is to trust that person.
미각의 민감성은 개인의 음식 섭취와 체중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 Taste sensitivity is largely influenced by food intake and body weight of individuals.
부모는 그들의 자녀가 성장하고 학습하는 데 알맞은 환경을 제공할 책임이 있다.
 → Parents are responsible for providing the right environment for their children to grow and learn in.

정답 & 해설

해설 
despite = [전]~임에도 불구하고 job opening = (직장의) 빈 자리
S(The best way) ↖ (to find out if you can trust somebody) + V(is) + C(to trust that person).
if는 [~인지 어떤지]를 뜻하는 접속사이며 명사절을 이끈다. 이 문장에서 if절은 find out의 목적어이다.
우리말과 영어가 같은 뜻이 되려면 수동태인 is influenced by(~에 의해 영향받다)를 능동태influences(~에 영향을 미치다)로 바꿔야 한다. is influenced by → influences
for their children은 to grow의 의미상 주어이다. * be responsible for = 책임지다 provide A for B = ~를 위해 ~를 제공하다
정답

5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15. 국가직 9급)
In countries where religion ①has been closely identified with ②a people’s culture, as in Hinduism and Islam, religious education has been essential ③to be maintained the society and ④its traditions.

정답 & 해설

해석흰두교와 이슬람교에서처럼 종교가 어떤 민족의 문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있는 국가에서는, 종교 교육이 사회와 전통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이다.
해설:maintain(유지하다)은 타동사이다. 타동사의 목적어는 능동태 다음과 수동태 앞에 온다. maintain의 목적어인 the society and its traditions가 타동사 다음에 있으므로 수동태인 to be maintained능동태로 수정되어야 한다. to be maintained → to maintain
정답
3

완료형 수동태

 현재완료 수동태   have been p.p.  
 과거완료 수동태   had been p.p.  
 미래완료 수동태   will have been p.p.  
   
have been p.p.= (과거부터 현재까지) ~이 되어 왔다
had been p.p.= (과거이전부터 과거까지) ~이 되어 왔었다
will have been p.p. =(과거에 시작해서 미래 어느시점에) ~이 될 것이다
Water has been polluted (by us).
 물이 우리에 의해 오염되어 왔다.
Water had been polluted (by us).
 물이 우리에 의해 오염되어 왔었다.
Water will have been polluted (by us).
  물이 우리에 의해 오염되게 될 것이다.

기출 5회

17. 지방직 9급

15. 국가직 7급

13. 경찰직 3차

12. 국가직 9급

10. 기상직 9급

3/5

1

다음 밑줄 친 (A), (B), (C)에서 적절한 것을 골라 짝지은 것은?  (10. 기상직 9급)
    
The inter-Korean maritime border along the West Sea has long (A) disputed / been disputed between the two countries. Countless North Korean fishing boats have been operating in the West Sea. Due to a lack of on-board navigational equipment, North’s fishing boats have (B) crossed / been crossed the border many times. In line with the conciliatory gestures towards the South and the U.S., the North Korean government announced it will control the activities of fishing boats near the Northern Limit of the maritime border. North Korean patrol boats have (C) positioned / been positioned to monitor and control the activities of fishing boats. Officials from the North announced that from now on no North Korean boats would cross the demarcation line.
  
 (A)(B)(C)
disputedcrossedpositioned
disputedbeen crossedpositioned
been disputedcrossedbeen positioned
been disputedbeen crossedbeen positioned

서해의 남북 해상 경계는 양국간에 오랫동안 논란이되어 왔다. 서해에는 수많은 북한 어선이 운영되고 있다. 탑재된 항법 장비가 없기 때문에 북한의 어선들은 여러 번 국경을 넘어섰다. 북한은 남한과 미국에 대한 회유적인 제스쳐에 따라 해상 경계의 북방 한계선 근처에서 어선 활동을 통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북한의 순찰선은 어선의 활동을 감시하고 통제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 북한 당국자들은 지금부터 북한 선박이 경계선을 넘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정답 & 해설

해설 
(A)S(The inter-Korean maritime border) + 전치사구(along the West Sea) + V(has long been disputed) + 전치사구(between the two countries).
dispute타동사이다. 타동사의 목적어는 능동태 다음과 수동태 앞에 위치한다. 밑줄 다음에 목적어가 없으므로 수동태has been disputed가 올바르다. * dispute = [타] 다투다, 다툼을 벌이다, 분쟁을 벌이다, 논하다
(B)have crossed the border~.
cross(가로지르다, 횡단하다, 교차하다)는 타동사이다. 타동사의 목적어는 능동태 다음과 수동태 앞에 위치한다. 밑줄 다음에 목적어the border가 있으므로 능동태have crossed가 올바르다.
(C)S(North Korean patrol boats) + V(have been positioned) + 부정사의 부사역할(to monitor and control the activities of fishing boats)
position타동사이다. 타동사의 목적어는 능동태 다음과 수동태 앞에 위치한다. 밑줄 다음에 목적어가 없으므로 수동태인 have been positioned가 올바르다. * position = [타] ~의 위치를 정하다, 자리 잡게 하다, ~에 놓다, ~에 배치하다
정답

2

우리말을 영어로 잘못 옮긴 것은?  (11. 지방직 9급)
비가 그치면 나는 외출할 것이다.
 I will go out if the rain stops.
네가 집에 오면 나는 그것을 이미 끝냈을 것이다.
 I will be finished it if you come home.
내가 기다린 지 한 시간 만에 그가 나타났다.
 I had waited for an hour before he appeared.
그는 3년 후에 대학을 졸업할 것이다.
 He will graduate from college in three years.

정답 & 해설

해설be finished는 타동사의 수동이다. 타동사의 수동태 다음에 목적어가 올 수 없다. 그런데 이 영문에서는 타동사의 수동태 다음에 목적어 it이 있으므로 잘못이다. 타동사 다음목적어가 있으면 타동사능동태이어야 한다. 또한 끝냈다는 것은 동작의 완료이므로 have+p.p.도 필요하다. will be finished it → will have finished it
정답

3

우리말을 영어로 잘못 옮긴 것은?  (14. 지방직 7급)
이 법률은 6월 1일부터 시행된다.
 This law shall be come into force on the 1st of June.
나는 그의 재능을 너무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I thought too much of his talent.
그들 모두는 그를 그들의 지도자로서 우러러 보았다.
 They all looked up to him as their leader.
나는 지난 학기의 시험 결과를 만회하기 위해서 더 열심히 공부해야 한다.
 I must work harder to make up for the results of my last term examination.

정답 & 해설

해설 
come은 [오다, 가다]의 뜻을 가진 자동사이다. come into force는 [효력을 발생하다, 시행되다]의 뜻이다. come자동사이므로 수동태가 될 수 없다. 따라서 be come into force수동태이므로 잘못이다. shall be come into force → shall come into force
think too much of = 지나치게 생각하다
look up to = ~를 우러러보다 as = ~로서
harder은 비교급이며 [than + 비교대상]은 생략한 절대비교급이다. * make up for = (잘못된 상황을 바로잡을 수 있도록) 벌충[만회]하다
정답

4

우리말을 영어로 잘못 옮긴 것을 고르시오.  (15. 국가직 9급)
가능한 모든 일자리를 알아보았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적당한 일자리를 찾지 못했다.
 → Despite searching for every job opening possible, he could not find a suitable job.
당신이 누군가를 믿을 수 있는지 알아보는 최선책은 그 사람을 믿는 것이다.
 → The best way to find out if you can trust somebody is to trust that person.
미각의 민감성은 개인의 음식 섭취와 체중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 Taste sensitivity is largely influenced by food intake and body weight of individuals.
부모는 그들의 자녀가 성장하고 학습하는 데 알맞은 환경을 제공할 책임이 있다.
 → Parents are responsible for providing the right environment for their children to grow and learn in.

정답 & 해설

해설 
despite = [전]~임에도 불구하고 job opening = (직장의) 빈 자리
S(The best way) ↖ (to find out if you can trust somebody) + V(is) + C(to trust that person).
if는 [~인지 어떤지]를 뜻하는 접속사이며 명사절을 이끈다. 이 문장에서 if절은 find out의 목적어이다.
우리말과 영어가 같은 뜻이 되려면 수동태인 is influenced by(~에 의해 영향받다)를 능동태influences(~에 영향을 미치다)로 바꿔야 한다. is influenced by → influences
for their children은 to grow의 의미상 주어이다. * be responsible for = 책임지다 provide A for B = ~를 위해 ~를 제공하다
정답

5

다음 중 어법에 맞는 표현을 골라 가장 적절하게 나열한 것은? (13. 경찰직 2차)
Jane Lee, owner of the Coffee L at 98 Hwarang-ro, Sungbuk-gu called police headquarters at 6:30 am, Friday, September 11, to report that her coffee shop ⓐ had broken / had been broken into during the night. Officers Kyudong Hong and Sami Kim ⓑ had arrived / arrived at the store at 6:40 am to investigate the incident. Ms. Lee was able to report immediately that an espresso machine and 850,000 won from the cash register ⓒ were missing / were missed.
 
had broken — had arrived — were missed
had broken — arrived — were missed
had been broken — had arrived — were missing
had been broken — arrived — were missing

정답 & 해설

해석성북구 화랑로 98번지 커피 L의 주인 Jane Lee가 9월 11일 금요일 오전 6시 30분에 밤동안 커피 숍이 침입을 당했다는 것을 신고하기 위해 경찰 본부에 전화했다. 경찰관 홍규용과 김사미가 이 사건을 조사하기 위해 오전 6:40에 가게에 도착했다. Ms. Lee는 에스프레소 기계와 금전 등록기에서 85만원이 없어졌다고 즉시 보고 할 수 있었다.
해설 
경찰 본부에 신고한 것과거(called)이며 커피숍이 도둑의 침입을 당한 것그 이전대과거(had + p.p.)이다. 또한 커피숍은 도둑의 침입을 당한 것이므로 수동이다. [과거완료 + 수동태]는 had been + p.p.이다. 따라서 had been broken이 옳다.
하나의 절에는 하나의 시간만 존재한다 (=1절 1시). 본문에서 6시 40분과거시간이다. 따라서 동사과거형이 와야 1절 1시가 된다. 따라서 arrived가 옳다.
missing은 [실종된, 분실한, 없어진, 행방불명된, 행방불명인, 결여된] 뜻의 형용사이다. miss는 [놓치다, 이해 못하다, 결석하다, 그리워하다]는 뜻의 타동사이다. 분실했거나 없어진 것을 표현할 때는 missing을 쓴다. 따라서 were missing이 옳다.
정답

6

밑줄 친 부분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12. 국가직 7급 )
Each contestant will sing with a different partner each week, and judges, who have not yet (              ), will offer guidance and critiques while deciding who will advance to the next round.

정답 & 해설

해석각 참가자는 매주 다른 파트너와 함께 노래를 부를 것이다. 그리고 아직 지명 되지는 않았지만, 심사위원들은 누가 다음 라운드에 진출할 지를 결정하는 동안 지도와 비평을 제공할 것이다.
해설심사위원들은 지명되어지는 것이므로 수동이다. 수동은 been named 밖에 없다.
정답
4

진행형 수동태

 진행형 수동태   be   +   being   +   p.p. 
~이 되고 있는 중이다
Water is being polluted (by us).
 물이 우리에 의해 오염되고 있다.

기출 1회

14. 국가직 7급

1/5

1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14. 국가직 7급 )
Unable to do anything or go anywhere while my car ②was repairing at my mechaic’s garage, I suddenly ③came to the realization that I had become ④overly dependent on machines and gadgets.

정답 & 해설

해석내 차가 카센터에서 수리되어지고 있는 동안에 어떤 것도 할 수 없고 어디도 갈 수 없었을 때, 나는 갑자기 내가 기계와 도구에 너무 지나치게 의존했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해설repair은 [수리하다]는 뜻의 [타동사]이다. 타동사능동태 다음은 목적어가 있어야 한다. [타동사+ing]도 타동사를 이용하는 것이므로 그 다음목적어가 있어야 한다. 그런데 이 영문에서 repairing 다음에 목적어없다. 문맥상 repairing의 목적어는 my car이다. 목적어타동사 앞에 있으려면 수동태가 되어야 한다. was repairing → was being repaired
정답
5

준동사 수동태

 부정사의 수동태    to be   +    p.p.  
 동명사의 수동태   being   +    p.p. 
I want the car to be repaired by him.
 나는 차가 그에 의해 수리되어지길 원한다.
Nobody likes being made fun of.
  누군든지 조롱당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기출 5회

17. 지방직 7급

15. 서울시 7급

13. 법원직 9급

11. 지방직 9급

11. 사복직 9급

3/5

1

우리말을 영어로 잘못 옮긴 것을 고르시오.  (11. 사복직 9급)
그는 거짓말했다는 것을 인정했다.
 → He admitted being told a lie.
사람들은 특정 문화, 사고체계, 그리고 언어에 의해 물들어 간다.
 → People are instilled by a specific culture, thought system, and language.
그녀는 아기의 울음을 멈추지 못했고, 따라서 한계에 이르렀다.
 → She couldn’t stop the baby’s crying, so she was at the end of her tether.
수 주간 비가 내리고 있어 나는 이 날씨에 진저리가 난다.
 → Since it has been raining for weeks, I’m getting fed up with this weather.

정답 & 해설

해설 
being told a lie의미상 주어주절주어인 He이다. being told a lie(거짓말을 들었다)는 수동태이다. 우리말에서는 [그가 거짓말을 했다]고 되어 있다. 그런 의미가 되려면 능동태이어야 한다. 우리말에서 [거짓말했다는 것을 인정했다]의 시제를 따져보면 인정한 것보다 거짓말을 한 것이 먼저이다. 동명사에서 먼저 일어난 일having + p.p.로 나타낸다. 따라서 완료형 능동태가 되어야 한다. being told a lie → having told a lie
instill = (감정 · 의식 등을) 심어 주다, 주입하다. 사람들이 문화, 사고체계, 언어에 주입되어지는 것이므로 수동태로 나타낸 are instilled는 올바르다. a specific culture, thought system, and language는 명사 3개를 병치한 구조로서 올바르다.
stop + ~ing은 [과거에 시작된 행위를 현재 멈추다]의 뜻이다. the baby’s는 crying의 의미상 주어이다. stop the baby’s crying은 [아기가 현재 이전에 울기 시작해서 현재와서 울음을 멈췄다]의 뜻으로 옳다.
since = ~때문에 get fed up with = ~에 진저리가 나기 시작하다
정답

2

우리말을 영어로 잘못 옮긴 것을 고르시오.  (14. 국가직 7급)
21세기 말까지 과학이 얼마나 발전할지 알 수 없다.
 → There is no knowing how far science may progress by the end of the twenty first century.
하등 동물은 그 조건 하에서 생존하기 위해 신체적 구조를 바꾸지 않을 수 없다.
 → The lower animals must have their bodily structure modified in order to be survived under the conditions.
지갑에 돈이 없었기 때문에 그는 10 킬로미터 이상을 걸어가지 않을 수 없었다.
 → Having no money in his wallet, he had no choice but to walk more than ten kilometers.
그녀는 약간 모호하게나마 빠른 시간 안에 부채를 상환할 것이라는 취지의 말을 하였다.
 → She was a little vague but said something to the effect that she would repay the loan very soon.

정답 & 해설

해설 
간접의문문은 [의문사 S + V]의 형식이다. how far science may progress는 간접의문문으로 올바르다.
우리말에서 [생존하기 위해]를 영어로 표현하면 survive자동사로 쓰면 된다. 자동사로 쓰이면 수동태불가 하다. 따라서 be survived수동태이므로 능동태로 수정되어야 한다. to be survived → to survive * survive = []  (남보다) 오래 살다, ~의 후까지 생존하다 [] 살아남다
Having ~ wallet은 분사구문이며 Having의 의미상 주어주절의 주어He이다. * have no choice but to do = ~할 수 밖에 없다
a little = 조금, 다소
정답

3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Innovation, business is now learning, is likely ①to findwherever bright and eager ③people thinkthey can find it.

정답 & 해설

해석혁신은 현명하고 의욕적인 사람들이 그것을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곳 어디에서나 발견되어질 수 있다는 것을 기업이 현재 배우고 있는 중이다.
해설Business is now learning (that) innovation is likely to find wherever bright and eager people think (that) they can find it
타동사의 목적어능동태 다음수동태 앞에 온다. 이 영문에서 find타동사능동태인 데 그 다음에 목적어가 없어서 틀렸다. 타동사의 목적어능동태 다음 없으면 타동사는 수동태로 수정되어야 한다. to find의미상 주어innovation(혁신)이다. 혁신은 발견하는 것이 아니라 발견되어지는 것이므로 의미를 따져 봐도 find수동 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to find → to be found  * find = [타] 찾아내다, 발견하다
wherever = [부] 어디서 ~하여도, 어디든지 ~하는 곳에. wherever는 부사절을 이끈다.
people은 [사람들]을 뜻하는 복수명사이므로 그 다음에 복수동사think는 올바르다.
they는 people을 대신한 대명사로서 people복수명사이므로 they는 올바르다.
정답

4

밑줄 친 부분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11. 지방직 9급)
There still remain many issues (            ) even after her lifelong devotion to the poor and helpless in this obscure village.
having resolved  resolve
to be resolved resolving

정답 & 해설

해석눈에 띄지 않은 이 마을에서 가난하고 그리고 도움을 받지 못하는 자들을 위해 그녀가 평생 헌신한 후에 조차도 해결되어야 할 많은 문제들이 여전히 남아있다.
해설③번만 [수동]이고 나머지는 [능동]이다. 명사 다음에 오는 준동사(동사ing, 동사ed , to 동사원형, to be + 동사ed)의 능/수동을 선택할 때는 명사준동사 사이에 be동사를 넣어서 판단해 본다. 수동인 부정사에 적용해보면 [many issues are to be resolved (많은 문제들이 해결되어져야 한다)]가 된다. 이것은 구조와 의미가 맞다.
정답
6

사역동사 수동태

 make의 수동태   be made to do   
~하도록 강요받다
사역동사 have는 수동태가 불가하다.
He was made work hard. (X)
 그는 열심히 공부하라는 요구를 받았다. 
 work → to work

기출 1회

18. 서울시 9급

1/5

1

어법상 가장 옳은 것은? (18. 서울시 9급 )
If the item should not be delivered tomorrow, they would complain about it.
He was more skillful than any other baseball players in his class.
Hardly has the violinist finished his performance before the audience stood up and applauded.
Bakers have been made come out, asking for promoting wheat consumption.

정답 & 해설

해석 
만일 그 제품이 내일 배달되지 않는다면, 그들은 그것에 관해 불평할 것이다.
그는 학급의 어떤 다른 야구 선수들보다 더 능숙했다.
그 바이올리스트가 연주를 끝내자마자 청중들은 서서 박 수를 보냈다.
제빵업자들은 밖으로 나오도록 요청받았으며, 밀 소비의 촉진을 요구했다.
해설 
가정법 미래의 문장으로 올바르다.
than any other 다음은 [단수명사]가 온다. baseball players → baseball player
[~하자마자 ~하다]는 [Hardly + had + S + p.p. ~ before S + 과거동사] 형식이다. has → had
사역동사 make수동태be made to do(~하도록 강제받다)이다. come out → to come out
정답
7

자동사

전치사를 수반하지 않는   완전자동사  는 목적어가 없으므로   수동태  가   불가하다  .
 appear    나타나다 
 emerge    나타나다, 드러나다, 부상하다 
 abound    풍부하다 
 occur    발생하다 
 happen    발생하다 
 rise    발생하다 
 arrive    도착하다 
 disappear    사라지다 
 belong to    ~에 속하다 
 look    보이다  : 2형식 감각동사일 때
 exist    존재하다 
 grow up    성장하다 
His shadow was appeared in sight. (X)
 그의 그림자가 시야에 나타났다.
 was appeared → appeared

기출 11회

18. 서울시 9급

19. 서울시 9급

18. 국회직 9급

18. 법원직 9급

18. 경찰직 2차

16. 법원직 9급

15. 교행직 9급

15. 국회직 9급

15. 기상직 9급

15. 국가직 7급

12. 지방직 7급

5/5

1

어법상 옳은 것은?  (14. 지방직 7급)
All he wanted was sat with the paper until he could calm down and relax.
Straddling the top of the world, one foot in China and the other in Nepal, I cleared the ice from my oxygen mask.
It is impossible to say how first entered the idea my brain; but once conceived, it haunted me day and night.
She was moving away from realistic copying of objects to things she perceiving with her own eyes and mind.

정답 & 해설

해석 
그가 원했던 것은 마음을 가라앉히고 느긋해 질 때까지 서류를 갖고 앉아 있는 것이었다.
세상의 정상에 올라서서, 한 쪽 발은 중국에 다른쪽 발은 네팔에 두고 나는 산소 마스크에 있는 얼음을 치웠다.
그 생각이 내 머리에 어떻게 들어 왔는지를 말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일단 생각되어지면, 그것은 나를 밤낮 으로 뇌리에서 떠나지 않는다.
그녀는 자신의 눈과 마음으로 지각하는 것들의 사실적인 카피로부터 탈피하고 있었다.
해설 
sit – sat – sat자동사로서 수동태가 안된다. sat → sitting
straddle = 다리를 벌리고 올라앉다
간접의문문은 [의문사 + 주어 + 동사] 어순이다. how first entered the idea my brain → how the idea first entered my brain
things 다음에 주어인 she가 있는 것으로 봐서 thingsshe사이에는 관계대명사 which생략되었다. 주격인 she 다음은 술어[시제]동사가 와야 한다. perceiving → perceived
정답

2

다음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15. 교행직 9급)
I saw one of the most impressive government policies in years.
If I were you, I’d apply for the position just for the experience.
That wonderful thought was suddenly occurred after I came to Jeju.
I urged in my previous letter that they be treated as his colleagues.

정답 & 해설

해석 
나는 몇년 동안 가장 인상적인 정부 정책들 중 하나를 보았다.
내가 너라면, 나는 경험을 위해 바로 그 직책에 지원했을 텐데.
그 멋진 생각이 내가 제주에 온 후 갑자기 떠올랐다.
나는 나의 앞선 편지에서 그들은 그의 동료들로서 대우받아야 함을 주장했다.
해설 
one of 다음은 [복수명사]가 온다. 따라서 one of 다음에 the most impressive government policies는 올바르다.
조건절(If I were ~), 주절(I’d apply ~).
조건절의 were과 주절의 would로 봐서 가정법 과거 문장으로 올바르다.
occur자동사로서 수동태가 안된다. that은 thought를 수식하는 형용사이다. was occurred → occurred
충고•주장•제안•명령•요구를 뜻하는 동사들은 [충고•주장•제안•명령•요구 + that S + (should) + 동사원형]의 형식으로 쓰인다. 만일 should생략하면 [동사원형]을 쓴다. urge는 [주장하다]의 뜻이므로 urged that they 다음에 should를 생략하고 동사원형인 be를 쓴 것은 옳다.
정답

3

다음 밑줄 친 부분 중 문법상 옳지 않은 것은?  (15. 국회직 9급)
Problems can ①be appeared unsolvable. We are social animals who need to ②discuss our problems with others. When we are alone, problems become more ③serious. By sharing, we can get opinions and find solutions.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a group of women who had low satisfaction in life. Some of the women were introduced to others ④who were in similar situations, and some of the women were left on their own ⑤to deal with their concerns. Those who interacted with others reduced their concerns by 55 percent over time, but those who were left on their own showed no improvement.
문제가 해결 불가능한 것 같아 보일 수 있다. 우리는 다른 사람들과 우리의 문제를 토론해야할 필요성이 있는 사회적 동물이다. 우리가 혼자있을 때 문제는 더욱 심각해진다. 공유함으로써, 우리는 의견을 얻고 해결책을 찾을 수 있다. 삶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여성 그룹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했다. 어떤 여성들은 비슷한 상황에 처한 다른 사람들에게 소개되었 으며, 그리고 일부 여성들은 자신들의 관심사를 다루기 위해 그들 자신들에게 남겨졌다.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한 사람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신들의 걱정거리를 55% 줄였지만 그러나 그들 자신들에게 넘겨진 사람들은 어떤 개선도 보여주지 못했다.

정답 & 해설

해설 
appear은 [~인 것 같다]는 뜻의 자동사로서 수동태가 안된다. be appeared → appear
discuss our problems~.
discuss(토론하다)는 타동사이므로 목적어인 our problems가 온 것은 옳다.
become + 보어 형식으로 보어로 형용사인 serious는 옳다.
S(Some of the women) + V(were introduced) + 전치사구(to others) + 관계대명사절(who were in similar situations)
관계대명사 다음은 불완전한 절이 온다. who 다음의 절은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이므로 옳다. who의 선행사는 others(다른 사람들)이다. who 다음의 were이 복수인 것은 others(=who)가 복수이기 때문이다.
deal with = (문제•과제 등을) 처리하다, (주제로) ~를 다루다 
정답

4

다음 밑줄 친 (A), (B), (C)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표현은?  (18. 국회직 9급)
    
Anecdotes about elephants (A)  with examples of their loyalty and group cohesion. Maintaining this kind of togetherness calls for a good system of communication. We are only now beginning to appreciate (B)  complex and far-reaching this system is. Researcher Katharine Payne first started to delve into elephant communication after a visit to Portland’s Washington Park Zoo. Standing in the elephant house, she began to feel (C)  vibrations in the air, and after a while realized that they were coming from the elephants. What Katharine felt, and later went on to study, is a low-frequency form of sound called infrasound.
       
 (A)(B)(C)
aboundhowthrobbing
aboundthatthrobbed
aboundthatthrobbing
are aboundedhowthrobbing
are aboundedthatthrobbed
코끼리에 대한 일화에는 충성심과 집단 응집력의 예가 많이 있다. 이런 종류의 연대감을 유지하는 것은 훌륭한 의사 전달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우리는 이 시스템이 얼마나 복잡하고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알기 시작했다. 연구원 캐서린 페인(Katharine Payne)은 포틀랜드 워싱턴 파크 동물원 (Washington Park Zoo)을 방문한 후 처음으로 코끼리 커뮤니케이션에 대해 탐구하기 시작했다. 코끼리 집에 서서, 그녀는 공중에서 두근거리는 진동을 느끼기 시작했고, 그리고 잠시 후 코끼리로부터 오고 있음을 깨달았다. 캐서린이 느낀 것과 나중에 계속 공부하게 된 것은 초저주파 불가청음이라고 불리는 저주파 형태의 사운드이다.

정답 & 해설

해설 
(A)abound는 [아주 많다, 풍부하다]를 뜻하는 자동사이다. 자동사는 수동태가 될 수 없다. 따라서 are bounded는 빈 곳에 들어갈 수 없다.
(B)S(We) + V(are only now beginning) + O[to appreciate how/that complex and far-reaching this system is].
that관계대명사이거나 접속사이다. 관계대명사라면 빈 곳 앞에 선행사가 있어야 하는데 없으므로 관계대명사가 들어갈 자리는 아니다. 만일 접속사로 들어간다면 that S + V 형식이 되어야 한다. 그런데 빈곳 다음의 complex and far-reachingis보어이다. 따라서 접속사 that들어갈 수도 없다. how의문부사이다. how는 how의 수식을 받는 형용사[부사]와 함께 [how + 형용사/부사 S + V]형식으로 쓰인다. 빈곳 다음 에 형용사(complex and far-reaching)가 있으므로 how가 들어가서 형용사(complex and far-reaching)를 수식하면 된다.
(C)빈 곳은 vibrations를 수식하는 형용사가 들어가야 한다. throb(두근두근하다)는 자동사이다. 자동사는 능동태만 가능하다. throbbing능동이며 throbbed수동이다. 이 단어는 수동형은 없으므로 빈 곳에는 throbbing이 옳다.
정답

5

다음 중 어법상 옳은 것은?  (15. 국가직 7급)
Sharks have been looked more or less the same for hundreds of millions of years.
“They have evolved through time to improve upon the basic model,” says John Maisey, a paleontologist who helped identify the fossil.
The skeleton supporting this ancient shark’s gills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ose of a modern shark’s.
Previously, many scientists had been believed that shark gills were an ancient system that predated modern fish.

정답 & 해설

해석 
상어는 수 억년 동안 거의 비슷하게 보였다.
화석 식별을 도왔던 고생물학자 John Maisey는 “그들은 기본 모델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진화 해왔다”고 말했다.
고대 상어의 아가미를 지지하는 골격은 현대 상어의 그것과는 완전히 다르다.
이전에 많은 과학자들은 상어 아가미가 현대 물고기보다 먼저 존재했던 고대 시스템이라고 믿어왔다.
해설 
look감각[5감]동사의 하나로 2형식 자동사이므로 수동태가 불가하다. 따라서 have been looked는 수동태이므로 잘못이다. have been looked → have looked
이 영문에서 evolve, improve자동사로 쓰였으므로 올바르다. who는 관계대명사이며 선행사paleontologist(고생물학자) 이다. 관계대명사 다음은 불완전한 절(주어, 목적어, 보어 중 하나가 없는 절)이 온다. who 다음은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이므로 옳다. 
thoseskeleton을 대신한 대명사이다. skeleton이 단수명사이므로 대명사도 단수형인 that이 되어야 한다.  those → that
believe타동사이다. 타동사의 목적어는 능동태 다음과 수동태 앞에 위치한다. 이 영문에서 that절목적어이다. believe 다음에 목적어가 있으므로 타동사는 능동태이어야 한다. had been believed → had believed
정답

6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18. 법원직 9급)
To “win hands down” which means to “win easily” or “win with little or no effort” has ①its origins in horse racing. In a close, photo-finish race, a jockey ②typically strikes his horse with a bat or the reins to force it to maintain or increase speed. When the horse is leading by several lengths and a win is assured, the jockey will usually cease striking the horse or let the reins ③go loose: In effect, he puts his “hands down.” The expression ④was appeared in the mid-19th century; by the end of the century, it was being used outside of horse racing to mean “with no trouble at all.”

정답 & 해설

해석“쉽게 승리하기” 또는 “거의 또는 전혀 노력하지 않고 승리하는 것”을 의미하는 “win hands down(아주 쉽게 승리하는 것)”은 경마에 기원을 두고 있다. 정밀한 포토 피니시(=레이서 결승선에서 사진을 찍어 그 결과를 좀더 정확히 확인하는 것) 경주에서, 기수가 전형적으로 말에게 속도를 유지하거나 증가하도록 채찍이나 고삐로 말을 친다. 말이 몇 배 거리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거나 승리가 보장되면, 기수는 보통 말을 치는 것을 멈추거나 고삐를 느슨하게 한다. 실제로, 그는 “hands down.”을 한다. 이 표현은 19세기 중반에 나타났다. 세기 말 무렵까지, 그것은 “전혀 문제가 없음”을 뜻하기 위해 경마 밖에서 사용되고 있었다.
해설appear자동사로서 수동태가 안된다. was appeared → appeared
정답
8

자동사구 수동태

 자동사 + 전치사  는   목적어  가 있으므로   수동태  가   가능하다  .
 be run over (by)   (차에) 치이다 
 be laughed at  (by)   비웃음 받다 
 be spoken to (by)   질문을 받다 
 be added to (by)   더해지다 
 be looked after (by)   보살핌을 받다 
I escaped from running over by a car. (X)
 나는 차에 치일뻔 했다.
 running over by → being run over by

기출 1회

15. 국가직 9급

1/5

1

어법상 옳은 것은? (15. 국가직 9급 )
China’s imports of Russian oil skyrocketed by 36 percent in 2014.
Sleeping has long been tied to improve memory among humans.
Last night, she nearly escaped from running over by a car.
The failure is reminiscent of the problems surrounded the causes of the fatal space shuttle disasters.

정답 & 해설

해석 
중국의 러시아 석유 수입은 2014년에 36%까지 급증했다.
수면은 인간들 사이에서 기억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과 오랫동안 관련되어 왔다.
어제 밤, 그녀는 거의 차에 치일뻔한 것에서 겨우 피했다.
실패는 치명적인 우주 왕복선 재해의 원인을 둘러싼 문제를 상기시킨다.
해설 
percent단수/복수가 같으므로 36 다음에 percent는 옳다.
[부정사는 이제부터 어떤 행동을 취하거나 어떤 상태로 되어야 겠다는 동사]에 쓰이고, [동명사는 지끔까지의 기정 사실을 논하는 동사]에 주로 쓰인다. has long been tied는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일이다. to improve → to improving
running over by → being run over by
명사 + p.p.가 맞는지는 둘 사이에 be동사를 넣어본다. surrounded에 적용하면 [the problemsare surrounded the causes 문제가 원인을 둘러싸였다]가 된다. 타동사의 수동태 다음은 목적어(the causes)가 존재할 수 없다. surrounded → surrounding
정답
9

수동태 구별법

 3형식   명사   +   be p.p. 
 명사   +   be p.p.   + 전치사
 4형식   사람   +   be p.p.   +   사물 
 사물   +   be p.p.   +   사람 
 5형식   사람   +   be p.p.   +   사람   ∴ 사람 = 사람
 사물   +   be p.p.   +   사물   ∴ 사물 = 사물
4형식에서  수동태 다음에 오는 사람 앞에 전치사를 둘 수 있다.
I was given a cap (by him).
 나는 그로부터 모자를 받았다. 4형식 수동태
A cap was given (to) me (by him).
  모자는 그로부터 내게 주어졌다. 4형식 수동태
He is called a genius.
  그는 천재라고 불린다. 
 5형식 수동태 : He = a genius

기출 2회

14. 국가직 9급

14. 국가직 7급

5/5

1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14. 국가직 7급)
The Netherlands now ①becomes the only country in the world to allow the mercy killing of patients, though there are some strict conditions. ②Those who wantmedical assistance to die ③must be undergone unbearable suffering. Doctor and patient must also agree there is no hope of remission. And ④a second physician must be consulted.

정답 & 해설

해석비록 몇 가지 엄격한 조건들이 있지만 네덜란드는 현재 환자의 안락사를 허용하는 유일한 국가가 되었다. 죽기위해 의료적인 도움을 원하는 사람들은 참을 수 없는 고통을 격어야만 한다. 의사들과 환자들은 또한 병의 차도에 희망이 없다는데 의견의 일치가 있어야 한다. 그리고 다른 의사의 상담도 있어야만 한다.
해설타동사의 목적어는 [능동태 다음]과 [수동태 앞]에 온다. undergo (~을 겪다)는 [타동사]이다. undergo의 [목적어]인 unbearable suffering이 [수동태 다음]에 있어서 잘못이다. [수동태 다음]에는 [목적어]가 올 수 없다. 타동사목적어를 타동사 다음에 두려면 타동사능동태이어야 한다. must be undergone → must undergo
정답
10

consist of

 consist of      ~로 구성되다 
=  be composed of  
=  be made up of  
=  comprise  
 consist with      ~와 일치하다 
 consist in      ~에 있다 
The Chorus is consisted of ten people. (X)
 합창단은 10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is consisted of → consists of
The Chorus consists with ten people. (X)
 합창단은 10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consists with → consists of

기출 6회

19. 경찰직 1차

16. 사복직 9급

15. 사복직 9급

15. 기상직 9급

12. 지방직 9급

09. 국회직 9급

3/5

1

우리말을 영어로 잘못 옮긴 것은? (12.지방직 9급)
매일 아침 공복에 한 숟갈씩 먹어라.
 Take a spoonful on an empty stomach every morning.
그 그룹은 10명으로 구성되었다.
 The group was consisted of ten people.
그는 수업에 3일 연속 지각했다.
 He has been late for the class three days in a row.
그는 어렸을 때 부모님의 말씀에 늘 따랐다.
 He obeyed his parents all the time when he was young.

정답 & 해설

해설consist of는 [자동사구]로서 [수동태]로 하지 않는다. consist of = be composed of = be made up of = comprise= 구성되다.
was consisted of → consisted of
정답
11

rob, steal

 사람/장소   +  be robbed (of)     (강탈당하다)
 물건   +  be stolen (from)  (도난당하다)
※ rob A of B (A에서 B를 강탈하다)
※ steal A from B (B에서 A를 훔치다)
I was robbed of my watch.
 나는 나의 시계를 강탈당했다.
My money was stolen.
 나의 돈이 도난을 당했다.

기출 4회

19. 서울시 7급

17. 경찰직 2차

16. 경찰직 2차

11. 경찰직 2차

1/5

1

다음 밑줄 친 부분에 들어갈 문법적으로 가장 옳은 표현은?
One of my closest friends                             of her backpack during her stay in Naples last year.
 
had robbed
was robbed
had herself robbing 
had been robbing

정답 & 해설

해석나의 가장 친한 친구들 중 한 명이 지난해 나폴리에서 머무르는 동안 그녀의 배낭을 강탈당했다.
해설rob A of B = A가 가진 B를 강탈하다. 하나의 절에는 하나의 시간만 존재한다(=1절 1시). last year(지난해)은 과거시간을 나타내는 부사이다. 따라서 빈 곳에는 과거동사만 와야 한다. rob A of B의 수동태가 [be robbed of(강탈 당하다)]이다. 따라서 빈 곳에 was robbed of는 의미와 구조가 모두 맞다.
정답

2

다음 글의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16. 경찰직 2차)
Ever since my bike ( ㉠ ), I put on my invaluable items GPS tracking devices ( ㉡ ) show me exactly where they are.
 
㉠ stole ㉡ in which
㉠ was stolen ㉡ which
㉠ stole ㉡ which 
㉠ was stolen ㉡ in which

정답 & 해설

해석내 자전거가 도난당한 이후로, 나는 나의 귀중한 것에 그들이 어디에 있는지를 정확하게 알려주는 GPS 추적 장치를 달았다.
해설  
stole은 steal(훔치다)의 [과거형]이다. 자전거는 훔쳐진 대상이므로 [수동태]인 was stolen이 옳다.
[관계대명사 다음]은 주어, 목적어, 보어 중 하나가 없는 [불완전한 절]이 온다. 빈칸 다음의 show me exactly where they are는 show의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이다. 따라서 빈칸은 [관계대명사]만 와야 하므로 which가 옳다. in which는 [전치사 + 관계대명사]이다. [전치사 + which] 다음은 [완전한 절]이 온다.
정답
12

that절 수동태

 It   be p.p.   +   that    S   + V
=  S   be p.p.   +   to do   *S = S   
be + p.p. + that절의 주어는 It이다.
They say that he is a liar.
 He is said that he is a liar. (X)
 그는 거짓말쟁이라는 말을 듣는다.
 be + p.p. + that절 주어는 It이다. He → It
He is said to be a liar. 
 그는 거짓말쟁이라는 말을 듣는다.

기출 1회

15. 지방직 7급

1/5

1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15. 지방직 7급 )
He is alleged that he has hit a police officer.
Tom got his license taken away for driving too fast.
The building was destroyed in a fire, the cause of which was never confirmed.
Under no circumstances can a customer’s money be refunded.

정답 & 해설

해석 
그가 경찰을 때렸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톰은 과속으로 면허를 빼앗겼다.
그 건물은 화재로 인해 파괴되었으며, 원인은 확인되지 않았다.
어떠한 경우에도 고객의 돈은 환불될 수 없다.
해설타동사목적어능동태 다음수동태 앞에 위치한다. 타동사의 수동태인 is alleged 다음에 [목적어]가 올 수 없는데 목적절인 that he has hit a police officer이 있으므로 잘못이다. [be p.p. + that절]의 주어it이다. He is → It is
allege = [타] 혐의를 제기하다, 주장하다
정답
13

능동형 수동의미

다음 동사들은  부사  가 왔을 때   능동형  이지만   수동  의 뜻으로 쓰인다.
 clean    깨끗해지다 
 read    읽혀지다   ※ read [타] 읽다 
 sell    판매되다 
 wash    세탁이 되다 
 peel    벗겨지다 
 iron    다림질 되다 
 handle    조작이 되다 
 say    쓰여 있다 
 write    쓰여 지다 
 photograph    사진발 받다 
The book reads interesting.
 그 책은 재미있게 읽을 수 있다. * interesting : [형/부] 재미있는(게)
These shirts wash easily.
 이 셔츠들은 쉽게 세탁된다.

기출 2회

13. 지방직 7급

10. 지방직 9급

0.5/5

1

우리말을 영어로 잘못 옮긴 것을 고르시오. (13. 지방직 7급)
이 문장은 여러 가지 뜻으로 해석될 수 있다.
 →This sentence may be read several ways.
이 책은 재미있게 읽을 수 있다.
 →This book reads interesting.
온도계는 영하 5도였다.
 →The thermometer was read five degrees below zero.
그 연극은 상연된 것보다 책으로 읽는 편이 낫다.
 →The play reads better than it acts.

정답 & 해설

해설 
read = [타] 읽다 be read는 타동사의 수동태이므로 read의 목적어가 수동태 앞에 있다. 따라서 올바르다.
read + 부사= [자] ~하게 읽히다 * interesting은 [부사]로 쓰였으며 이때 read는 [읽히다]로 해석된다. 따라서 올바르다.
interesting = [형] 흥미로운, 재미있는 [부] 재미있게
타동사목적어능동태 다음수동태 앞에 위치한다. was read는 타동사의 수동태이므로 was read 다음에 목적어가 올 수 없는데 목적어 five degrees가 있으므로 잘못이다. was read → read     ※ read = [타] (온도계 따위가 눈금을) 나타내다
read + 부사/보어 = [자] ~하게 읽히다 ((능동형 수동의미))  * read better에서 read는 [읽히다]의 뜻이다.
정답
14

locate, finish

   be situated      ~에 위치하다   
=  be located 
=  stand 
 
   be finished    끝내다  
=  be finished with 
 
※ finish = finish with (끝내다)
Our school locates on a hill. (X)
 우리 학교는 언덕 위에 있다. 
 locates → is located

기출 3회

18. 지방직 7급

12. 경찰직 3차

07. 국회직 8급

1.5/5

1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13. 지방직 7급)
Because of its perfect cone shape and proximity to the beautiful Albay Gulf, Mount Tarn is a popular tourist attraction.
Its base is 80 miles wide in circumference, and it stands a dramatic 8,077 feet tall.
The volcano locates in the center of Gulf National Park, where many people come to camp and climb.
Authorities hope that by issuing early warnings, they will help avoid major destruction and danger.

정답 & 해설

해석 
화산은 걸프 국립 공원의 중심에 위치하며, 그곳은 많은 사람들이 캠핑하고 등반을 한다.
완전한 원뿔 모양과 아름다운 Albay 만과의 근접성 때문에 Mount Tarn은 인기있는 관광 명소이다.
그것의 기저부는 원주의 80마일 너비이고, 그리고 그것은 높이가 극적으로 8,077 피트에 이른다.
관계당국은 조기 경보를 발함으로써, 주요 파괴와 위험을 피하는 것을 도울 것이다.
해설타동사의 목적어는 능동태 다음과 수동태 앞에 온다. locates타동사의 [능동태]로 locates 다음에 [목적어]가 있어야 하는데 없다. 능동태 다음에 [목적어]가 없으면 [수동태]로 수정돼야 한다. locates → is located   ※ locate = [타] (~에) 위치하게 하다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