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class
Grammar
PRONOUN 대명사 문제
1
that + 수식어
수식어 앞 에 쓰이는 대명사 로 단수 는 that , 복수 는 those 이다. |
that (단수) | + | ![]() |
수식어 | |
those (복수) | + | ![]() |
수식어 |
• | The climate of Korea is milder than Japan. (X) |
한국의 기후는 일본의 기후보다 더 온순하다. | |
비교 대상이 기후이므로 than 다음에도 기후가 있어야 한다. | |
Japan → that of Japan | |
• | The climate of Korea is milder than those of Japan. (X) |
한국의 기후는 일본의 기후보다 더 온순하다. | |
climate가 단수이므로 climate를 대신하는 대명사도 단수이어야 한다. | |
those → that |
기출 8회
20. 국가직 9급
18. 국가직 9급
17. 교행직 9급
15. 서울시 9급
15. 국가직 7급
15. 서울시 7급
09. 국가직 7급
09. 국회직 9급
☆☆☆☆☆ 3/5
1
(A), (B)에 들어갈 표현으로 어법상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17. 교행직 9급) | |||||
The French arrived in North America about the same time the English (A), but France was more interested in the profitable fur trade than in colonization and sent few French settlers; as a result, the population of New France stayed tiny compared with (B) of the English colonies to the south. | |||||
(A) | (B) | (A) | (B) | ||
① | did | that | ② | was | this |
③ | did | this | ④ | was | that |
정답 & 해설
해석 | 프랑스인들은 영국인들이 도착한 것과 거의 같은 시기에 북아메리카에 도착했다. 하지만 프랑스는 식민지보다 이윤이 되는 모피 무역에 더 관심이 많았고, 프랑스 이주민들을 거의 보내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뉴 프랑스의 인구는 남쪽에 있는 영국 식민지의 인구와 비교해서 작았다. |
해설 | |
(A) | 문맥상 the English 다음은 arrived가 와야 한다. 그런데 the English 다음에 arrived를 쓰면 나온 단어가 반복된다. arrived처럼 일반 동사가 반복되면 그 동사를 대신해서 do를 시제에 맞춰서 쓸 수 있다. arrived는 과거이므로 did를 쓰면 된다. the English 앞에는 [관계부사]인 when이 생략되었다. |
(B) | 빈칸은 문맥상 the population이 와야 한다. the population은 of the English colonies로부터 수식을 받고 있다. 수식어 앞에 오는 <대명사>는 단수일 때는 that을 쓴다. 따라서 빈칸에는 the population을 대신하는 that이 필요하다. |
정답 | ① |
2
다음 중 문법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 (09. 국가직 7급) | |
① | Had the computer parts been delivered earlier, we could have been able to complete the project on time. |
② | In spite of the fact that he is generally sincere and honest, the head is not likely to forgive his fault this time. |
③ | The maintenance team has completely upgraded our system’s software, but whether it protects us from these new computer viruses is another matter. |
④ | His forecasts of the economy are much more positive than that of many analysts, who fear the country is going into a recession. |
정답 & 해설
해석 | |
① | 만일 컴퓨터 부품이 일찍 납품 되었더라면, 우리는 제 시간에 프로젝트를 완료할 수 있었을 것이다. |
② | 그가 일반적으로 진실하고 정직하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사장은 이번에 그의 잘못을 용서하지 않을 것이다. |
③ | 유지 보수 팀이 우리 시스템의 소프트웨어를 완전히 업그레이드했지만, 그것이 새로운 컴퓨터 바이러스로부터 우 리를 보호하는지 어떤지는 다른 문제이다. |
④ | 경제에 대한 그의 전망은 많은 분석가들의 그것 보다 훨씬 긍정적이며, 그들은 나라가 경기침체에 빠질 것을 두려워한다. |
해설 | 수식어구 앞에서 반복되는 명사 대신에 쓰이는 대명사는 that/ those이다. 수식어구인 of many analysts 앞에 올 대명사는 His forecasts를 대신하는 those이어야 한다. that of many analysts → those of many analysts |
정답 | ④ |
3
다음 밑줄 친 부분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09. 국회직 9급) | |||
The flora of the arid American Southwest is less varied than . | |||
| |||
① | the Southeast is semi-tropical | ||
② | it is the semi-tropical Southeast | ||
③ | it is semi-tropical in the Southeast | ||
④ | the semi-tropical Southeast | ||
⑤ | that of the semi-tropical Southeast |
정답 & 해설
해석 | 건조한 아메리카의 남서부의 식물군은 아열대 남동부의 그것보다 덜 다양하다. |
해설 | |
① | 비교에서 비교대상은 같아야 한다. 이 영문에서 비교 대상은 flora(식물군)이다. 그런데 ①번이 들어가면 비교대상이 맞지 않다. |
② | it is the semi-tropical Southeast가 빈 곳에 들어가면 비교대상이 맞지 않다. |
③ | it is semi-tropical in the Southeast이 빈 곳에 들어가면 비교대상이 맞지 않다. |
④ | the semi-tropical Southeast이 빈 곳에 들어가면 비교대상이 맞지 않다. |
⑤ | 비교에서 비교대상은 같아야 한다. 이 영문의 생략된 부분을 복원해 보면 다음과 같다. The flora of the arid American Southwest + is less varied + than that of the semi-tropical Southeast + (is varied). 비교에서는 앞에서 언급된 부분을 생략하고 쓰이므로 than 다음의 is varied는 생략된다. 이 영문에서 비교대상은 flora(식물군)이다. that은 the flora를 대신해서 쓰인 대명사이다. 이 영문은 올바르다. |
정답 | ⑤ |
4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15. 서울시 7급) | |||
The ①adaptation of mammals ②to almost all possible ③modes of life parallels ④those of the reptiles in Mesozoic time. |
정답 & 해설
해석 | 포유 동물이 가능성 있는 거의 모든 생활양식에 적응은 중생대 시대의 파충류의 적응과 유사하다. |
해설 | |
① | adaptation은 단수명사이며 단수동사인 paralles의 주어로서 올바르다. |
② | adaptation to = ~에 적응 |
③ | mode는 [방식, 양식, 유형]을 뜻하는 가산명사로서 복수형이 가능하며 modes of life는 to의 목적어이다. |
④ | those는 adaptation을 대신한 대명사이다. adaptation이 단수 명사이므로 단수형인 that으로 받아야 한다. those → that |
정답 | ④ |
2
가목적어
5형식 에서 목적어 로 부정사 , 동명사 , 명사절 이 오면 목적격보어 와의 구별을 분명히 하기 위해 부정사 , 동명사 , 명사절 을 문장 끝에 두고 목적어 자리에 가목적어 로 it 을 둔다. |
⚈ it을 삭제하면 틀린다. | ⚈ to가 없으면 틀린다. | ||||||||||
to do | |||||||||||
S + V | + | it | + | 목·보어 | + | doing | |||||
가목적어 | 접속사 S + V | ||||||||||
진목적어 | |||||||||||
⚈ 형용사ly는 부사이므로 목적격보어로 올 수 없다. | |||||||||||
• | I make a rule to get up early. (X) |
나는 일찍 일어나는 것이 습관이다. | |
to get up early는 목적어이며 a rule은 목적격보어이다. 목적격보어 + 목적어의 순서로 하려면 가목적어 it을 동사 다음에 둬야 한다. | |
make a rule to get up early → make it a rule to get up early | |
• | I found it truly that he is sick. (X) |
나는 그가 아픈 것이 사실임을 알았다. | |
문맥상 truly는 목적격보어이다. 보어가 될 수 있는 것은 명사/ 형용사이다. 따라서 부사(truly)가 온 것은 잘못이다 | |
truly → true |
기출 9회
20. 지방직 7급
18. 서울시 9급
17. 지방직 9급
17. 국가직 9급
17. 사복직 9급
10. 지방직 9급
09. 국가직 9급
09. 지방직 7급
07. 국가직 9급
☆☆☆☆☆ 5/5
1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8. 서울시 9급 1차) | |||
When you find your tongue ① twisted as you seek to explain to your ② six-year-old daughter why she can t go to the amusement park ③ that has been advertised on television, then you will understand why we find it difficult ④ wait. |
정답 & 해설
해석 | 당신의 6세 딸에게 왜 TV에 광고된 놀이 공원으로 갈 수 없는지를 설명해주고자 할 때 당신의 혀가 꼬인 것을 발견하면, 그때 당신은 우리가 기다리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된 이유를 이해하게 될 것이다. |
해설 | |
① | twist = ~를 꼬다, ~을 감다. 명사 + 동사ing(능동)가 맞는지는 둘 사이에 be동사를 넣어서 의미가 맞는지 확인해 보면 된다. 이것을 twisted에 적용해보면 [your tongue (is) twisted (당신의 혀가 꼬였다)]가 된다. 이것은 문맥상 의미가 맞다. |
② | 명사가 2개 나란히 올때는 [단수명사 + 명사]형식으로 쓰인다. 단수명사에 수사와 형용사가 붙으면 [수사 – 단수명사 – 형용사 + 명사] 형식으로 쓰인다. six – year – old daughter는 이규칙을 따른다. |
③ | 관계대명사 다음은 불완전한 절(=주어, 목적어, 보어 중 하나가 없는 절)이 온다. that은 관계대명사이다. that 다음은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이므로 옳다. that의 선행사는 the amusement park이다. |
④ | wait = 기다리다, 준비되어 있다. why we find it difficult wait에서 it은 가목적어이고 wait는 진목적어가 되어야 한다. 진목적어로 [동사원형]을 쓸 수 없고 [to부정사]를 써야 한다. wait → to wait |
정답 | ④ |
2
다음 중 문법적으로 올바른 문장은? (17. 국가직 9급) | |
① | They didn’t believe his story, and neither did I. |
② | The sport in that I am most interested is soccer. |
③ | Jamie learned from the book that World War I had broken out in 1914. |
④ | Two factors have made scientists difficult to determine the number of species on Earth. |
정답 & 해설
해석 | |
① | 그들은 그의 이야기를 믿지 않았다. 그리고 나도 역시 그랬다. |
② | 내가 가장 흥미있어 하는 스포츠는 축구이다. |
③ | Jamie는 1차 세계대전이 1914년에 발발한 것을 책에서 배웠다. |
④ | 두 요소는 과학자들이 지상에 있는 종들의 수를 결정하는데 어렵게 해왔다. |
해설 | |
① | Neither + V + S는 앞에 나온 부정절의 내용이 주어만 다르고 나머지는 모두 같을 때 쓰는 방식이다. Neither + V + S 형식에서 동사는 앞 절 동사의 종류와 시제가 같아야 한다. Neither did I에서 did는 앞절 동사와 같다. |
② | 관계대명사 that 앞에는 전치사를 둘 수 없고 절 끝에 둘 수 있다. 이 영문에서 that은 관계대명사이다. in that I am most interested → that I am most interested in |
③ | 역사적 사건은 시제일치에 관계없이 <과거동사>로만 나타낸다. had broken out → broke out |
④ | 문맥상 made의 목적어는 to determine ~ Earth가 되어야 하고 scientists는 to determine의 의미상 주어가 되어야 한다. 부정사의 의미상 주어는 [for + 목적격]이다. 이것을 재구성하면 for scientists to determine ~ Earth가 된다. 이렇게 긴 목적어를 목적격보어 앞에 두면 목적격보어를 파악하기 힘들다. 그래서 목적어 자리에 가목적어 it을 두고 진짜 목적어는 진목적어라고 해서 문미에 둔다. Two factors have made + 가목적어(it) + 목적격보어(difficult) + 진목적어(for scientists to determine ~ Earth). |
정답 | ① |
3
다음 우리말을 영어로 가장 잘 옮긴 것을 고르시오? (07. 국가직 9급) | |||
미국 우주비행사들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강하고 튼튼한 뼈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신체활동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 |||
① | With an experiment conducted on American astronauts, it has been proven how important is body movement in maintaining strong, healthy bones. | ||
② | An experiment done on American astronauts made clear that physical activity is important to retain strong, healthy bones. | ||
③ | An experiment done with American astronauts made it clear how important physical activity is in maintaining strong, healthy bones. | ||
④ | With an experiment conducted on American astronauts proved that body movement is important to retain strong, healthy bones. |
정답 & 해설
해설 | |
① | 의문사(how important) + V(is) + S(body movement ~ strong)은 간접의문문이다. 간접의문문은 [ how+(형용사/부사) + S + V]의 어순이다. 의문사(how important) + V(is) + S(body movement in maintaining strong) → 의문사(how important) + S(body movement) + V(is) + in maintaining strong |
② | S(An experiment) + 과거분사(done on American astronauts) + V(made) + C(clear) + O(that physical activity is important ~). make의 목적어는 that절이며 clear가 목적격보어이다. [목적격보어 + 목적어] 어순이 되려면 가목적어 it을 동사 다음에 둬야 한다. made clear that ~ → made it clear that ~ |
④ | 전치사구(With an experiment) + 과거분사(conducted on American astronauts) + V(proved) + O(that body movement is important ~). experiment는 with의 목적어이다. 따라서 동사인 proved의 주어가 없어 틀렸다. |
정답 | ③ |
4
다음 중 어법상 어색한 것을 고르시오. (09. 지방직 9급) | |
① | It is a good product made of glass. |
② | What annoys me most is that my sons don’t study hard. |
③ | I thought it uselessly to fight with them. |
④ | I want to have this letter sent by express mail. |
정답 & 해설
해석 | |
① | 그것은 유리로 만든 좋은 제품이다. |
② | 나를 가장 괴롭히는 것은 내 아들이 열심히 공부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
③ | 나는 그들과 싸우는 것이 쓸모없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
④ | 저는 이 편지를 속달 우편으로 보내고 싶다. |
해설 | |
① | made는 과거분사로서 수동이며 product를 수식한다 [product (is) made of glass]. |
② | What은 관계대명사이다. 관계대명사 다음은 불완전한 절(=주어, 목적어, 보어 중 하나가 없는 절)이 온다. 이 문 장에서 What 다음은 동사인 annoy가 왔으므로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이므로 옳다. what은 자체가 선행사이므로 앞에 선행사가 오지 않는다. 따라서 이 문장에서도 what 앞에 선행사가 없으므로 이점도 옳다. what절은 명사 절로 쓰인다. 이 문장에서 What ~ most는 is의 주어이다. |
③ | it은 가목적어이고 to fight with them이 진목적어이다. 가목적어와 진목적어 사이에는 목적격보어가 온다. 목적격보어 가 될 수 있는 품사는 명사와 형용사이다. uselessly는 부사이므로 보어가 될 수 없다. uselessly → useless |
④ | sent는 과거분사로서 수동의미이며 this letter과 수동관계이다 [this letter (is) sent by sepress mail]. |
정답 | ③ |
3
so/neither + 동사 + 주어
앞 문장 이 so 다음에서 반복 될 때 주어 + 동사 만 쓰고 나머지는 생략 된다. |
So | + | 동사 | + | 주어 | ||||
앞 절과 다른 대상이 온다. | ||||||||
앞 절과 시제는 같다. be와 조동사, have+p.p.의 have는 앞의 절과 같다. 일반동사는 do, does, did로 바꾼다. | ||||||||
so는 긍정문을 받으며 too(역시), also의 뜻이다. 부정문을 받을 때는 so를 neither이나 nor로 바꾼다. 미국에서는 and 다음에 nor를 쓰지 않느다. | ||||||||
• | He likes wine, and So do I. |
그는 포도주를 좋아한다. – 나도 그렇다. | |
• | I am not tired, and Neither am I. |
나는 피곤하지 않다. – 나도 역시 그렇다. |
기출 6회
21. 국가직 9급
19. 국가직 9급
18. 국회직 9급
18. 경찰직 2차
17. 국가직 9급
12. 경찰직 3차
☆☆☆☆☆ 4/5
1
다음 ㉠ ~ ㉣ 중 어법상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8. 경찰직 2차) | |||
People have been asking questions about ㉠what they have seen around them for thousands of years. The answers they have come up with have changed a lot. So ㉡is science itself. Science is dynamic, building upon the ideas and discoveries which one generation passes on to the next, as well as ㉢making huge leaps forward when completely new discoveries are made. What hasn’t changed is the curiosity, imagination and intelligence of those doing science. We might know more today, but people who thought deeply about their world 3,000 years ago ㉣were just as smart as we are | |||
① | ㉠ | ② | ㉡ |
③ | ㉢ | ④ | ㉣ |
정답 & 해설
해석 | 사람들은 수천년 동안 그들 주위에서 보았던 것에 대해 질문해 왔다. 그들이 제기한 해답은 많이 바뀌었다. 과학 그 자체도 마찬가지이다. 과학은 역동적이며, 한 세대가 다음 세대로 넘겨주는 아이디어와 발견을 바탕으로 할 뿐만 아니라, 완전히 새로운 발견이 이루어질 때도 큰 도약을 한다. 바뀌지 않은 것은 과학을 하는 사람들의 호기심, 상상력 및 지능이다. 우리는 오늘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3000년 전에 그들의 세계를 깊이 생각한 사람들은 현재의 우리들 만큼 똑똑했다. |
해설 | |
① | what 다음은 불완전한 절(=주어, 목적어, 보어 중 하나가 없는 절)이 오는데 seen의 목적어가 없으므로 불완전하다. what은 앞에 선행사가 없다. what절은 명사절로서 about의 목적어로 쓰였다. |
② | So + V + S는 앞에 나온 절의 내용이 주어만 다르고 나머지는 모두 같을 때 쓰인다. So 다음 동사는 앞 절의 동사(has changed)와 종류나 시제가 같아야 한다. 주의할 점은 have + p.p.에서 have는 조동사이다. 조동사는 반복되면 그대로 반복시키고 p.p.부터 생략된다. So is science itself → So has science itself |
③ | as well as 앞/뒤는 같은 품사로 이루어지는 병치[병렬]구조이다. 이 영문에서는 making과 building이 병치되었다. making은 <타동사 + ing>이므로 huge leaps가 목적어이다. |
④ | 주어(people)가 복수이므로 복수동사 were은 올바르다. |
정답 | ② |
2
다음 빈 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옳은 것은? (12. 경찰직 2차) | |
Jane went to the movies, . | |
① | and did her sister so |
② | and so did her sister |
③ | but her sister went there also |
④ | such went also her sister |
정답 & 해설
해석 | 제인은 영화를 보러 갔고, 그녀의 언니도 그랬다. |
해설 | |
① | 앞에 나온 절의 내용이 주어만 다르고 나머지는 모두 같을 때 So + V + S의 형식을 쓴다. and did her sister so → and so did her sister |
② | So + V + S는 앞에 나온 절의 내용이 주어만 다르고 나머지는 모두 같을 때 쓰인다. So 다음의 동사는 앞 절의 동사와 종류나 시제가 같아야 한다. 주절의 동사인 went와 So 다음의 did(=went)는 같다. 따라서 and so did her sister는 올바르다. |
③ | 문맥상 대조내용이 아니라 같은 내용이 첨가되었다. 같은 흐름의 내용이 첨가되면 and를 쓴다. but은 흐름이 반대로 바뀔 때 쓰인다. but her sister went there also → and her sister also went to the movies there |
④ | 앞에 언급된 절이 반복될 때 줄여서 쓰는 방식에는 such가 아닌 so를 쓴다. such went also her sister → and so did her sister |
정답 | ② |
4
one ~ another ~ the other
• | one | ~ | another | ~ | the other |
하나 | 또 하나 | 나머지 하나 ((셋 중에서)) | |||
• | some | ~ | the others | ||
일부는 | 나머지 모두는 | ||||
• | some | ~ | others | ||
일부는 | 일부는 |
• | I’ve three pens; one is white, another is red, and the other is black. |
나는 세 개의 펜이 있다. 하나는 흰색이고, 또 하나는 붉은색, 마지막 하나는 검정색이다. | |
• | There are six caps; some are mine, and the others are hers. |
여섯 개의 모자가 있다. 일부는 내 것이고, 나머지 모두는 그녀의 것이다. | |
• | Some are good, and others are bad. |
일부는 좋고, 일부는 나쁘다. |
기출 2회
19. 경찰직 1차
14. 국회직 9급
☆☆☆☆☆ 0.5/5
1
다음의 밑줄 친 (A)와 (B)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표현을 고르면? (14. 국회직 9급) | ||
James got four letters. One was from his father. (A) one was from his brother. (B) letters were from his friend. | ||
(A) | (B) | |
① | Another | Other |
② | Another | The other |
③ | The other | Another |
④ | he other | Other |
⑤ | Other | The other |
정답 & 해설
해석 | 제임스는 네 통의 편지를 받았다. 하나는 그의 아버지로부터 왔다. 또 하나는 그의 형제에게서 왔다. 나머지 두 통의 편지는 친구에게서 왔다. |
해설 | S(One) + V(was) + 전치사구(from his father). |
S(another one) + V(was) + 전치사구(from his brother). | |
S(the other letters) + V(were ) + 전치사구(from his friend). | |
물건을 3등분으로 나열할 때는 one ~ another ~ the other의 형식을 쓴다. | |
정답 | ② |
5
one ~ the other
• | one ~ the other | ||
(둘 중에서) 하나 ~ 마지막 하나 |
• | I forced myself to put one foot in front of the other. |
나는 한 발을 다른 쪽 발 앞에 두려고 했다. |
기출 2회
14. 지방직 7급
13. 경찰직 1차
☆☆☆☆☆ 1.5/5
1
다음 빈칸에 각각 들어갈 말로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3. 경찰직 1차) | |
North Korea’s neighbors in the region have one worried eye ( ) North Korea’s nuclear test and ( ) Japan’s rearmament on the excuse of keeping the peace in Asia. | |
① | cock for, other for |
② | cocking, another |
③ | cocked with, the one with |
④ | cocked on, the other on |
정답 & 해설
해석 | 이 지역의 북한 이웃 국가들은 걱정 스런 한쪽 눈은 북한의 핵 실험에 눈을 치뜨고 있고 그리고 다른 한쪽 눈은 아시아에서 평화를 유지하겠다는 구실의 일본의 재무장에 눈을 치뜨고 있다. |
해설 | |
• | cock = (몸의 일부를) 곧추세우다, (눈썹)을 치켜들다. [명사 + 동사ing(능동), 명사 + 동사ed(수동)]의 문법적 오류는 명사 다음에 be동사를 넣어서 의미가 맞는지 확인한다. cocking에 적용해보면 [one worried eye (is) cocking North Korea’ nuclear test (걱정스런 한쪽 눈이 북한의 핵실험을 치켜든다]가 된다. 이것은 의미가 부적합하다. cocked에 적용해보면 [one worried eye (is) cocked (걱정스런 눈을 치켜뜬채)]가 된다. 이것은 의미가 맞다. |
• | 사람의 눈은 2개이다. 두 개의 물체를 대명사로 표현할 때는 one(하나) ~ the other(다른 나머지 하나)이다. 따라서 두 번째 빈 곳은 the other이 옳다. |
정답 | ④ |
6
such as
• | such as = such ~ as | ||
~같은, 예를 들어 (~같은) |
• | Autumn gives us fruits such as apples and pears. |
가을은 우리들에게 사과나 배와 같은 과일을 준다. |
기출 2회
16. 지방직 7급
11. 경찰직 2차
☆☆☆☆☆ 0.5/5
1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11. 경찰직 2차) | |||
Some animals, the ameba and starfish, have no heads. | |||
① | both | ② | such as |
③ | they are | ④ | which |
정답 & 해설
해석 | 아메바와 불가사리 처럼 일부 동물은 머리가 없다. |
해설 | |
① | both = 둘 다(의). both A and B = A와 B 둘다. both가 빈 곳에 들어가면 both A and B가 된다. both the ameba and starfish는 명사구이다. 그러면 주어인 Some animals와 동격어가 된다. 그런데 이들은 동격어가 될 수 없다. 왜냐하면 일부 동물 (Some animals)이라고 했으면 동격어도 일부 동물이어야 하는데 두 동물(both the ameba and starfish)로 제한했기 때문이다. |
② | such as = ~처럼, 예를 들어 (~처럼). 빈 곳의 내용은 주어(Some animals)에 대한 예를 제시한 것이다. 따라서 빈 곳에는 예시를 나타내는 전치사는 such as가 적합하다. |
③ | they are이 빈 곳에 들어가면 절이 2개가 된다. 절이 2개이면 접속사가 1개 필요하다. 그런데 문장에 접속사가 없다. |
④ | which는 관계대명사로서 접속사 역할을 한다. 접속사 다음은 절(= S + V)이 와야 한다. 그런데 빈 곳 다음에 절이 없다. |
정답 | ② |
7
almost, most
• | almost | [부] | 거의 |
• | most | [형] [대] | 대다수(의) [부] 가장 |
• | the most | [형] [부] | 가장 (많은) |
• | a most | [부] | 매우 (a very) |
↳ almost all = 거의 모든 |
• | Almost boys like outdoor games. (X) |
대다수 소년들은 야외 게임을 좋아한다. | |
Almost는 [부사]이므로 [명사]인 boys를 수식할 수 없다. | |
almost → most | |
• | We respect the teacher most. |
우리는 그 선생님을 가장 존경한다. ((부사)) |
기출 1회
14. 경찰직 2차
☆☆☆☆☆ 1/5
1
다음 글의 ㉠, ㉡에서 어법에 맞는 표현을 골라 가장 올바르게 짝지은 것은? (14. 경찰직 2차) | ||
For the last fifty years, advances in chemistry ㉠brought/have brought many positive changes to the American lifestyle. ㉡Most/Almost people have simply trusted the government and corporations to ensure the safety of the new product. | ||
㉠ | ㉡ | |
① | brought | Almost |
② | brought | Most |
③ | have brought | Almost |
④ | have brought | Most |
정답 & 해설
해석 | 지난 50년 동안 화학의 발전은 미국의 생활방식에 많은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대다수의 사람들은 신제품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정부와 기업을 단순히 신뢰하고 있다. |
해설 | |
㉠ | 하나의 절에서 동사의 시간과 시간표시어의 시간은 같다. 동사의 선택은 시간표시어와 같은 시제의 동사를 선택하면 된다. For the last fifty years(지난 50년 동안)는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기간]을 나타낸다. have brought는 현재완료이며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기간의 일]을 나타낸다. For the last fifty years와 같은 기간을 나타내는 동사는 have brought이다. |
㉡ | Most는 형용사와 대명사로 쓰이고 Almost는 부사이다. 밑줄 다음에 people은 명사이다. 명사를 수식하는 것은 형용사이므로 Most가 옳다. |
정답 | ④ |
8
소유대명사
소유대명사 는 소유격 + 명사 를 대신한다.
소유격 | my | your | his/ her/ its | our | their |
소유대명사 | mine | yours | his/ hers | ours | theirs |
↳ 소유격은 명사 없이 단독으로 쓸 수 없다. |
• | The team is as good as our. (X) |
그 팀은 우리 팀만큼 훌륭하다. | |
소유격(our)은 명사 없이 단독으로 쓰일 수 없다. | |
our → ours |
기출 2회
20. 지방직 9급
15. 지방직 9급
☆☆☆☆☆ 0.5/5
1
우리말을 영어로 옮긴 것 중 가장 어색한 것은? (15. 지방직 9급) | |
① | 제인은 보기만큼 젊지 않다. |
Jane is not as young as she looks. | |
② | 전화하는 것이 편지 쓰는 것보다 더 쉽다. |
It’s easier to make a phone call than to write a letter. | |
③ | 너는 나보다 돈이 많다. |
You have more money than I. | |
④ | 당신 아들 머리는 당신 머리와 같은 색깔이다. |
Your son’s hair is the same color as you. |
정답 & 해설
해설 | |
① | as ~ as(~만큼 ~한)의 부정은 not as ~ as나 not so ~ as이다. |
② | easy는 [It is easy (for 목적어) to do] 형식으로 쓰인다. than의 비교대상은 to make a phone과 to write a letter이다. |
③ | than의 비교대상은 You와 I이다. |
④ | Your son’s hair의 비교대상은 your hair(=yours)이다. you → yours |
정답 | ④ |
9
most of
• | most of 한정사 + 복수명사 |
• | most of 한정사 + 불가산명사 |
• | most of 복수대명사 |
(특정한) ~ 중에서 대다수 |
• | Most of friends died. (X) |
나의 친구들 중 대다수가 사망했다. | |
Most of 다음은 한정사 + 복수명사가 온다. | |
friends → my friends |
기출 1회
10. 국회직 9급
☆☆☆☆☆ 1/5
1
밑줄 친 부분 중 문법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 (10. 국회직 9급) | |||||
Marriage ①is certainly not the only source of ②interpersonal intimacy, but ③it is ④still the first choice for ⑤most of Americans. |
정답 & 해설
해석 | 결혼은 확실히 개인간의 친밀감의 유일한 원천은 아니지만, 그것은 여전히 미국인들 대다수의 첫 번째 선택이다. |
해설 | most of는 [most of 한정사 + 복수명사, most of 한정사 + 불가산명사, most of복수대명사]의 형태로 쓰이며, 한정사가 없는 명사와 함께 쓰일 수 없다. 따라서 [most of + 명사]는 쓸 수 없다. 이 영문에서 most of 다음에 한정사가 없는 복수명사가 왔으므로 잘못이다. 한정사가 없는 명사와 결합하려면 most만 써야 한다. most of → most |
정답 | ⑤ |
10
the same
same 은 the 와 함께 the same (같은, 같은 것) 의 형태로 쓰인다. |
• | He has made a same mistake. (X) |
그는 같은 실수를 해 왔다. | |
a same → the same |
기출 1회
11. 국회직 9급
☆☆☆☆☆ 0.5/5
1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1. 국회직 9급) | |||||
Playing dice has been ①a popular game for Western people, and 6 ②is considered to be the strongest number since it is the biggest number from a dice. Meanwhile, 7 is regarded ③as the lucky number probably because it is ④most likely to have 7 in a dice game when you roll two dice at ⑤a same time. |
정답 & 해설
해석 | 주사위 놀이는 서양인에게 인기있는 게임이었다. 주사위에서 가장 큰 숫자이기 때문에 6이 가장 강한 숫자로 간주된다. 한편, 7은 당신이 2개의 주사위를 동시에 굴릴 때 주사위 게임에서 7을 가질 가능성이 아마도 가장 높기 때문에 행운의 숫자로 간주된다. |
해설 | |
① | game(놀이, 오락)은 가산명사이다. 가산명사 앞에는 부정관사인 a를 붙일 수 있다. |
② | consider A (as, to be) B =A be considered (as, to be) B =A를 B로 간주하다. as나 to be는 생략될 수 있다. 이 영문에서 is considered to be는 올바르다. 숫자 6은 단수명사이므로 단수동사 is는 옳다. |
③ | regard A as B = A be regarded as B = A를 B로 간주하다. 이 영문에서 is regarded as는 올바르다. |
④ | likely = [형] ~할[일] 것 같은. most는 [가장, 제일]의 뜻이며 부사로 쓰였다. be likely to do = ~할 것 같다 |
⑤ | same은 the와 함께 the same의 형태로 쓰인다. a same time → the same time |
정답 | ⑤ |
11
재귀대명사
대명사 + self 를 재귀대명사라 하며 ~자신 으로 해석한다. |
1인칭 | 2인칭 | 3인칭 | |
단수 | myself | yourself | himself / herself / itself |
복수 | ourselves | yourselves | themselves |
✱ 타동사의 목적어로 ~self가 오면 주어+self가 된다. | |||
✱ 재귀대명사가 타동사의 목적어로 쓰이면 재귀용법, 목적어 이외의 자리에 있으면 강조용법이라 한다. |
• | He killed herself. (X) |
그는 자살했다. | |
타동사(killed)의 목적어로 재귀대명사가 온다면 재귀대명사와 주어는 동일인이어야 한다. | |
herself → himself |
기출 2회
19. 국회직 9급
15. 서울시 7급
☆☆☆☆☆ 0.5/5
1
우리말을 영어로 잘못 옮긴 것을 고르시오. (16. 지방직 7급) | |
① | 탄소배출은 가스, 석탄, 석유와 같은 화석연료 연소의 결과물이다. |
Carbon emissions are a result of burning fossil fuels such as gas, coal, or oil. | |
② | 모든 연령대의 사람들이 여왕에게 존경을 표하기 위해 차려입었다. |
People of all ages dressed up to show themselves their respect to the queen. | |
③ | 당뇨병은 우리 건강에 심각한 위협이지만 완벽히 예방할 수 있다. |
Although diabetes is a critical threat to our health, it can be completely prevented. | |
④ | 토요일로 예정된 집회는 금세기에 가장 큰 정치적 모임이될 것이다. |
The rally scheduled for Saturday will be the largest political gathering in this century. |
정답 & 해설
해석 | 주사위 놀이는 서양인에게 인기있는 게임이었다. 주사위에서 가장 큰 숫자이기 때문에 6이 가장 강한 숫자로 간주된다. 한편, 7은 당신이 2개의 주사위를 동시에 굴릴 때 주사위 게임에서 7을 가질 가능성이 아마도 가장 높기 때문에 행운의 숫자로 간주된다. |
해설 | |
① | such as = ~와 같은, 예를 들어 |
② | themselves는 주어인 people of all ages를 대신하는 재귀대명사이다. show의 의미상 주어는 people of all ages이다. 우리말에는 [여왕하게 존경심을 보여주기 위해]라고 되어 있다. 그런데 영작문에서는 show themselves their respect (그들의 존경심을 그들 자신들에게 보여주다)라고 되어 있다. 이 부분이 우리말과 맞지 않다. 우리말 처럼 되려면 themselves를 삭제하고 그 자리에 the queen을 넣든지 아니면 밑에 수정된 것처럼 해야 한다. show themselves their respect to the queen → show the queen their respect [or show their respect to the queen] |
③ | diabetes(당뇨병)은 불가산명사로 복수형이지만 단수명사이다. |
④ | schedule = [타] 시간 계획을 짜다, 일정을 짜다, ~하기로 되어 있다. [명사 + 동사ed(수동)]가 맞는지는 둘 사이에 be동사를 넣어서 의미가 맞는지 확인해 보면 된다. scheduled에 적용해보면 [The rally (is) scheduled for Saturday (그 집회는 토요일에 예정되어 있다)]가 된다. 이것은 문맥상 의미나 구조가 맞다. |
정답 | ② |
12
it, one
같은 물건이 반복 되면 it 을, 같은 종류의 다른 물건이 반복 되면 one 을 쓴다. |
• | I bought a book but I lost it. |
나는 책을 한 권 샀다. 그러나 나는 그 책을 잃어 버렸다. | |
• | He has a car, and I want one. |
그는 차가 있다. 그리고 나도 차를 원한다. |
기출 1회
15. 기상직 9급
☆☆☆☆☆ 0.5/5
1
다음 중 밑줄 친 one이 어법상 어색한 것은? (15. 기상직 9급) | |
① | My lab coat needs cleaning. I’d like to borrow one this time. |
② | I need to buy a workbook. Would you recommend one? |
③ | My dad has a German dictionary and you can use one. |
④ | I’d like to buy a vacuum cleaner, so would you show me one? |
정답 & 해설
해석 | |
① | 나의 실험실 코트를 세탁할 필요가 있습니다. 나는 이번에 실험실 코트를 빌리고 싶습니다. |
② | 나는 학습서를 사야 한다. 학습서를 추천해 주시겠습니까? |
③ | 나의 아빠는 독일어 사전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당신은 그 독일어 사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④ | 나는 진공 청소기를 사고 싶습니다. 그러니 당신이 저에게 청소기 좀 보여 주시겠습니까? |
해설 | |
① | one은 lab coat를 대신한다. 앞에 언급된 lab coat와 뒤에 언급된 one(=lab coat)는 다른 물건이다. 같은 종류의 다른 물건이면 대명사로 one을 쓴다. |
② | one은 workbook를 대신한다. 앞에 언급된 workbook와 뒤에 언급된 one(=workbook)는 같은 종류의 다른 물건이다. 같은 종류의 다른 물건이면 대명사로 one을 쓴다. |
③ | 앞에서 언급된 물건이 반복될 때 동일 물건이면 대명사로 it을 쓴다. 이 영문에서 one은 German dictionary를 대신한다. 앞에 언급된 German dictionary와 뒤에 언급된 one(=German dictionary)는 하나의 동일 물건이다. 따라서 대명사로 it을 써야 한다. one → it |
④ | one은 vacuum cleaner를 대신한다. 앞에 언급된 vacuum cleaner와 뒤에 언급된 one(=vacuum cleaner)는 다른 물건이다. 같은 종류의 다른 물건이면 대명사로 one을 쓴다. 따라서 이 영문의 one은 올바르다. |
정답 | ③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