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class Grammar

VERB 동사 1

1

2형식 5감동사

 5감동사   다음은   보어 (형용사)  가 온다.
look like / look as if도 가능하다.
 look (보이다)  보어 
 smell (냄새가 나다) 
 taste (맛이 나다) 
 feel (느껴지다) 
 sound (들리다) 
  
  5감동사 다음은 형용사 없이 부사(형용사ly)만 올 수는 없다.
felt nervously. (X)
 나는 긴장을 느꼈다. nervously → nervous
She looks (to be) lovely.
  그녀는 사랑스럽게 보인다. lovely [형] 사랑스런

기출 6회

18. 경찰작 1차

17. 지방직 7급

16. 서울시 7급

15. 경찰작 1차

14. 국회직 9급

13. 국가직 9급

4/5
2

자동사로 혼동하는 타동사

다음은   자동사  로 혼동하기 쉬운   타동사  로   전치사가 이어지면 틀린다  .
 discuss     [타]    논의하다 
 approach     [타]    다가가다 
 resemble     [타]    닮다 
 address     [타]    연설하다 
 accompany     [타]    동행하다 
 obey     [타]    복종하다 
 sustain     [타]    지탱하다 
 nerve     [타]    용기를 주다 
 marry     [타]    결혼하다 
 attend     [타]    참석하다 
 utilize     [타]    이용하다 
 greet     [타]    인사하다 
 company     [명]    회사 
 attend to     [자]    유의하다 
He resembles to his mother. (X)
 그는 엄마를 닮았다. 
 resembles to → resembles

기출 10회

19. 지방직 9급  

19. 교행직 9급

18. 경찰직 1차

17. 지방직 9급

17. 국회직 9급

15. 국회직 9급

14. 국가직 9급    

13. 지방직 7급

12. 국회직 9급

11. 지방직 7급

5/5
3

사역동사

  사역동사  는   타인에게 어떤 일을 시키는 것  을 뜻한다.
 have    
 make +   목적어   + do(능동)   /   done (수동) 
 let      의미상주어목적격보어
 시키다  
  let + 목적어 다음의 수동은 be done이다.
 ↳ 사역동사는 목적격보어로 to do를 쓸 수 없다.
 목적어사람do, 사물done이 흔하다.
 ↳ 사역은 의도하지 않은 일은 “당하다”로 해석한다.
 ↳ 목적어는 do, done의 의미상 주어이다.
 ↳ do는 동사원형, done은 과거분사를 뜻한다. 
He made me to clean the room. (X)
 그는 내게 방을 청소하게 했다. 
 to clean → clean
He made the room clean. (X)
  그는 그 방이 깨끗하게 되도록 했다. 
 clean → cleaned
He made the room cleans. (X)
  그는 그 방이 깨끗하게 되도록 했다. 
 cleans → cleaned

기출 17회

21. 지방직 9급

18. 서울시 9급

18. 법원직 9급

17. 지방직 9급

17. 기상직 9급 

17. 지방직 7급 

16. 법원직 9급 

16. 지방직 7급 

14. 기상직 9급

14. 경찰직 1차

13. 지방직 7급

12. 경찰직 2차

11. 기상직 9급 

11. 지방직 9급

11. 국가직 7급 

11. 지방직 7급

09. 지방직 7급

5/5
4

tell, say

 tell  은   목적어  가    2개    올 수 있고 ,   say  는   목적어  가   2개    올 수 없다  .
 tell a lie          거짓말을 하다  
 tell a joke       농담하다  
 tell a story      이야기 하다 
 tell a secret    비밀을 말하다 
 tell the time    시간을 알리다 
 tell the truth    진실을 말하다 
  ↳ 목적어가 2개였는데 간접목적어인 somebody가 생략된 표현으로 say는 쓸 수 없다.
   
 can tell    구별하다 
 tell    (시간) 알리다 
 say    (시간) 가리키다  ,  쓰여 있다  
Mary said him (that) she was tired. (X)
 메리는 그에게 피곤하다고 말했다. 
 said → told

기출 6회

19. 국가직 9급

19. 서울시 7급  

17. 지방직 7급 

17. 경찰직 여경

11. 사복직 9급 

09. 서울시 9급

2.5/5
5

prevent

 keep   A   from   B 
=  prevent 
=  deter 
=  prohibit 
=  stop  
=  hinder 
A가 B하는 것을 막다
The snow prevented us to go out. (X)
눈이 우리의 외출을 막았다. 
to go → from going
The rain kept us going out. (X)
  비로인해 우리는 외출하지 못했다. 
  going → from going

기출 12회

21. 국가직 9급

20. 국가직 9급

18. 경찰직 3차

17. 지방직 9급

15. 사복직 9급

13. 국가직 7급

13. 국회직 9급

11. 국회직 9급

11. 지방직 7급

10. 국회직 9급

09. 국가직 9급

08. 지방직 9급

4/5
6

It takes ~

 It takes   +  (목) + 시간 + to do 
 시간 + (for 목) + to do 
  ~하는데 ~의 시간이 걸리다
It takes some time being used to. (X)
 적응에 조금의 시간이 걸린다. 
 being → to be
Time takes little to tune in on his style. (X)
 Time takes little → It takes little time
It took him two hours to finish his work.
 그가 일을 끝내는 데 2시간이 걸렸다.

기출 6회

17. 지방직 9급

16. 국회직 9급

16. 국가직 9급

16. 국가직 7급

16. 경찰직 1차

08. 지방직 7급

3/5
7

affect, effect

 affect    영향을 미치다 (have an effect on) 
 effect    (결과를) 초래하다 
This will affect on business. (X)
 이것은 사업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affect on → affect
Drinking effects people’s health. (X)
 음주는 사람들의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 
 effects → affects

기출 4회

19. 경찰직 3차

18. 서울시 9급

13. 국가직 7급

12. 경찰직 3차

3/5
8

지각동사

 notice  알아채다 + 목 +
 hear  듣다
 see  보다
 observe  관찰하다  to do    (X)
 perceive  감지하다  do       (능동)
 listen to  경청하다  doing  (능동)
 look at  보다  done   (수동)
 behold  보다
 watch  지켜보다
 feel  느끼다
  목 = 목적어  
  목적어가   사람  이면   do(ing)  사물  이면   done  이 흔하다.  
  ↳ 목적어가 do/done의 의미상주어이다.
I saw the play performing. (X)
 나는 그 연극이 공연되는 것을 보았다. performing → performed
I heard the man talk about me.
 나는 그 사람이 나에 관해 이야기 하는 것을 들었다.

기출 7회

21. 지방직 9급

19. 지방직 7급

18. 지방직 9급

14. 지방직 9급

13. 국가직 9급

12. 경찰직 2차

11. 서울시 9급

4/5
9

result

 result in    결국 ~이 되다 
=  end in 
=  lead to 
 
 result from    ~에서 비롯되다   
=  come from 
=  stem from 
Carelessness results from accidents. (X)
 부주의는 결국 사고가 된다.
 results from → results in
Carelessness is resulted in accidents. (X)
 부주의는 결국 사고가 된다.
 is resulted in → results in

기출 2회

18. 국가직 9급

14. 지방직 7급

1.5/5
10

leave, start

 start from    (출발지)를 출발하다 
=  leave 
 
 start for    (목적지)를 향해 출발하다 
=  leave for 
Lions must leave from their habitat. (X)
  사자들은 서식지를 떠나야 한다. 
 leave from → leave
We are leaving for Rome next week.
 우리는 다음 주에 로마를 향해 출발한다.

 

기출 2회

12. 지방직 9급

09. 국가직 9급

1/5
11

borrow, lend

 borrow   (3형식)    ~를 빌려주다 
 lend   (4형식)    ~를 빌려주다 
 loan   (4형식)    ~를 빌려주다 
Can you borrow me ten dollars? (X)
 내게 10달러를 빌려 줄 수 있니?
 borrow → lend

 

기출 2회

15. 사복직 9급

14. 국회직 9급

1/5
12

dispense

 do  +  without   ~없이 지내다 
=  go  +  without 
=  manage  +  without 
=  dispense  +  with 
We can’t dispense without water. (X)
 우리는 물 없이 지낼 수 없다. 
 without → with

 

기출 2회

11. 서울시 9급

09. 국가직 7급

1.5/5
13

provide

  provide   
= furnish  + 사람     with     사물
= supply   
    
= provide   
= furnish   + 사물    to/ for   사람
= supply    
 ~에게 ~를 공급하다
He provided food with Tom. (X)
그는 톰에게 음식을 공급했다.
provided food with Tom → provided Tom with food

기출 3회

17. 서울시 9급

18. 경찰직 3차

16. 경찰직 2차

1/5
14

자동사구

 wait for   기다리다 (await
 insist on   주장하다 
 go through   조사하다 
 graduate from   졸업하다 
 differ from   다르다 (be different from) 
 experiment with   실험하다 
 operate on   수술하다 
 complain of   불평하다 
Death awaits for us all. (X)
 죽음은 우리 모두를 기다린다. 
 awaits for → waits for
I insisted to run my business. (X)
 나는 사업을 운영하겠다고 했다. 
 insisted to run → insisted on running

기출 9회

19. 서울시 7급

17. 국회직 9급

16. 국가직 7급

13. 국가직 9급

13. 지방직 9급

13. 국가직 9급

13. 서울시 9급

11. 지방직 9급

11. 국가직 9급

4/5
15

3형식 동사

 3형식 동사  는   목적어   다음에   사람  이 오려면   to 사람  의 형태로   목적어(사물)    다음  이나   명사절(=접속사/의문사 S + V)    앞  에 둔다.
 suggest 
 explain 
 introduce 
 announce  +   목적어    +   to 사람 
 confess    to 사람   +   명사절 
 describe 
 propose 
 prove 
He explained me the matter. (X)
 그는 내게 그 문제를 설명했다.
  me the matter → the matter to me
I explained her how I got here. (X)
 내가 어떻게 여기 왔는지 그녀에게 설명했다.
  her how ~ → to her how ~
I suggested him to apply for the job. (X)
  나는 그가 그 일에 지원할 것을 제안했다. 
  5형식 문장이므로 잘못이다.

기출 5회

19. 서울시 7급

18. 경찰직 1차

17. 국회직 9급

16. 국가직 7급

07. 국가직 9급

2.5/5
16

accuse, attribute

 accuse  A  of   B  ~의 죄로 고발하다 
 attribute  A  to   B  ~의 탓으로 돌리다 
She accused him of stealing her car.
 그녀는 그를 그녀의 차를 훔친 죄로 고발했다.  
He attributes his success for hard work. (X)
 그는 성공을 근면의 탓으로 돌렸다. for → to

기출 2회

19. 서울시 9급

17. 경찰직 1차

0.5/5
17

arrive

 reach   도착하다 
=  arrive at/ in 
=  get to 
 
 arrive home   집에 도착하다 
=  get home 
He reached to London. (X)
 그는 런던에 도착했다. 
 reached to → reached

기출 1회

19. 국가직 9급

0.5/5
18

convince

 convince   +   사람   +   that / of 
~에게 ~를 확신시키다
I convince that I was innocent. (X)
나는 그에게 내가 무죄임을 확신시켰다.
convinced → convinced me

기출 1회

18. 서울시 9급

0.5/5
19

help

 help  +  목  +  (to) do 
 help  +  (to) do 
  (~가) ~하는 것을 돕다
I helped her finding her things. (X)
 나는 그녀가 그녀의 물건을 찾는 것을 도왔다.
 finding → (to) find

기출 1회

16. 국가직 9급

1.5/5
20

hold

 hold   (능동) ~를 개최하다 
 be held   (수동) ~가 개최되다 
The meeting will hold tomorrow. (X)
 그 모임은 내일 개최될 것이다.
 hold → be held

기출 1회

10. 지방직 9급

2/5
21

ask

 ask  A  for   B  A에게 B를 부탁하다 
 ask  A  to do  B  A에게 B를 해 달라고 부탁하다 
I asked him about 10 dollars. (X)
 나는 그에게 10달러를 부탁했다.
 about → for

기출 1회

17. 서울시 9급

0.5/5
22

to do와 목적격 보어

 미래  에   이루어지길 바라는 동사  는   목적격보어  로   to 부정사  를 취한다.
 cause       목적어   +   to do      
 allow 
 urge 
 enable 
 permit 
 forbid 
 advise 
 encourage 
 require 
 compel 
 expect 
He expects them like him. (X)
 그는 그들이 그를 좋아하기를 바란다.
 like → to like. 

기출 2회

19. 국회직 9급

12. 지방직 9급

1/5
23

adapt , adopt

 adapt    적응하다    맞추다 
 adopt    채택하다    입양하다 
  ※ ad + opt (고르다) ※ option (선택권) 
We need to adapt ourselves to the new circumatnace.
우리는 새로운 환경에 적응할 필요가 있다.
We decided to adopt Mary.
  우리는 메리를 입양하기로 결정했다.

기출 2회

20. 국가직 9급

18. 경찰직 1차

1/5
24

형식전환

4형식에서 전치사 + 간접목적어(사람)를 직접목적어(사물) 다음에 둘 수 있다.

 give  
 
 사물   +   to  사람  
 
 
 owe 
 write 
 pay 
 offer 
 serve 
 tell 
 send 
 주어는 사물을 사람에게 1단계에서 전달된다. 
  
 buy  사물   +   for 사람 
 make 
 build 
 cut 
 cook 
 choose 
 find 
 fix 
 주어는 사물을 사람에게 2단계를 걸쳐야 전달된다.  
  
 ask  사물   +   of 사람 
 inquire 
 require 
 request 
 demand 
 beg 
 주어는 사물을 사람으로부터 역으로 요구하게 된다. 
She required all in him. (X)
 그녀는 그에게 모든 것을 질문했다. in → of

기출 1회

13. 지방직 7급

0.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