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class
Grammar
PARTICIPLE 분사
분사의 특징
분사 는 동사의 성질 을 갖고 형용사 역할 을 한다. |
• | 현재분사 : | 동사원형+ing |
• | 과거분사 : | 동사원형+ed |
※ 분사에 쓰인 현재, 과거는 시제와 관계 없으며, 현재, 과거, 미래에 모두 쓰인다. |
• | Barking ![]() |
짖는 개는 물지 않는다. | |
※ Barking은 명사인 dogs를 수식하는 형용사 역할을 한다. |
• | He is a soldier ![]() | |
그는 전쟁에서 부상당한 병사이다. | ||
※ wounded는 soldier를 수식하는 형용사 역할을 한다. |
기출 4회
11. 국가직 9급
현재분사
동사ing 는 능동 이며 동사ing 로 부터 수식받는 명사 가 의미상 주어 이다. |
동사ing (능동) ![]() | 명사 | ||||
의미상주어 |
명사 | ![]() |
|||||
의미상주어 | ||||||
동사ing + 명사, 명사 + 동사ing는 [명사 + (be) + 동사ing]로 바꿔서 판단한다. |
• | The sleeping ![]() | ||||
자고 있는 그 아기는 내 딸이다. | |||||
sleeping은 능동이며 baby가 sleeping의 의미상 주어이다. |
• | The boy ![]() | ||||
축구하는 그 소년은 내 아들이다. | |||||
playing은 능동이며 boy는 playing의 의미상 주어이자 is의 주어이다. |
기출 22회
19. 기상직 9급
19. 국회직 9급
19. 서울시 7급
18. 지방직 9급
18. 법원직 9급
18. 기상직 9급
18. 국회직 9급
17. 서울시 9급
17. 국회직 9급
16. 사복직 9급
16. 지방직 7급
16. 서울시 7급
15. 국가직 9급
15. 교행직 9급
14. 법원직 9급
12. 국회직 9급
12. 기상직 9급
12. 지방직 7급
15. 경찰직 3차
12. 경찰직 3차
12. 경찰직 2차
19. 소방직 1차
과거분사
동사ed (p.p.) 는 수동 이며 동사ed 로 부터 수식받는 명사 가 의미상 주어 이다. |
동사ed (수동) ![]() |
명사 | ||||
의미상주어 |
명사 | ![]() |
|||||
의미상주어 | ||||||
동사ed + 명사, 명사 + 동사ed는 [명사 + (be) + 동사ed]로 바꿔서 판단한다. |
• | The wounded ![]() |
||||
부상당한 소년은 중태였다. | |||||
wounded boy = The boy (be) wounded (부상당한 소년) | |||||
boy가 wounded의 의미상 주어이자 was의 주어이다. | |||||
• | The book ![]() |
||||
영어로 쓰인 그 책은 그녀의 것이다. | |||||
The book (be) written in English (영어로 쓰여진 책) | |||||
book은 written의 의미상 주어이자 is의 주어이다. |
기출 21회
18. 지방직 9급
18. 국가직 9급
18. 서울시 9급
18. 교행직 9급
18. 기상직 9급
17. 서울시 9급
17. 국회직 9급
17. 국가직 9급
17. 국가직 7급
17. 서울시 7급
16. 법원직 9급
16. 기상직 9급
15. 서울시 9급
15. 교행직 9급
15. 기상직 9급
14. 국가직 9급
13. 국가직 9급
13. 서울시 9급
19. 경찰직 1차
15. 경찰직 3차
13. 경찰직 1차
missing
없어진, 실종된 뜻은 missing 이며 missed 는 잘못 이다. |
없어진, 실종된 | missing | (O) |
missed | (X) |
• | We found the missed child. (X) |
우리는 그 실종된 아이를 찾았다. | |
missed → missing | |
• | The boy is missed. (X) |
그 소년은 실종이 되었다. missed → missing |
기출 5회
19. 경찰직 1차
17. 국회직 9급
15. 경찰직 3차
13. 경찰직 2차
07. 국회직 8급
주격보어와 분사
주어 | + | 동사 | + | 동사ing | (능동) |
동사ed | (수동) | ||||
문장의주어 | 보어 | ||||
의미상주어 | |||||
문장의 주어가 동사ing, 동사ed의 의미상 주어이다. |
• | He sat singing merrily. | |||
그는 즐겁게 노래 부르며 앉아 있었다. | ||||
singing은 능동으로 He가 singing의 의미상 주어이다. | ||||
• | He stood astonished at the sight. | |||
그는 그 장면에 놀라서 서 있었다. | ||||
astonished는 수동으로 He가 astonished의 의미상 주어이다. |
기출 19회
21. 국가직 9급
20. 지방직 9급
20. 지방직 7급
19. 국가직 9급
19. 지방직 9급
19. 교행직 9급
19. 소방직 1차
18. 교행직 9급
18. 법원직 9급
18. 국회직 9급
18. 경찰직 3차
18. 경찰직 1차
17. 경찰직 1차
17. 지방직 9급
17. 기상직 9급
17. 지방직 7급
15. 국가직 9급
11. 기상직 9급
11. 지방직 9급
목적격보어와 분사
주어 | + | 동사 | + | 목 | + | 동사ing | (능동) |
동사ed | (수동) | ||||||
의미상주어 | 목적격보어 | ||||||
※ 목 = 목적어 | |||||||
※ 목적어가 동사ing, 동사ed의 의미상 주어이다. | |||||||
[목적어(의미상주어) + (be) + 동사ing/ 동사ed]로 바꿔서 판단한다. |
• | I can’t have you coming home late. | |||
나는 네가 늦게 집에 오는 것을 내버려 둘 수 없다. | ||||
coming은 능동이며 you는 coming의 의미상 주어이다. | ||||
you (are) coming home late (네가 늦게 집에 오다) |
• | I had my watch mended. | |||
나는 나의 시계가 고쳐지게 했다. | ||||
mended는 수동이며 my watch는 mended의 의미상 주어이다. | ||||
my watch (was) mended (나의 시계가 수리되었다) |
기출 6회
17. 지방직 9급
17. 경찰직 2차
16. 국회직 9급
15. 국가직 9급
14. 기상직 9급
12. 법원직 9급
분사구문
콤마 에 의해 주절에서 분리 되어 있는 분사 를 분사구문 이라 한다. |
동사ing (능동) + ~ | , | 주어 + 동사 | ||
동사ed (수동) + ~ | , | 주어 + 동사 | ||
분사구문 | 주절 |
• | Seeing the policeman , he ran away. |
경찰을 보자, 그는 달아났다. | |
Seeing ~은 분사구문이며, Seeing은 능동이다. | |
• | Wounded in the legs , he can’t walk. |
다리에 부상을 입어서, 그는 걸을 수 없다. | |
Wounded ~는 분사구문이며, Wounded는 수동이다. |
기출 10회
19. 국가직 9급
18. 교행직 9급
18. 법원직 9급
18. 소방직 공채
17. 국회직 9급
13. 서울시 9급
13. 지방직 7급
10. 국회직 8급
09. 국회직 8급
07. 법원직 9급
분사구문의 위치
분사 구문의 위치 는 문장의 첫머리 , 중간 , 끝부분 이다. |
• | Playing the piano , the girl did not know. |
피아노를 치고 있었기 때문에, 그 소녀는 알지 못했다. | |
• | The bus, starting at five , arrives in Paris at ten. |
버스는 5시에 출발해서 10시에 파리에 도착한다. | |
• | He entered the room, switching on the light . |
그는 방에 들어가서 불을 켰다. |
기출 8회
19. 국회직 9급
18. 법원직 9급
17. 교행직 9급
17. 국회직 9급
16. 국가직 7급
15. 국가직 7급
08. 국회직 8급
07. 국회직 8급
분사구문의 의미상 주어
• | 분사 앞 에 명사 가 없다면 문장의 주어 가 의미상 주어 이다. |
• | 분사 앞 에 명사 가 있다면 명사 가 의미상 주어 이다. |
• | Opening the window, Tom looked out. | |||
창문을 열고 톰은 밖을 내다봤다. | ||||
Tom은 looked의 주어이자 opening의 의미상주어이다. | ||||
• | The weather being fine, We were happy. | |||
날씨가 좋아서 우리는 행복했다. | ||||
the weather이 being의 의미상 주어이다. |
기출 10회
19. 국가직 9급
19. 국회직 9급
19. 경찰직 1차
18. 경찰직 2차
18. 지방직 9급
15. 국가직 9급
11. 서울시 9급
11. 사복직 9급
08. 지방직 7급
07. 국회직 8급
접속사 + 분사
분사구문의 뜻을 명확히 하려고 분사 앞 에 접속사 를 둘 수 있다 . |
• | 시간 | when | + 동사ing / 동사ed |
while | |||
• | 조건 | unless | |
if | |||
• | 양보 | though | |
• | 양태 | as if | |
접속사 | + 분사 |
• | Unless wounding , he could catch me. (X) |
부상당하지 않았다면, 그는 나를 잡았을 텐데. | |
unless은 접속사이다. wounding → wounded | |
wounding의 의미상주어는 he이며 둘은 의미상 수동이다. |
기출 4회
17. 국회직 9급
14. 국가직 9급
11. 지방직 9급
09. 지방직 7급
with + 부대상황
with + 부대상황 이란 어떤 동작/ 상태 에 또 다른 동작/ 상태 가 부가된 것 이다. with는 두 동작이나 상태가 동시동작이나 연속동작을 나타내게 한다. |
with + 명사 + | 동사ing | (능동) |
동사ed | (수동) | |
↳ with = ~와 함께, ~ 한 채, ~ 하면서 | ||
↳ 명사가 동사ing, 동사ed의 의미상 주어이다. |
• | with one’s boots (being) on/off | |
부츠를 신은 채 / 벗은 채 | ||
• | with the door (being) open | |
문을 연채 | ||
• | with one’s eyes (being) open | |
눈을 뜬 채 | ||
• | with one’s head (being) against a cushion | |
머리를 방석에 기댄 채 | ||
※ being을 생략하고 쓰는 표현들이다. |
• | He walked on, with his dog running beside him. |
그는 계속 걸었고, 그의 개는 옆에서 달리고 있었다. | |
• | He sat there, with his legs crossed. |
그의 다리가 포개어진 채, 그는 그곳에 앉아 있었다. |
기출 5회
18. 지방직 7급
18. 경찰직 3차
17 기상직 9급
16. 서울시 7급
15. 지방직 7급
with + 신체부분 + 분사
신체부분 이 뇌의 명령을 받아 움직이면 수동 이 되어 과거분사 가 온다. 이때 신체부분 은 의미상 주어 가 된다. 하지만 눈물이나 심장처럼 능동 으로 표현되는 것들도 있다. |
• | with one’s heart beating | |
심장이 두근거리면서 | ||
• | with one’s legs crossed | |
다리가 포개어진 채 | ||
• | with one’s eyes shut | |
눈이 감겨진 채 | ||
• | with one’s arms folded | |
팔짱을 낀 채 | ||
• | with tears streaming | |
눈물이 흘러내리면서 |
• | I walked on the stage, with my heart beating. |
나는 두근거리는 마음으로 무대로 걸어갔다. |
기출 1회
11. 지방직 7급
분사형 전치사 / 접속사
분사구문 의 의미상 주어 가 일반인인 we, you, they 일 때, 이것을 생략하고 분사 를 접속사 나 전치사 처럼 쓰는 것을 분사형 접속사, 분사형 전치사 라 한다. |
• | considering | ~을 고려하면 |
• | assuming | ~라 한다면 |
• | granting / granted | ~라 할지라도 |
• | including | ~을 포함하여 |
• | concerning /regarding | ~에 관해 |
• | excepting /excluding | ~제외하고 |
• | following | ~한 후 |
• | given | ~을 고려할 때 |
• | He has many books, considered he’s young. (X) |
어리다는 점을 고려하면, 그는 책이 많다. | |
he is young은 목적절이므로 능동인 considering이 옳다. | |
considered → considering |
기출 2회
18. 교행직 9급
11. 국가직 9급
나이를 고려해 볼때
compared with one’s age | |
= | considering one’s age |
= | for one’s age |
= | taking one’s age into consideration |
나이를 고려해 볼 때 |
• | Comparing with his age, he is clever. (X) |
나이를 고려할 때, 그는 총명하다. | |
comparing은 [타동사+ing]이므로 다음에 목적어가 없어 틀렸다. | |
comparing → compared |
기출 1회
17. 국회직 9급
주요어구
• | a drowning man | 물에 빠져 있는 자 |
• | a drowned man | 물에 빠져 죽은 자 |
• | developing country | 개도국 |
• | developed country | 선진국 |
• | A drowned man will catch at a straw. (X) |
물에 빠진 사람은 지푸라기라도 잡는다. | |
drowned → drowning |
기출 1회
17. 국회직 8급
밑에 이론들은 시험에서 올바른 문장으로 기출되었다.
시제
시제 는 단순시제 인 동사ing 와 완료시제 인 having p.p. 가 있다. |
• | 단순시제 | 동사 + ing , S + 동사 |
• | 완료시제 | having p.p. , S + 동사 |
※ 동사ing는 주절 동사와 같은 때에 일어난 일을 나타낸다. | ||
※ having + p.p.는 주절 동사 보다 이전에 일어난 일을 나타낸다. |
• | Being idle, he is poor. |
게으르기 때문에 그는 가난하다. | |
being과 is는 같은 시간에 일어난 일이다. | |
• | Having been idle, he is poor. |
게을렀기 때문에 그는 가난하다. | |
is보다 having been이 먼저 있었던 일이다. |
기출 1회
17. 국회직 9급
분사의 부정
분사의 부정 은 not , never 를 동사ing 앞 에 둔다. |
not / never + 동사ing |
• | Not having met him before, I don’t know him. |
전에 만난 적이 없었기 때문에, 나는 그를 모른다. |
기출 1회
17. 국회직 9급
관용적 표현
• | speaking of | ~에 대해 말하면 |
• | judging from | ~로 판단하건대 |
• | talking of | ~말인데 |
• | Judging from his appearance, he must be a Korean. |
외모로 판단 하건대 그는 한국사람임에 틀림없다. |
기출 1회
17. 국회직 9급
문제 공개후 기출된 적 없는 이론들
자동사 + ed
자동사+ed 는 동작의 완료 를 나타내며 have + 자동사ed 에서 have 가 없어진 것이다. |
• | The leaves ![]() |
운동장에 떨어진 잎들은 젖어 있었다. |
기출 0회
명사 + ed
명사+ed 를 의사분사라 하며 소유 (~를 가진) 를 뜻하는 형용사 이다. |
• | a warm-hearted lady | |
따뜻한 마음을 가진 숙녀 | ||
• | a talented man | |
재능을 가진 사람 |
• | A reptile is a cold-blooded animal. |
파충류는 냉혈동물이다. |
기출 0회
분사의 강조
현재분사 다음은 as + S + do 를, 과거분사 다음은 as + S + be 를 두고 “사실” 로 해석한다. do와 be는 주절의 인칭과 시제에 맞춘다. |
• | 동사ing ~ | as + 주어 + do |
• | 동사ed ~ | as + 주어 + be |
분사의 강조어 |
• | Standing as it does on a hill, the house commands a fine view. |
사실 언던 위에 있어서 그 집은 전망이 좋다. | |
• | Written as it is in easy English, the book is fit for beginners. |
쉬운 영어로 쓰여서 그 책은 초보자에게 적합하다. |
기출 0회
부사 + 분사
• | biologically | speaking | 생물학적으로 말해서 |
• | strictly | speaking | 엄격히 말해서 |
• | frankly | speaking | 솔직히 말해서 |
• | generally | speaking | 일반적으로 말해서 |
• | roughly | speaking | 대강 말해서 |
• | Strictly speaking, he is a poet. |
엄격히 말해서, 그는 시인이다. |
기출 0회
분사의 생략
분사구문 에서 Being , Having been 은 생략할 수 있다 . |
• | (Being) A soldier, he isn’t afraid of anything. |
군인이므로, 그는 두려워하지 않는다. | |
• | (Having been) Written in haste, the book has many mistakes. |
서둘러 쓰여져서, 그 책은 많은 오류가 있다. |
기출 0회
분사로 전환
2 [3]형식 및 수동태를 분사구로 전환하는 형식이다. |
• | S + V + 형용사 | |
→ | 형용사 – Ving + S | |
• | S + V + 목적어 | |
→ | 목적어 – Ving + S | |
• | S + be + 부사 + p.p. | |
→ | 부사 – p.p. + S | |
• | S + be + p.p. + by 명사 | |
→ | 명사 – p.p. + S |
• | The girl looks nice. → the nice-looking girl |
매력적으로 보이는 소녀 (형용사-Ving + S) | |
• | The girl plays the piano. → the piano-playing girl |
피아노 치는 소녀 (목적어-Ving + S) | |
• | The church was newly built. → the newly-built church |
새로 건축된 교회 (부사-p.p. + S) | |
• | The fish are dried by the sun. → the sun-dried fish |
햇볕에 건조된 물고기 (명사-p.p. + 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