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class
Grammar
INFINITIVE 부정사
1
be to
이제부터 앞으로 일어날 일 은 be to do 를 써야 하며 be to ~ing 를 쓸 수 없다 . |
• | The meeting is to being held tomorrow. (X) |
그 모임은 내일 열릴 예정이다. being → be |
기출 4회
20. 지방직 7급
17. 경찰직 2차
13. 국가직 7급
11. 국회직 9급
☆☆☆☆☆ 1/5
2
타동사 + to do
부정사 는 앞으로 일어날 일 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제부터 어떤 행동을 취하거나 또는 어떤 상태로 되어야 겠다는 의지나 감정 의 동사들은 부정사 를 목적어로 취한다. |
• | 동의하다 | agree | + to do |
consent | |||
assent | |||
• | 결심하다 | choose | |
decide | |||
determine | |||
resolve | |||
• | 맹세하다 | pledge | |
swear | |||
• | 약속하다 | promise | |
• | 기대하다 | expect | |
hope | |||
want | |||
wish | |||
long | |||
desire | |||
• | 계획하다 | plan | |
• | 준비하다 | prepare | |
• | 거절하다 | refuse | |
• | 제시하다 | offer | |
• | 요구하다 | request | |
demand | |||
• | 가장하다 | pretend | |
• | 시도하다 | seek | |
• | 작정하다 | mean |
• | We agreed that day temporarily stop smoking. (X) |
우리는 그날 임시로 금년하기로 했다. | |
stop → to stop |
기출 1회
14. 지방직 7급
☆☆☆☆☆ 1/5
3
목적
to do | ~하기 위하여 | |
= | so as to do | |
= | in order to do | |
= | that ~ may | |
= | so that ~ may | |
= | in order that ~ may | |
※ may 대신에 can, will이 올 수 있다. |
• | He came that he might help me. |
그는 나를 돕기 위하여 왔다. | |
• | He came to help me. |
그는 나를 돕기 위하여 왔다. |
기출 5회
16. 지방직 7급
13. 지방직 9급
14. 국가직 7급
11. 지방직 9급
10. 경찰직 1차
☆☆☆☆☆ 2/5
4
시제
시제 는 단순시제 와 완료시제 가 있다. 술어동사 가 소망, 기대, 예정 등 미래 와 관련되면 to do 는 술어동사보다 미래 의 일을 나타낸다. |
• | 단순시제 | S + 동사 + to do |
• | 완료시제 | S + 동사 + to have p.p. |
※ to do는 동사와 같은 때나 미래를 나타낸다. | ||
※ to have + p.p.는 동사 보다 이전을 나타낸다. |
• | He seems to be ill. |
그는 아픈 것 같다. | |
seems가 현재이므로 be는 현재이다. | |
• | He seemed to be ill. |
그는 아팠는 것 같았다. | |
seemed가 과거이므로 be는 과거이다. | |
• | He seems to have been ill. |
그는 아팠는 것 같다. | |
have been은 seems 이전을 나타낸다. | |
• | He seemed to have been ill. |
그는 아팠었던 것 같았다. | |
have been은 seemed 이전을 나타낸다. |
기출 1회
17. 경찰직 2차
☆☆☆☆☆ 1/5
5
lest ~ should
lest ~ (should) | ~하지 않도록 | |
= | for fear ~ should | |
= | for fear of | |
= | so as not to do | |
= | in order not to do |
lest ~ (should), for fear ~ should는 자체가 부정이므로 not이 올 수 없다. |
• | I ran away lest I should not be caught. (X) |
나는 잡히지 않기 위해 달아났다. | |
not be → be | |
• | I’ll miss the bus lest I should run. (X) |
나는 뛰지 않으면 버스를 놓칠 것이다. | |
lest should → unless | |
• | He fled so as not being killed. (X) |
그는 살해당하지 않도록 달아났다. | |
being → to be |
기출 7회
19. 지방직 9급
19. 교행직 9급
19. 지방직 7급
14. 국가직 7급
13. 국가직 7급
08. 국가직 7급
08. 지방직 7급
☆☆☆☆☆ 3/5
6
so ~ that
so + 형 | + | (a + 명) | + that ~ | |
= | such a | + | 형 + 명 | + that ~ |
= | so + 형 | + | (a + 명) | + as to |
= | 형/부 + enough | + | (for + 목) | + to do |
매우 ~해서 ~하다 | ||||
※ 형= 형용사, 명= 명사, 부= 부사, 목= 목적어 | ||||
※ 괄호 ( )안에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
• | He was such kind that he helped me. (X) |
그는 매우 친절해서 나를 도와 줬다. | |
such → so | |
• | My son is not old enough to go to school. |
내 아들은 학교갈 나이가 안 됐다. |
기출 12회
21. 지방직 9급
20. 지방직 7급
17. 지방직 9급
17. 서울시 9급
14. 지방직 9급
14. 국가직 7급
13. 지방직 9급
13. 국가직 9급
12. 지방직 9급
12. 국회직 9급
11. 국가직 7급
09. 국회직 9급
☆☆☆☆☆ 5/5
7
so ~ that ~ not
so + 형 | + | (a + 명) | + that ~ not | |
= | too + 형 | + | (a + 명) | + to do |
너무 ~해서 ~할 수 없다 | ||||
※ to do 앞에 의미상 주어인 for + 목적어가 올 수 있다. | ||||
※ 형= 형용사, 명= 명사 | ||||
※ 괄호 ( )안에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
do의 목적어로 문장의 주어인 it, them과 something, nothing은 올 수 없다. |
• | This stone is so heavy that I cannot lift it. |
이 돌은 너무 무거워서 나는 들어 올릴 수 없다. | |
• | This stone is too heavy for me to lift it. (X) |
이 돌은 너무 무거워서 나는 들어 올릴 수 없다. | |
to lift it → to lift | |
• | This stone is so heavy for me to lift it. (X) |
이 돌은 너무 무거워서 나는 들어 올릴 수 없다. | |
so ~ to lift it → too ~ to lift |
기출 7회
17. 지방직 9급
17. 국가직 9급
16. 국가직 7급
14. 지방직 7급
14. 국가직 7급
14. 경찰직 1차
11. 국가직 9급
☆☆☆☆☆ 5/5
8
not so ~ that ~ not
not + so ~ that ~ not | |
= | not + so ~ but |
= | not + too ~ to do |
너무 ~해서 ~할 수 없을 정도는 아니다 | |
※ but = that ~ not, so를 대신해서 such를 쓸 수 있다. |
so ~ that ~ not과 too ~ to를 해석해서 부정하는 형식이다. |
• | He is not so young but he can’t do it. (X) |
그가 너무 어려서 그것을 하지 못할 정도는 아니다. | |
can’t → can | |
• | He is not too young to do it. |
그가 너무 어려서 그것을 하지 못할 정도는 아니다. |
기출 2회
13. 지방직 7급
07. 국가직 7급
☆☆☆☆☆ 1/5
9
동사 + 동사원형
• | make | + believe | ~인 체하다 |
• | let | + go of | ~를 놓다 |
• | make | + do with | ~로 임시변통하다 |
• | He made it believe to sleep. (X) |
그는 자는 체했다. | |
made believe가 와야 문맥상 의미가 맞다. | |
made it believe → made believe |
기출 2회
18. 지방직 9급
18. 서울시 9급
☆☆☆☆☆ 1/5
밑에 이론들은 시험에서 올바른 문장으로 기출되었다.
10
의미상 주어
부정사의 의미상주어 의 형태는 for + 목적어 이며 to do 바로 앞에 온다. |
• | We hid ourselves for Tom not to see us. |
우리는 톰이 우리를 볼 수 없도록 숨었다. |
기출 1회
09. 지방직 9급
☆☆☆☆☆ 0.5/5
11
such that
so that 절 = so great [bad] that 절 |
※ such가 so great인지 so bad인지는 문맥상 의미로 판단한다. |
• | His astonishment was such that he nearly fainted. |
그의 놀라움은 너무 커서 거의 실신할 정도였다. |
기출 1회
09. 지방직 9급
☆☆☆☆☆ 0.5/5
12
부정사 부정
부정사 를 부정 할 때는 not + to do 처럼 not 을 부정사 앞 에 둔다. |
• | Try not to be late. |
늦지 않도록 해라. |
기출 1회
19. 경찰직 1차
☆☆☆☆☆ 0.5/5
13
부정사의 결과 용법
• | only | + to do | 결국 ~하다 |
• | live | + to do | 살아서 ~하다 |
• | awake | + to do | 깨어나서 ~하다 |
• | grow up | + to do | 성장하여 ~이 되다 |
• | never | + to do | 결국 ~하지 못하다 |
• | in vain | + to do | 결국 ~이 헛되다 |
• | vainly | + to do | 결국 ~이 헛되다 |
• | He tried hard only to fail. |
그는 열심히 노력했지만 결국 실패했다. |
기출 2회
20. 지방직 7급
12. 국회직 9급
☆☆☆☆☆ 0.5/5
14
독립부정사
문장으로 부터 독립 하여 문장 전체를 수식 하는 것을 독립부정사 라 한다. |
• | needless to say | 말할 필요도 없이 |
• | to tell the truth | 사실을 말하면 |
• | so to speak | 말하자면 |
• | to be sure | 확실히 |
• | to do one’s best | 최선을 다 했어도 |
• | to say the least (of it) | 줄잡아 말하더라도 |
• | to be frank with you | 솔직히 말하면 |
• | to begin with | 우선 |
to make matters worse (설상가상) | ||
to make a long story short (간단히 말하면) |
• | To tell the truth, I don’t like her. |
솔직히 말해서, 나는 그녀를 좋아하지 않는다. |
기출 2회
21. 지방직 9급
17. 지방직 9급
☆☆☆☆☆ 0.5/5
15
too ~ to의 긍정의미
• | only too + glad + to do |
몹시 ~할 따름이다 | |
• | too + apt + to do |
= | too + inclined + to do |
= | too + liable + to do |
= | too + likely + to do |
= | too + ready + to do |
걸핏하면 ~하다 | |
• | too + eager + to do |
= | too + anxious + to do |
너무나 ~하기를 갈망하다 |
• | I am only too glad to accept it. |
나는 기꺼이 그것을 받아들일 따름이다. |
기출 1회
08. 지방직 7급
☆☆☆☆☆ 0.5/5
문제 공개후 기출된 적 없는 이론들
16
잘못된 시제
시제의 원리에 따라 had + p.p. 다음 에 to have + p.p. 를 쓸 수 없다 . |
• | I had hoped to have succeeded. (X) |
나는 성공하길 희망했었다. |
기출 0회
☆☆☆☆☆ 0/5
17
과거 이루지 못한 소망
had + p.p. | + that 절 | |
= | had + p.p. | + to do |
= | 과거동사 | + to have p.p. |
※ | 소망동사(hope, intend,..)가 과거완료와 결합해서 과거 이루지 못한 소망을 나타내는 형식이다. |
• | I had hoped that I would succeed. |
나는 성공하기를 바랐었다. | |
• | I had hoped to succeed. |
나는 성공하기를 바랐었다. | |
• | I hoped to have succeeded. |
나는 성공하기를 바랐었다. |
기출 0회
☆☆☆☆☆ 0/5
18
대부정사
동사 이하가 to 다음 에서 반복 되면 to만 쓰고 나머지는 생략한다. |
• | I considered marrying her, but decided not to. |
나는 그녀와 결혼을 고려했지만 않기로 결심했다. | |
to 다음에 marry her이 생략되었다. | |
• | A person who wants to can find a way. |
길을 찾고자 하는 사람은 찾을 수 있다. | |
to 다음에 find a way가 생략되었다. |
기출 0회
☆☆☆☆☆ 0/5
19
be + 동사원형
• | What ↖︎ S + V ~ do + be (to) do | |
• | All ↖︎ S + V ~ do + be (to) do | |
• | The only thing ↖︎ S + V ~ do + be (to) do | |
• | The best ↖︎ S + V ~ do + be (to) do | |
※ | what, all, the only thing, the best가 do로 끝나는 절의 수식을 받으면 be 다음의 to는 생략될 수 있다. |
• | What you have to do is learn how to swim. |
네가 해야 할 것은 수영하는 법을 배우는 것이다. |
기출 0회
☆☆☆☆☆ 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