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TELP GRAMMAR

AUXILIARY VERB 조동사

1
조동사
조동사는 동사를 도와서 동사만으로는 나타낼 수 없는 뜻을 나타낸다. 이 파트에서는 서법조동사(will, shall, would, should, can, could, may, might, must 등)를 대상으로 하며 이것들은 본문에 진술한 내용에 대한 화자의 주관적인 생각을 나타낸다. 조동사 다음에는 항상 동사원형만 가능해서 조동사 + 동사원형의 형태로 쓰인다.
 can  +  run 
조동사   동사원형
You can run as fast as Tom.
  너는 Tom 만큼 빨리 달릴 수 있다.
  “can run”에서 can은 조동사이므로 바로 다음에 동사원형(run)이 왔다. 해석은 조동사의 뜻에 동사원형의 뜻을 결합한다. 이 문장에서도 can(할 수 있다)과 run(달리다)을 결합해서 “달릴 수 있다”로 해석한다.

기출 3회

1.5/5
조동사 + 동사원형을 부정할 때는 조동사 바로 다음에 not이나 n’t를 둔다.
 can   +   not 
 can   +   n’t 
can not = can’t  
could not = couldn’t  
may not = mayn’t  
might not = mightn’t  
will not = won’t  
would not = wouldn’t  
shall not = shan’t  
should not = shouldn’t  
must not = mustn’t  
ought not = oughtn’t  
You can not run (or can’t run) as fast as Tom.
  너는 Tom 만큼 빨리 달릴 수 없다.
  “can run”을 부정하기 위해 둘 사이에 not을 넣었다. 

기출 3회

1.5/5
조동사 + 동사원형이 의문문에서는 조동사 + 주어 + 동사원형의 순서가 된다. 만일 의문사가 있으면 의문사 다음 조동사 + 주어 + 동사원형의 순서가 된다. 의문사가 주어이면 조동사 다음에 다시 주어가 올 수 없으므로 의문사 + 조동사 + 동사원형의 순서가 된다.
   조동사  +  주어  +  동사원형  ?
 의문사  +  조동사  +  주어  +  동사원형  ?
 의문사  +  조동사  +    X    +  동사원형  ?
Can I buy the book?
  내가 그 책을 살 수 있습니까? (의문사가 없는 의문문)
  조동사 + 주어 + 동사
When can I buy the book?
  언제 내가 그 책을 살 수 있습니까?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
  의문사 + 조동사 + 주어 + 동사
Who can buy the book?
  누가 그 책을 살 수 있습니까?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
  의문사 겸 주어 + 조동사 + 동사

기출 3회

1.5/5
2
can
can은 능력가능성의 뜻을 지닌다. 과거형이 필요로 할 때는 could를 쓰고 미래will be able to를 쓴다. 가능성이란 무언가가 앞으로 일어날 수 있는 성질이나 정도를 말한다.  
can  능력     ~할 수 있다  
 가능 
She can run a marathon in under four hours.
  그녀는 4시간 이내에 마라톤을 뛸 수 있다.
  4시간 이내에 마라톤을 뛸 수 있는 것은 노력을 통한 사람의 신체적인 능력이다. 누군가는 10분도 뛰지 못한다. can은 4시간 이내에 마라톤을 뛸 수 있는 그녀가 가진 신체적인 “능력”을 표현하고 있다.  
    I can run    
               
    4시간 동안 뛸 수 있는 신체적인 능력    

기출 3회

1.5/5
can의 과거형이 필요로 할 때는 could를 쓰고 미래는 will be able to를 쓴다.
can  과거     could   할 수 있었다
 미래     will be able to   할 수 있을 것이다
I could lift that heavy box if I had help.
  도움만 있으면 나는 그 무거운 상자를 들 수 있을 텐데.
  “could”는 can의 과거형으로 내가 가진 신체적인 “능력”안에 있다는 것을 암시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하지만, “할 수 있다”는 것은 어떤 일이 일어나거나 화자가 어떤 일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올바른 조건에서 가능하거나 성취할 수 있다는 생각을 표현하는 것이다.
    I could lift that heavy box    
               
    상자를 들 수 있는 신체적인 능력    
If I study hard, I will be able to pass the exam next week.
  열심히 공부하면 나는 다음 주에 합격할 수 있을 것이다.
  “will be able to”는 can의 미래형으로 자신의 “능력”을 나타낸다. 즉 “will be able to”는 필요한 조건이 충족되거나 화자가 그것을 실현할 능력이나 자원을 갖게 될 것이기 때문에 미래에 어떤 일이 일어날 것으로 예상되거나 예측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I will be able to pass the exam    
             
  현재 시험에 합격할 것으로 예상    

기출 3회

1.5/5
can
This project can take longer than expected.
  이 프로젝트는 예상보다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
  “can”은 이 프로젝트에서 앞으로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내고 있다.
       
  This project can take longer.    
             
    이 프로젝트가 예상 보다 더 오래 걸릴 가능성      
           
can
Stress can be extremely damaging to your health.
  스트레스는 건강을 극도로 손상시킬 수가 있다
  “can”은 능력이나 가능성, 잠재력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데, 이 문장에서는 스트레스가 사람의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암시한다.
 
  Stress can be extremely damaging to your health  
       
스트레스가 건강을 해칠 수 있는 능력 
 
could
He could fix the car himself when it broke down.
  그는 차가 고장났을 때 스스로 고칠 수 있었다.
  “could”는 그 사람이 과거에 언급된 행동이나 임무를 수행할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could”는 그가 차를 고치기 위해 필요한 기술, 지식 또는 신체적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He could fix the car himself when it broke down.
       
       
자동차를 수리할 수 있는 능력
 
could
It could rain later today, so I should bring my umbrella.
  오늘 늦게 비가 올 수도 있으니까 우산을 가지고 와야겠어요.
  “could”는 can의 과거형으로 오늘 비가 올 “가능성”의 영역 안에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It could rain later today.      
         
                 
  구름으로 봐서 비가 올 가능성    
       
cannot ~ too
You cannot praise his courage too much.
  그의 용기를 아무리 칭찬해도 지나치지 않다.
  “cannot ~ too”는 “아무리 ~ 해도 지나치지 않다”는 뜻으로 관용구 처럼 암기하는 것이 편하다. 이런 의미를 갖게 되는 것을 이해하기에는 여러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You cannot praise his courage too much.  
       
아무리 ~해도 지나치지 않다
 
3
may
may는 “~일지도 모른다”는 뜻을 갖는 조동사로서 불확실한 상황을 추측할 때 쓰인다. 말하는 사람의 확신도는 50% 정도이다.
현재 추측  may   ~일지도 모른다
과거 추측  may have p.p.   ~이었는지도 모른다.
현재 추측  may   ~일지도 모른다
과거 추측  may have p.p.   ~이었는지도 모른다.
It may be raining outside.
  밖에 비가 올 지도 모른다.
  may be는 현재 밖에 비가 올 가능성을 “추측”하지만 확실하지는 않다.
It may be raining outside.
               
밖에 비가 오는지 어떤지에 대한 추측

기출 3회

1.5/5
canmay는 공통적으로 허락을 말할 때 쓰인다.
can  허락  ~해도 좋다
may 허락  ~해도 좋다
You can smoke here.
  여기서 담배를 피워도 좋습니다
  “can”는 흡연에 대한 “허락”을 나타낸다. 구어에서는 may보다 can이 일반적이다.
You can smoke here.  
                 
흡연 허용 구역  
You may keep the change.
  거스름돈은 가져도 좋습니다. 
  “may”는 잔돈을 가져가라는 “허락”을 나타낸다.
You may keep the change.  
                 
 거스름돈  

기출 3회

1.5/5
may
Because people with high blood pressure may not exhibit symptoms, they may not be aware they have the disease.
  고혈압이 있는 사람들은 아무런 증상을 보이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그들은 그 질병을 앓고 있다는 것을 모를 수도 있다
  “may”은 고혈압이 있는 사람들이 질병을 앓고 있는지 어떤지 스스로 모를 수도 있다는 것을 “현재 시점에서 현재 상황을 추측”하는데 쓰이고 있다.
 
They may be aware that they have the disease.
       
현재시점
질병에 대해 현재 시점에서 현재의 상황 추측 
 
may have p.p.
By now, perhaps, you may have realized that he loved you.
  지금쯤 아마 너는 그가 너를 사랑했었다는 것을 깨달았을지도 모른다.
  “may have p.p.”는 현재시점에서 과거상황을 추측하는데 쓰인다. 이 문장은 현재시점(now)에서 과거상황(he loved you)을 추축(may have realized)하고 있다. 
 
      You may have realized that he loved you.  
               
      과거      
        현재시점      
      현재시점에서 과거 사랑에 대한 추측  
         
may have p.p.
Bill may have left yesterday.
  빌은 어제 떠났을지도 모른다.
  “may have p.p.”는 현재 시점에서 과거상황에 대한 추측을 할 때 쓰인다. 이 문장에서는 어제 빌이 떠났는지 어떤지 모르고 어제 상황을 현재 시점에서 추측하고 있다.
           
        Bill may have left yesterday.  
               
        어제   현재      
        어제(과거) 출발 생황에 대한 추측  
           
4
might
might는 may와 같은 “~일지도 모른다”는 뜻으로 불확실한 상황을 추측할 때 쓰인다. 둘의 차이는 may 보다 might가 확실성이 더 약해서 확신도가 50% 미만이다. 시제일치에 따른 종속절(that절) 안에서는 may의 과거형으로 might를 쓴다.  
현재 추측  might  ~일지도 모른다
과거 추측  might have p.p.  ~이었는지도 모른다
She is afraid that I might catch a cold.
  그녀는 내가 감기에 걸릴지도 모른다고 걱정하고 있다.
  might가 쓰였다는 것은 내가 감기에 걸릴 가능성이 희박해서 50% 미만임을 나타내는 불확실한 추측이다.
I might catch a cold.  
                 
현재시점  
현재 감기에 걸렸을 것이라는 불확실한 추측 (확신도가 50% 미만)  

기출 3회

1.5/5
might
I said that it might rain.
  비가 올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주절이 과거(said)이므로 종속절인 that절에는 과거가 와야 한다. 그래서 might는 may의 과거로 쓰였다. 
 
I said that it might rain.
       
과거
과거 시점에서 비가 올 가능성을 추측함
 
might have p.p.
They might have crashed into a car on the way to her house.
  그들은 그녀의 집으로 가는 도중에 차와 충돌했었는지도 모른다.
  “might have p.p.”는 현재 시점에서 과거상황에 대한 불확실한 추측을 할 때 쓰인다. 이 문장에서는 과거에 그들이 그녀의 집으로 가는 도중에 차와 충돌했었는지도 모른다고 현재 추측하고 있다. 이들의 추측은 신뢰도가 50% 미만으로 불확실한 추측이다.
     
  They might have crashed into a car.  
               
        어제   오늘      
과거에 자동차 추돌에 대한 불확실한 추측 (확신도가 50% 미만)
 
 
5
must
must는 필요의무 나타낸다.
must   필요    ~할 필요가 있다 
  의무    ~해야 한다 
You must submit the application on later than 6 p.m. today.
  당신은 오늘 오후 6시 이전에 응시원서를 제출해야 한다 
  Must“는 강한 의무나 필요성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조동사이다. 어떤 것이 필요하거나 꼭 필요하다는 것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며, 그것을 준수하는 것 외에 다른 선택지가 없다는 것이다. 이 문장에서 응시원서의 제출 시간을 6시로 제한한 것은 반드시 지켜야 하는 회사의 규정이므로 응시자들은 따라야 할 의무이며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는 것이다. 이런 의미의 문장에는 must를 써야 한다. “의무“의 사전적 정의는 “사람으로서 마땅히 하여야 할 일“이다.
You must submit the application.  
                 
6시  
응시 원서 제출은 지켜야할 의무이다.  

기출 3회

1.5/5
must는 필요나 의무일 때 과거나 미래형이 없어서 have to(~해야 한다)를 이용해서 had to, will have to를 이용한다. have got to는 have to의 구어체이다.   
must   과거    had to 
  미래    will have to 
  must의 과거는 had to이지만 that절(종속절)에서는 must가 과거로 쓰인다.
All of the other members of my team had gone home for the day, so I had to finish the project myself.
  팀의 다른 멤버들이 모두 퇴근한 관계로 나는 혼자서 프로젝트를 끝내야 했다.
  so 앞절은 과거이전(had gone)의 일이고 so 다음은 과거의 상황이다. 주절에서 must는 현재로만 쓰이므로 so 다음에 쓸 수 없다. 그래서 must의 과거형인 had to를 썼다.
I had to finish the project my self.  
                 
과거  
회사의 일은 고용 계약에 의한 의무이다.  

기출 3회

1.5/5
must
One must think of others and put himself in their place, and  consider what will please and what will wound them. 
  다른 사람들을 생각하고 그들의 자리에 자신을 두고, 무엇이 그들을 기쁘게 하고 무엇이 그들에게 상처를 입힐지 고려해야 한다.
 

Must“는 의무나 필요성을 나타낼 때 사용되는 조동사이다. 그것은 무언가가 행해지거나 성취되기 위해 요구되거나 의무적이거나 필수적인 것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Must“는 다른 선택사항이나 대안이 없으며 논의 중인 조치나 상황이 반드시 필요함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이 문장은 배려심 있고 인정 많은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들과 공감하고 그들의 관점을 이해하려고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이것은 사람으로서 마땅히 하여야 할 의무이다. 그래서 must가 쓰였다.

 
One must think of others and put himself in their place.
       
상대방의 입장에서 나를 보는 것이 필요함(must). 
 
must
He said that I must meet her friends.
  그는 내가 그녀의 친구들을 만나야 한다고 말했다.
  종속절(that절)에서 must의 과거형은 그대로 must이다. 주절의 동사가 과거이면 종속절(that절)의 동사는 과거과거완료 중 하나가 온다. 이것이 시제일치라는 규칙이다. 이 규칙에 따라서 이 문장의 주절이 과거(said)이므로 that절의 must도 과거이다.
 
He said that I must meet her friends.
       
과거
 
6
논리적 추측
추측에는 불확실한 추측과 논리적인 추측이 있다. 불확실한 추측은 may, might를 쓰지만 확실한 근거에 의한 논리적 추측에는 긍정은 must를, 부정은 cannot을 쓴다.
현재  must                      ~임에 틀림없다 
 can not                  ~일리 없다 
과거
 must have p.p.      ~이었음에 틀림없다 
 cannot have p.p.   ~이었을리 없다 
He must be very old, for his hair is all white.
  그는 나이가 매우 많음에 틀림없다. 왜냐하면 머리가 온통 희니까.
  머리가 온통 흰색인 것을 근거로 나이가 많음을 추측한 것은 논리적인 근거에 의한 추측이다. 
   
He must be very old.  
                 
His hair is all white.  
흰머리로 나이를 추측한 것은 논리적 추측이므로 must를 썼다.  
   

기출 3회

1.5/5
must
Her boy friend is coming from the States today. She must have butterflies in her stomach.
  그녀의 남자친구는 오늘 미국에서 온다. 그녀는 틀림없이 마음이 조마조마할 것이다.
  남자 친구를 만나는 여성의 마음을 추측하고 있다. 여성이 오랜만에 남자친구와 재회를 준비하게 되면 흥분, 기대, 긴장 등의 감정이 뒤섞여 있게 된다. 그러므로 두 번째 문장에 must를 쓴 것은 논리적인 추측이다. 
 
She must have butterflies in her stomach.
       
       
       
남자 친구와 재회를 기다리는 여성의 마음을 논리적으로 추측하고 있다.
 
must have p.p.
The train must have left already because it’s not on the platform.
  기차가 플랫폼에 없으니 벌써 떠났음에 틀림없다.
  must have p.p.“는 과거에 일어난 일에 대한 확신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것은 화자가 이용할 수 있는 증거나 정보에 근거하여 무언가가 발생했다고 확신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플랫폼에 기차가 없는 것을 보고 이미 기차가 떠났음을 추측하고 있다. 이것은 논리적인 추측이다. 화자가 플랫폼에 도착한 것 보다 기차가 시간적으로 먼저 출발을 했다. 즉 현재 시점에서 과거상황을 추측하고 있다. 현재 시점에서 과거를 논리적으로 추측하는 것은 must have p.p.이다. 
     
  The train must have left already because it’s not on the platform.  
               
        과거   현재      
현재 플랫폼이 비었으니 과거에 기차가 떠났음을 논리적으로 추측함
 
must have p.p.
Look at all the water on the ground. It must have rained really hard last night.
  땅에 있는 물을 봐라. 어제 밤에 비가 심하게 왔었음에 틀림없다.  
  땅에 물이 있는 것을 보고 지난 밤에 비가 왔음을 추측한 것은 논리적인 것이다. 따라서  must를 써야 한다.
     
   It must have rained last night.  
               
        어제   오늘      
Look at all the water on the ground.
오늘 젖은 땅을 보고 어제 밤에 비가 왔음을 추측한 것은 논리적이다.
 
7

will

미래에 대해 말하거나 질문할 때 will과 shall을 쓴다. will은 주로 미래 시간부사가 왔을 때 쓰이지만, 미래 시간부사 없이도 문맥상 미래를 나타내는 경우에 쓰이는데 이를 단순미래라 한다. 또한 will “~해야 겠다”와 같은 주어의 의지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의지미래라 한다.
will   단순미래    ~일 것이다 
  의지미래    ~해야 겠다 
The victorious team will parade through the city tomorrow morning.
  승리한 팀은 내일 아침에 시가지를 다니며 행진을 할 것이다.
  tomorrow(내일)가 미래 시간이기 때문에 동사도 미래인 will을 쓴 것이다.
  The victorious team will parade through the city tomorrow morning.  
                 
               
        우승팀   시가행진      
        오늘   내일      
I will go, no matter what you say.
  네가 무슨 말을 하든지 나는 갈것이다.
  상대방의 말에 관계없이 주어는 가겠다는 의지를 나타내는 미래이다.
        you say   I will go      
               
        말하다   가다      
        현재   미래      

기출 3회

1.5/5
would will 과거형으로 과거의 관점에서 미래에 대해 말할 때나 과거의 의지, 과거의 습관을 말할 때 쓰인다. 과거 어느시점에서 언급한 미래의 일도 현재 시점에서 보면 모두 지나간 과거의 일이다. 지나간 과거에 언급된 미래는 would + 동사원형으로 표현된다. 주절이 [주어 + 과거동사]로 시작하면 과거의 이야기 이므로 그 다음에 이어지는 목적절인 that절의 내용도 과거의 이야기가 온다. 그래서 that절에는 will + 동사원형이 아니라 과거형 would + 동사원형이 온다. 이것을 시제일치라 한다. 
주어 + 과거동사
that 주어 + would 동사원형
He said that he would come to the party.
  그는 파티에 오겠다고 말했다.
  과거시점에 본 미래이다. 과거에 그가 말한 시점(said)에서 파티에 가는 가는 것은 미래이다. 이것은 과거에서 본 미래이므로 would를 썼다. 주어 + 과거동사 다음에 오는 미래는 would이다.
        He said   he would come to party  
               
        말했다   가다      
        과거 과거에서 본 미래    

기출 3회

1.5/5
would
They tought he would be an Edison someday.
  그들은 그가 언젠가 에디슨과 같은 위대한 과학자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would” 는 과거에서 미래를 말할 때 쓰인다. 주절이 과거(They though)이므로 그 다음에 언급되는 미래는 would가 들어가야 하므로 would be가 왔다.

     
  They tought he would be an Edison someday.  
               
        과거 과거에서 본 미래    
 
would
Betsy didn’t think that I would really do the work, but I did.
  Betsy는 내가 정말 그 일을 할 것이라고 생각지 않았다, 그러나 나는 했다.
  과거시점에 본 미래이다. Betsy did가 과거상황이므로 that절에도 과거의 이야기가 와야한다. 그래서 would가 온 것이다.
     
  Betsy didn’t think that I would really do the work, but I did.  
               
        과거 과거에서 본 미래    
 
7

should

should는 의무 개인적인 충고와 조언을 나타내는데 쓰인다.
should   의무    ~해야 한다 
  충고    ~해야 한다 
Everybody should wear car seat belts.
  모두는 자동차 좌석벨트를 매야 한다.
  자동차의 좌석벨트를 매는 것은 안전을 위해 당연히 해야하는 의무이다.
  Everybody should wear car seat belts.  
                 
        좌석벨트          
                   
When you go swimming here, you should keep in mind that the water is swift.
  당신이 여기서 수영할 때, 물살이 빠르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안전한 수영을 위해 물살이 빠르다는 것을 충고하고 있다.
  You should keep in mind that the water is swift.  
                 
                 
      수영에 대한 충고        
        should          

기출 3회

1.5/5
충고, 주장, 제안, 명령, 요구를 뜻하는 단어 다음에 오는 that절의 동사는 should 동사원형으로 시작한다. 
충고  recommend  that S +  (should) 동사원형 
 
 advise 
주장  urge 
 insist 
제안  suggest 
 move 
 propose 
명령  order 
 command 
요구  require 
 request 
 demand 
 ask 
✱ suggest = make a suggestion = 제안하다
✱ order = give an order = 명령하다
Since her blood pressure is much higher than it should be, her doctor insists that she should not smoke.  
  그녀의 혈압이 정상 수치보다 훨씬 높았기 때문에 그녀의 의사는 그녀에게 담배를 피우지 말라고 주장했다.
  that절 앞에 insists가 있으므로 that절에는 조동사 should가 왔다.
  Her doctor insists that she should not smoke.    
                 
                 
      금연에 대한 주장(insist)        
        should          

기출 3회

1.5/5
판단 형용사 다음에 오는 that절에는 조동사 should를 쓴다. should를 생략하면 동사원형만 온다. 
 It be   +   판단 형용사   +   that   S +  (should) 동사원형 
이성적 판단의 형용사: necessary, important, natural, right
감정적 판단의 형용사: strange, odd, surprising, absurd, ridiculous
It is right that she should leave.
  그녀가 떠나는 것이 옳다.
  right는 이성적 판단의 형용사이므로 that절에 should가 왔다.
  It is right that she should leave.  
                 
      떠나야 한다는 판단 (should)        
                   

기출 3회

0.5/5
demand
Mr. Blair demands that the child obey her.
  블레어 씨는 아이가 그녀에게 복종할 것을 요구한다.
 

“demand(요구하다)”는 요구하는 동사이므로 that절에는 should나 동사원형으로 시작해야 한다. obey는 동사원형이다.

     
  Mr. Blair demands that the child obey her.  
               
    복종을 요구하다    
    should    
 
move
I move that the money be used for library books.
  나는 그 돈이 도서비로 쓰여야 한다고 제안한다.
 

“move(제안하다)”는 “제안하다”의 뜻일 때 that절에는 should나 동사원형으로 시작해야 한다. be는 동사원형이며 should는 생략되었다.

     
  I move that the money be used for library books.  
             
    책 구매를 제안하다(move)    
    should    
 
require
Our university requires that all the students take English reading course before their graduation.
  우리 대학은 모든 학생들이 졸업 전에 영어 읽기 과정을 이수하도록 요구한다.
 

“require(요구하다)” 다음에 오는 that절에는 should나 동사원형으로 시작해야 한다. take는 동사원형이며 should는 생략되었다.

     
  Our university requires that all the students take English reading course  
               
    영어 읽기 과정을 요구하다(require)    
    should    
 
order
The boss ordered that all the employees be punctual.
  사장은 모든 직원들에게 시간을 엄수하라고 명령했다.
 

“order(명령하다)” 다음에 오는 that절에는 should나 동사원형으로 시작해야 한다. be는 동사원형이며 should는 생략되었다.

     
  The boss ordered that all the employees be punctual.  
             
    시간 엄수를 명령하다(order)    
    should    
 
request
I request that you send me the report by Friday.
  나는 당신이 금요일까지 나에게 보고서를 보내줄 것을 요청합니다.
 

“request(요구하다, 요청하다)” 다음에 오는 that절에는 should나 동사원형으로 시작해야 한다. send는 동사원형이며 should는 생략되었다.

     
  I request that you send me the report by Friday.  
           
    보고서 보낼 것을 요구하다(request)    
    shou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