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class
Grammar
RELATIVE PRONOUN 관계대명사 문제
관계대명사
• | 관계대명사 는 접속사 + 대명사 역할을 한다. |
• | 관계대명사 다음은 불완전한 절 (주어나 목적어, 보어가 없는 절) 이 온다. |
• | 관계대명사절 로 부터 수식받는 명사를 선행사 라 한다. |
• | 관계대명사절 은 선행사라는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절 이다. |
• | 관계대명사 가 1개 이면 절 은 2개 이다. |
선행사 | 주격 | 소유격 | 목적격 |
사람 | who | whose | whom |
사물 | which | whose, of which | which |
동물 | |||
사건 | |||
사람 | that | X | that |
사물 | |||
동물 | |||
X | what | X | what |
I know | a boy | and | she | loves | him | . | ||||
접속사 | 대명사(목적어) | |||||||||
= | I know | a boy | whom | she | loves | . | ||||
선행사 | 관계대명사 | 불완전한 절 (목적어 없음) | ||||||||
관계대명사절 (boy를 수식하는 형용사절) | ||||||||||
나는 그녀가 사랑하는 한 소년을 알고 있다. |
기출 2회
18. 교행직 9급
18. 경찰직 1차
1
우리말을 영어로 잘못 옮긴 것을 고르시오. (14. 국가직 7급) | |||||
① | 그녀는 가족과 함께 있을 때 가장 행복하다. | ||||
→ She is happiest when she is with her family. | |||||
② | 사고 후 그는 왼손을 사용하는 데 익숙해지고 있었다. | ||||
→ He was getting accustomed to using his left hand after the accident. | |||||
③ | 내 급우들 중 3분의 2가 졸업 후 직장을 알아볼 예정이다. | ||||
→ Two thirds of my classmates are going to look for jobs after graduation. | |||||
④ | 책임감이 그로 하여금 결국 자신을 희생하게 한 위험한 일을 맡도록 재촉하였다. | ||||
→ His sense of responsibility urged him to undertake the dangerous task which he eventually sacrificed himself. |
정답 & 해설
해설: | 관계대명사 다음은 불완전한 절(주어, 목적어, 보어 중 하나가 없는 절)이 온다. which 다음은 주어(he)와 목적어(himself)가 있는 [완전한 절]다. 따라서 잘못되었다. 우리말에서 “희생하다”의 영어식 표현은 sacrifice oneself for(희생하다)이다. 이 문장을 바르게 하려면 for를 which절 끝에 두면 된다. 그렇게 하면 which 다음은 for의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이 된다. which he eventually sacrificed himself → which he eventually sacrificed himself for |
정답: | ④ |
2
다음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18. 교행직 9급) | |||||
In agreement with the Egyptian Supreme Council of Antiquities, Franck Goddio and his team ensured that artifacts ① found in their exploration would remain in the East Port until a decision can be made about the possible creation of an underwater museum at the site. Yet the significance of some of their finds was such that they were unwilling to leave ② them untouched on the seabed without establishing a precise visual record of their appearance that would permit future scholars to study them in detail. The solution lay in temporarily removing some objects from their underwater sites to permit casting and then ③ returning them to the seabed. The replication process ④ overseen by Georges Brocot, a French artist who specializes in molding techniques. |
고대 이집트의 최고 통치자 협의회와 합의하에 Franck Goddio와 그의 팀은 현장에 수중 박물관이 생길 가능성에 대한 결정이 내려질 때까지 탐험에서 발견된 유물들을 동쪽 항구에 남아있게 했다. 그러나 그들의 발견물들 중 일부의 중요성은 대단해서 그들은 미래의 학자들로 하여금 그것들을 자세히 연구할 수 있게 하는 외관의 정확한 시각적 기록을 마련하지 않고 그것들을 해저에 손대지 않고 그대로 마지못해 남겨두었다. 해결책은 일시적으로 수중 부지에서 물체를 제거하여 주조를 허용하고 그리고 그 다음에 그들을 해저에 돌려보내는 것이다. 복제 과정은 조형기술을 전문으로하는 프랑스 예술가인 Georges Brocot에 의해 감독된다.
정답 & 해설
해설 | |
① | found는 find(찾다, 발견하다)의 과거분사이다. [명사 + 동사ed(p.p. 수동)]가 맞는지는 둘 사이에 be동사를 넣어서 의미가 맞는지 보면 된다. [artifacts (were) found in their exploration (유물들이 탐험에서 발견되었다)]는 의미가 맞다. |
② | them은 artifacts를 대신한 대명사이다. artifacts가 복수명사이므로 복수형 them으로 받은 것은 옳다. |
③ | and 앞/뒤는 같은 품사로 시작되는 병치[병렬]관계이다. and 뒤에 -ing로 시작하면 앞에도 -ing가 있어야 한다. 이 문장에서 and 뒤에 returning이 있고 앞에도 removing이 있으므로 병치관계는 올바르다. |
④ | 문장은 [주어 + 술어동사]를 기본으로 한다. 그런데 이 문장에는 술어동사가 없다. 문맥상 주어인 The replication process(복제과정)와 overseen(감독되어지는)은 수동관계이어야 문맥상 의미가 맞다. 따라서 The replication process와 overseen 사이에 술어동사인 is를 넣어야 한다. overseen → is overseen |
정답 | ④ |
3
다음의 빈칸에 들어갈 말의 순서로 가장 적절한 것은? (13. 경찰직 1차) | |||
She watched stories ( ㉠ ) characters would shed light on her experiences, ( ㉡ ) searched for love and meaning amidst the everyday clutter, and ( ㉢ ) fates might, if at all possible, turn out to be moderately happy ones. | |||
㉠ | ㉡ | ㉢ | |
① | whose | who | whom |
② | so | who | who |
③ | whose | who | whose |
④ | of which | who | whom |
정답 & 해설
해석 | 그녀는 이야기의 등장인물들이 그녀의 경험을 조명하고, 등장인물들이 일상적인 혼란 속에서 사랑과 의미를 찾고, 그리고 등장인물들의 운명이, 가능한 한, 적당히 행복할 수 있는 이야기들을 보았다. |
해설 | |
㉠ | [whose + 명사] 다음은 불완전한 절(= 주어, 목적어, 보어 중 하나가 없는 절)이 온다. 빈 곳에 whose가 들어가면 whose characters 다음은 주어가 없은 불완전한 절이므로 올바르다. 참고로 of which 다음은 [the + 명사]가 온다. characters에는 the가 없으므로 of which는 쓸 수 없다. ㉠에는 whose가 옳다. |
㉡ | 빈 곳은 동사 searched의 주어 자리이므로 주격인 who가 들어간다. |
㉢ | who, whom 다음은 불완전한 절이 오는데 빈 곳 다음은 2형식으로 완전한 절이다. 따라서 빈 곳에 who, whom은 들어갈 수 없다. whose + 명사 다음은 불완전한 절이 온다. 빈 곳에 whose가 들어가면 whose fates 다음이 불완전한 절이므로 빈 곳에는 whose가 적합하다. |
정답 | ③ |
who
• | who 의 선행사 는 사람 이다. | |
• | who , whose + 명사 , whom 다음은 불완전한 절 이 온다. | |
• | whose 는 명사와 결합해서만 쓰이고 단독으로 쓸 수 없다 . |
사람 | + | who | + | (S) + V + (O) | ||
whose + 명사 | ||||||
whom | ||||||
선행사 | 관계대명사 | 불완전한 절 |
• | He has a son who is wise. |
그는 현명한 아들이 한 명 있다. | |
who 다음의 절은 is의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이다. | |
• | He has a son whose name is Tom. |
그는 이름이 톰인 아들이 한 명 있다. | |
whose name 다음의 절은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이다. |
기출 12회
19. 지방직 7급
18. 법원직 9급
18. 소방직 공채
15. 국회직 9급
14. 법원직 9급
13. 지방직 7급
08. 국가직 9급
18. 경찰직 1차
16. 경찰직 2차
13. 경찰직 1차
12. 경찰직 1차
11. 경찰직 1차
1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13. 국가직 7급) | |||
Eli Broad, the billionaire financier and philanthropist, ①who has private collection of some 2,000 works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is one of the most sought-after by museums ②nationwide, has decided ③to retain permanent control of his works in an independent foundation that ④makes loans to museums rather than give any of the art away. |
정답 & 해설
해석 | 억만 장자인 금융가이자 박애주의자인 Eli broad는, 그의 현대와 동시대의 예술 약 2000여 작품들의 개인적 컬랙션은 전국의 미술관들로부터 가장 인기 있는 것들 중 하나이며, 예술품을 주기보다 박물관에 임대해주는 독립적인 재단에서 자신의 작품들에 대한 영원한 통제를 유지하기로 결심했다. |
billionaire [bìljənέər] 억만장자 | |
financier [fìnənsíər] 재정가, 금융업자, 자본가 | |
philanthropist [filǽnθrəpist] 박애가, 자선가 | |
contemporary [kəntémpərèri] 현대의, 같은 시대의 | |
museum [mjuːzíːəm] 박물관, 미술관 | |
nationwide [néiʃənwàid] 전국적인 | |
permanent [pə́ːrmənənt] 영구한, 불변의 | |
independent [ìndipéndənt] 독립의 | |
foundation [faundéiʃən] 토대, 기초, 설립, 기금 | |
해설 | who절(who has ~ is one ~ nationwide)에는 동사가 하나만 오는데 2개(has, is)이다. 따라서 동사를 하나 없애야 한다. who has → whose |
정답 | ① |
2
다음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적절하지 않은 것은? (18. 소방직 공채) | |||
There are many kinds of love, but most people seek ①its expression in a romantic relationship with a compatible partner. For some, romantic relationships are the most meaningful element of life, ② providing a source of deep fulfillment. The ability to have a healthy, loving relationship ③ is not innate. A great deal of evidence suggests ④ whose the ability to form a stable relationship begins in infancy, in a child’s earliest experiences with a caregiver. |
정답 & 해설
해석 | 많은 종류의 사랑이 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서로 받아들일 수 있는 파트너와 낭만적인 관계로 표현을 추구한다. 어떤 사람들에게서 낭만적인 관계는 가장 의미있는 삶의 요소이며, 깊은 성취의 근원을 제공한다. 건강하고 사랑스러운 관계 를 가질 수 있는 능력은 타고난 것이 아니다. 많은 증거들은 안정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능력은 유아기, 즉 애를 돌보는 사람과의 아기의 초기 경험에서 시작됨을 암시한다. |
해설 | |
① | its는 love를 대신하는 대명사이다. love가 단수이므로 단수형인 its는 올바르다. 또한 love는 남성과 여성의 구별이 없다. 성의 구별이 없으면 it, its로 받는다. |
② | provide = 제공하다, 공급하다. providing은 타동사 + ing이다. 타동사 + ing도 타동사를 이용하므로 목적어를 취하는데 a source of deep fulfillment가 providing의 목적어이며 의미상 주어는 주절의 주어인 romantic relationships이다. |
③ | 주어인 The ability가 단수이므로 단수동사 is는 옳다. |
④ | whose는 관계대명사인데 앞에 선행사가 없다. 또한 whose는 [whose + 명사]의 형태로 쓰이며 [whose + the 명사]로는 쓸 수 없다. 따라서 whose는 the ability와 결합할 수 없다. 문장에서 whose 다음은 완전한 절 [ 주어(the ability to form a stable relationship) + 동사(begins) + 전치사구(in ~ caregiver) ]이 왔다. 완전한 절에는 관계부사나 접속사를 쓴다. 따라서 whose를 접속사 that으로 바꾸면 된다. whose → that |
정답 | ④ |
3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13. 지방직 7급) | |||
Cooper is a private-security detective, one of many ①whom patrol once prosperous enclaves ②like Palmer Woods. With the city’s police force ③cut more than 25 %, private security appears to be one of Detroit’s few ④growth industries. |
정답 & 해설
해석 | 쿠퍼(Cooper)는 사립 안전 요원이며. 팔머 우즈(Palmer Woods)와 같이 한 때 번성했던 소수 민족 거주지를 순찰하는 많은 사람들 중 한 명이다. 도시 경찰력의 25% 이상 줄어든 상태에서, 사립 안전 요원은 디트로이트의 소수의 성장 산업들 중 하나 인 것처럼 보인다. |
해설 | patrol(순찰을 돌다)은 동사이다. 동사 앞에 오는 관계대명사는 주격이어야 한다. 따라서 whom은 who로 바뀌어야 한다. 선행사는 many이다. whom → who |
정답 | ① |
which
• | which 의 선행사 는 사물 , 동물 , 사건 중 하나이다. |
• | which 다음은 불완전한 절 이 온다. |
• | 소유격인 whose 는 the가 없는 명사와 결합 한다. |
• | 소유격인 of which 는 the + 명사 와 결합해서 쓰인다. |
사물 | which | (S) + V ~ | ||
동물 | whose + 명사 | |||
사건 | of which + the 명사 | |||
the 명사 + of which | ||||
선행사 | 관계대명사 | 불완전한 절 |
• | He has a book which I like. |
그는 내가 좋아하는 책을 갖고 있다. | |
which 다음의 절은 like의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이다. | |
• | He has a book whose the cover is red. (X) |
그는 표지가 붉은 책이 있다. | |
whose the cover → whose cover (or of which the cover, the cover of which) | |
whose cover 다음의 절은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이다. |
기출 15회
21. 국가직 9급
19. 지방직 7급
18. 교행직 9급
18. 법원직 9급
18. 국회직 9급
17. 지방직 7급
16. 교행직 9급
16. 경찰직 1차
15. 국회직 9급
14. 서울시 9급
14. 기상직 9급
13. 지방직 9급
12. 지방직 9급
12. 법원직 9급
11. 지방직 9급
1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14. 국가직 7급) | |
① | Two hours from now, the hall will be empty. The concert will have ended. |
② | The lab test helps identify problems that might otherwise go unnoticed. |
③ | The police found an old coin which date had become worn and illegible. |
④ | Tom made so firm a decision that it was no good trying to persuade him. |
정답 & 해설
해석 | |
① | 지금부터 두 시간 후, 공연장은 텅 비게 될 것이다. 콘서트는 끝날 것이다. |
② | 실험실 테스트는 그렇지 않으면 발견되지 않을 지도 모를 문제들을 확인하는데 도움을 준다. |
③ | 경찰은 날짜가 닳아서 읽을 수 없었든 낡은 동전을 하나 발견했다. |
④ | 톰은 너무나 확고한 결심을 해서 그를 설득하는 것은 소용이 없었다. |
해설 | [관계대명사], [whose + 명사] 다음은 불완전한 절(=주어, 목적어, 보어 중 하나가 없는 절)이 온다. 그런데 S(date) + V(had become) + C(worn and illegible)은 완전한 절이므로 which는 잘못이다. which를 대신해서 whose가 들어가면 whose date가 된다. whose date 다음은 불완전한 절이므로 올바르다. which → whose |
정답 | ③ |
2
다음 중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어색한 것을 고르시오. (12. 기상직 9급) | |||
Panic attacks are symptoms of anxiety disorders ① which individuals experience brief episodes of intense anxiety. Physical symptoms involve ② increased heart rate, trembling, and adrenaline rushes. Often these people seem to feel that they are going to lose control of themselves. These attacks generally are not ③ attached to a specific event or object but ④ instead seem to come from nowhere. |
정답 & 해설
해석 | 공황 발작은 개인이 극심한 불안감의 짧은 발작(episodes)을 경험하는 불안 장애의 증상이다. 신체적 증상으로는 심박수증가, 떨림, 아드레날린 증가를 포함한다. 종종 이 사람들은 그들이 자신의 통제력을 잃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는것 같다. 이러한 공격은 일반적으로 특정 이벤트나 개체에 첨부되지 않고 대신에 어디에도 없는 것처럼 보인다. |
해설 | |
① | which는 관계대명사이다. 관계대명사 다음은 불완전한 절이 온다. 그런데 which 다음은 3형식의 완전한 절이 왔다. 완전한 절을 취하는 것은 [접속사, 관계부사, 전치사 + which]이다. which → in which |
② | increased(증가된)는 과거분사로서 heart rate(심박수)를 수식한다. [동사ed + 명사 = 명사 + 동사ed]의 검토는 둘 사이에 be동사를 넣어서 뜻이 맞는지 보면 된다. [increased heart rate = heart rate (was) increased (증가된 심박수 = 심박수가 증가되었다)]는 의미가 맞다. |
③ | attach는 [붙이다, 첨부하다]는 타동사이며 are attached는 수동태로서 [첨부되다]이다. |
④ | instead는 [그 대신에]를 뜻하는 부사이다. |
정답 | ① |
3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쓰임이 적절하지 않은 것은? (18. 법원직 9급) | |||
Performing from memory is often seen ①to have the effect of boosting musicality and musical communication. It is commonly argued that the very act of memorizing can guarantee a more thorough knowledge of and intimate connection with the music. In addition, memorization can enable use of direct eye contact with an audience ②who is more convincing than reference to the score. Those who “possess” the music in this way often convey the impression that they are spontaneously and sincerely communicating from the heart, and indeed, contemporary evidence suggests that musicians who achieve this ③are likely to find their audiences more responsive. Moreover, when performers receive and react to visual feedback from the audience, a performance can become truly interactive, ④involving genuine communication between all concerned. |
기억으로 부터의 공연은 종종 음악성과 음악적 커뮤니케이션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암기하는 바로 그 행위는 음악에 대한 보다 철저한 지식과 친밀한 관계를 보장할 수 있다고 일반적으로 주장된다. 게다가, 암기는 점수에 대한 언급보다 더 설득력이 있는 관객과의 직접적인 아이 컨택의 이용을 가능하게 한다. 이런 방식으로 음악을 “소유”하는 사람들은 종종 그들이 자발적이고 진실되게 마음에서부터 나오는 의사소통을 하고 있다는 인상을 전달한다. 실제로 현대의 증거에 따르면 이것을 달성하는 음악가들은 그들의 청중들이 더 많이 호응한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라고 한다. 또한, 공연자가 관중으로부터 시각적 피드백을 받고 반응할 때, 공연은 진정으로 상호작용이 될 수 있으며, 모든 관계자들간에 진정한 의사소통을 포함한다.
정답 & 해설
해설 | |
① | see는 지각동사이며 수동태는 [be seen to do, be seen -ing]이다. 따라서 is seen 다음에 to have는 옳다. |
② | who의 선행사는 사람이 온다. 그런데 who의 선행사로 eye contact이 왔다. eye contact은 사람이 아니다. 선행사가 사물이면 which를 쓴다. who → which |
③ | are의 주어는 musicians이다. musicians는 복수명사이므로 복수동사인 are은 올바르다. |
④ | involve = 포함하다, 연루시키다. involving은 <타동사+ing>이다. 타동사가 포함되어 있으면 목적어가 와야 하는데 genuine communication(진정한 의사소통)이 involving의 목적어이다. involving의 의미상주어는 주절의 주어인 a performance이다. |
정답 | ② |
4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13. 지방직 9급) | |||
A Caucasian territory ①whose inhabitants have resisted Russian rule almost since its beginnings in the late 18th century has been the center of the incessant political turmoil. It was eventually pacified by the Russians only in 1859, ②though sporadic uprisings continued until the collapse of Tsarist Russia in 1917. Together with Ingushnya, it formed part of the Soviet Union as an Autonomous Soviet Republic within Russian from 1936. Continuing uprising against Russian/Soviet rule, ③the last was in 1934, caused the anger of Stalin. In retaliation, he dissolved Chechnyan autonomy in 1944, and ordered the deportation of the ethnic Chechnyan population to Central Asia, in which half of the population died. They were not allowed ④to return to their homeland until 1957, when Khrushchev restored an autonomous status for Chechnya. |
18세기 후반 시작된 이래 러시아 통치에 저항해 온 백인의 영토는 끊임없는 정치적 혼란의 중심이었다. 1917년 차르주의 러시아가 붕괴할 때까지 산발적인 봉기가 계속되었지만 결국 1859년에야 러시아군에 의해 진정되었다. 잉구슈냐(Ingushnya)와 함께 1936년부터 러시아 내 소비에트 자치공화국으로 소련의 일부를 형성했다. 1934년 마지막이었던 러시아/소련 통치에 대한 계속되는 봉기는 스탈린의 분노를 야기했다. 이에 대한 보복으로 1944년 체첸 자치권을 해산하고 중앙아시아로 체첸족 강제이주를 명령해 인구의 절반이 사망했다. 그들은 1957년 흐루쇼프(Khrushchev)가 체첸 자치권을 회복할 때까지 고국으로 돌아가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다.
정답 & 해설
해설 | |
① | whose + 명사 다음은 불완전한 절이 온다. whose inhabitants 다음은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이므로 올바르다. 이 문장에서 whose는 which의 소유격이며 선행사는 A Caucasian territory이다. |
② | though(~이지만, ~임에도 불구하고)는 양보 부사절을 이끄는 접속사이다. 접속사 다음은 완전한 절이 온다. though 다음은 1형식( S + V)으로 완전한 절이므로 옳다. |
③ | 한 문장에 술어[시제]동사가 두 개이면 접속사가 1개 있어야 한다. 그런데 이 문장에는 술어동사가 두 개(was, caused)인데 접속사가 1개 없어서 틀렸다. the last was in 1934에 관계대명사를 넣으면 된다. 관계대명사는 <접속사 + 대명사> 역할을 하므로 접속사의 문제가 해결된다. the last was in 1934 → the last of which was in 1934 |
④ | allow ~ to do(~에게 ~하는 것을 허락하다)의 수동형은 be allowed to do이다. 따라서 were allowed to return은 옳다. |
정답 | ③ |
5
우리말을 영어로 잘못 옮긴 것을 고르시오. (17. 지방직 7급) | |||||
① | 그녀의 남편은 부인이 옷값으로 얼마를 지불하는지 혹은 어디서 구입하는지에 관심이 없다. | ||||
→ How much she pays for her clothes or where she buys them does not interest her husband. | |||||
② | 그는 하나의 일을 끝내자마자 다른 일을 하도록 요청을 받았다. | ||||
→ No sooner had he finished one task than he was asked to do another one. | |||||
③ | 장학금이 제공되는 아홉 개의 부문은 다음 목록에서 볼 수 있다. | ||||
→ Nine categories of which scholarships will be offered can be seen to the following list. | |||||
④ | 그가 현재 양호한 재정 조건하에 있다는 사실 외에는 나로서는 보고할 새 소식이 없다. | ||||
→ Other than the fact that he is now in good financial condition, I have no news to report. |
정답 & 해설
해설 | |
① | where she buys them, How much she pays for her clothes는 [의문사 S + V]의 어순이며 간접의문문(=명사절)이다. A or B는 B에 동사의 수를 일치시킨다. where she buys them은 하나의 간접의문문이므로 단수이다. 따라서 does는 옳다. |
② | No sooner 다음은 도치된 절이 온다. 따라서 had he finished는 올바르다. sooner은 비교급이므로 than이 온 것도 올바르다. |
③ | of which는 [the + 명사]와 결합한다. 따라서 of which scholarships는 잘못이며 of which the scholarships으로 수정되어야 한다. 또한 [다음 목록에서]를 영어로 표현하면 from the following list이다. of which scholarships → of which the scholarships to the following list → from the following list |
④ | other than = [전치사] ~ 이외에. the fact와 that절은 동격이며 that은 접속사이다. |
정답 | ③ |
관계대명사 용법
• | 관계대명사 앞 에 콤마 를 둘 수 있는 것은 who , which 이다. |
• | 콤마 다음 의 which 는 앞 절의 일부나 전체 를 선행사 로 받기도 한다. |
• | 관계대명사 앞에 콤마가 없으면 제한적 용법, 있으면 계속적 용법이라 한다. |
• | Our car, which is second-handed, breaks down. |
우리차는 중고인데 고장났다. | |
which 다음은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이며 our car이 선행사이다. | |
• | He admires Tom, which I find natural. |
그는 톰을 칭찬하는데, 나는 당연하다고 본다. | |
which 다음은 find의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이며 앞 문장이 선행사이다. |
기출 7회
18. 법원직 9급
14. 기상직 9급
13. 서울시 7급
10. 국가직 9급
15. 경찰직 3차
12. 경찰직 2차
11. 경찰직 2차
1
다음 문장에서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15. 경찰직 3차) | |||
I do aerobics three times a week, ( ) makes me stay in shape. | |||
① | whom | ② | which |
③ | what | ④ | who |
정답 & 해설
해석 | 저는 일주일에 세 번 에어로빅을 하며, 그 에어로빅으로 나는 건강을 유지한다. stay in shape 건강을 유지하다 |
해설 | 빈 곳은 aerobics을 선행사로 하면서 동사 makes의 주어가 되어야 한다. aerobics은 사람이 아니다. 사람이 아니면 관계대명사는 which를 쓴다. 따라서 빈 곳은 which가 적합하다. what은 계속적 용법 즉 콤마 다음에 쓸 수 없다. |
정답 | ② |
2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12. 경찰직 1차) | |||
In 1863 American President Abraham Lincoln made Thanksgiving an official annual holiday, __________ is now celebrated on the 4th Thursday of November each year. | |||
① | that | ② | what |
③ | when | ④ | which |
정답 & 해설
해석 | 1863년 미국 대통령 에이브러햄 링컨 (Abraham Lincoln)은 추수 감사절을 공식적인 연례 공휴일로 지정했으며, 그것은 매년 11월 4일 목요일에 기념된다. |
해설 | |
① | 관계대명사 that 앞에는 콤마를 둘 수 없다. 빈 곳 앞에 콤마가 있으므로 that은 쓸 수 없다. |
② | 관계대명사 what절은 명사절로서 what 앞에 콤마를 둘 수 없다. 빈 곳 앞에 콤마가 있으므로 what은 쓸 수 없다. |
③ | 빈 곳 다음은 is의 주어자리이다. 주어가 될 수 있는 품사는 명사이다. 그런데 where은 부사이므로 쓸 수 없다. |
④ | which는 앞에 콤마를 둘 수 있으며 관계대명사이므로 is의 주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빈 곳에 적합하다. |
정답 | ④ |
3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13. 서울시 7급) | |||
The builders of the Giza pyramids ①feasted ②on food from ③a massive catering-type operation, the remains of ④what scientists ⑤have discovered at a workers’ town near the pyramids. |
정답 & 해설
해석 | 기자 피라미드의 건축가들은 대규모 음식 공급 업체로부터 얻은 음식을 마음껏 먹었으며, 과학자들은 그 업체의 남은 것들을 피라미드 근처의 노동자 마을에서 발견했다. |
해설 | |
① | feast on = 즐겁게 보내다, 실컷 먹다 |
② | food는 불가산명사로서 한정사 없이 단독으로 쓰일 수 있다. |
③ | a는 단수 가산명사에 쓰인다. operation(운영, 경영, 조합, 회사, 기업)은 단수 가산명사이다. |
④ | what 앞은 콤마가 있고 뒤는 절이 이어지고 있어서 접속사가 필요하다. 관계대명사 what을 쓰려면 선행사가 없어야 하는데 a massive catering-type operation이 선행사이다. 따라서 what을 쓴 것은 잘못이며 which로 수정해야 한다. what → which |
⑤ | 주어는 scientists이며 복수이므로 have는 올바르다. 문맥상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일이므로 have discovered는 옳다. |
정답 | ④ |
that
• | that 의 앞 에는 콤마 와 전치사 를 둘 수 없다 . |
• | that 다음은 불완전한 절 이 온다. |
사람 | + | that | + | (S) + V + (O) + (C) |
사물 | ||||
동물 | ||||
선행사 | 불완전한 절 |
• | I like this book, that is illustrated. (X) |
나는 이 책을 좋아하며, 삽화가 되어있다. that → which | |
• | This is the house in that he lives. (X) |
이곳은 그가 살고 있는 집이다. | |
in that he lives → that he lives in |
기출 9회
20. 지방직 7급
19. 국회직 8급
18. 서울시 9급
17. 국가직 9급
17. 경찰직 여경
14. 국가직 9급
13. 서울시 9급
13. 국가직 9급
12. 경찰직 1차
1
다음 글의 (A), (B), (C)에서 어법상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5. 지방직 9급) | |||
Pattern books contain stories that make use of repeated phrases, refrains, and sometimes rhymes. In addition, Pattern books frequently contain pictures (A)[that/what] may facilitate story comprehension. The predictable patterns allow beginning second language readers to become involved (B)[immediate/immediately] in a literacy event in their second language. Moreover, the use of pattern books (C) [meet/meets] the criteria for literacy scaffolds by modeling reading, by challenging students’ current level of linguistic competence, and by assisting comprehension through the repetition of a simple sentence pattern. | |||
(A) | (B) | (C) | |
① | that | immediate | meet |
② | what | immediately | meets |
③ | that | immediately | meets |
④ | what | immediate | meet |
정답 & 해설
해석 | 기자 피라미드의 건축가들은 대규모 음식 공급 업체로부터 얻은 음식을 마음껏 먹었으며, 과학자들은 그 업체의 남은 것들을 피라미드 근처의 노동자 마을에서 발견했다. |
해설 | |
(A) | that / what 다음에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이므로 that / what은 관계대명사이다. that 앞에는 선행사가 오고 what 앞에는 선행사가 오지 않는다. 이 문장은 picture이 선행사이므로 what은 쓸 수 없고 that이 옳다. |
(B) | immediate(즉시의, 즉석의)는 형용사이고 immediately(즉시)는 부사이다. 동사구(become involved)를 수식하는 것은 부사이므로 immediately가 옳다. |
(C) | 주어인 the use가 단수이므로 단수 동사인 meets가 옳다. |
정답 | ③ |
2
밑줄 친 부분이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13. 서울시 9급) | |||
Most children shift ㉠adaptively between two general strategies for managing emotion. In problem-centered coping, they appraise the situation ㉡as changeable, identify the difficulty, and decide ㉢what to do about it. If this does not work, they engage in ㉣emotional-centered coping, ㉤that is internal and private. | |||
① | ㉠ ㉡ | ② | ㉢ ㉣ |
③ | ㉣ ㉤ | ④ | ㉡ ㉣ |
⑤ | ㉠ ㉢ ㉣ |
정답 & 해설
해석 | 대다수의 아이들은 감정을 다루는데 있어 2가지 일반적인 전략을 적절하게 바꾼다. 문제 중심의 대처법에서, 그들은 그상황을 변화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어려움을 확인하고 그리고 그것에 관해 무엇을 할지를 결정한다. 만일 이것이 효과적이지 않다면, 그들은 감정 중심의 대처법에 착수하는데, 그것은 내면적이고 사적인 것이다. |
해설 | |
㉠ | 부사는 동사를 수식한다. adaptively(적응하여, 순응적으로, 적합하게)는 부사이며 동사인 shift를 수식한다. |
㉡ | changeable(바뀔 수 있는, 잘 변하는, 변덕스러운)은 형용사이다. changeable은 목적격보어이며 목적격 보어 앞에는 전치사 as를 둘 수 있다. |
㉢ | what to do는 [의문사 + S + should + 동사원형] 구문을 주절의 주어와 의문사절의 주어가 같아서 S + should를 생략하고 그 자리에 to를 넣은 것이다. they decide what they should do about it = they decide what to do about it. what은 do의 목적어이다. |
㉣ | [감정 중심]이란 표현은 [emotion-centered]다. emotional-centered → emotion-centered |
㉤ | 관계대명사 that 앞에는 콤마를 둘 수 없다. 선행사가 사물(coping)이면 which를 쓰면 된다. that → which |
정답 | ③ |
3
어법상 옳은 것은? (14. 국가직 9급) | |
① | While worked at a hospital, she saw her first air show. |
② | However weary you may be, you must do the project. |
③ | One of the exciting games I saw were the World Cup final in 2010. |
④ | It was the main entrance for that she was looking. |
정답 & 해설
해석 | |
① | 병원에서 일하면서 그녀는 그녀의 첫 번째 에어쇼를 보았다. |
② | 아무리 피곤할 지라도, 당신은 그 프로젝트를 수행해야 한다. |
③ | 내가 본 흥미 진진한 게임 중 하나는 2010년 월드컵 결승전이었다. |
④ | 그것은 그녀가 찾고 있던 정문이었다. |
해설 | |
① | [접속사 + 동사ed]가 문법적으로 맞는지는 [주절의 주어 + be동사]를 둘 사이에 넣고 의미를 확인한다. [While (she was) worked at a hospital]에서 그녀와 일은 능동관계이어야 의미가 맞다. worked → working |
② | 부사인 how(ever)는 수식하는 형용사나 부사와 나란히 둔다. 이 영문에서 However는 형용사인 weary(지친, 실증이난)와 나란히 있으므로 올바르다. |
③ | I saw 앞은 관계대명사 which가 생략됐다. 주어가 단수인 One이므로 단수동사 was가 와야 한다. were → was |
④ | 관계대명사 that 앞에는 전치사를 둘 수 없다. 대신에 that절 끝에는 전치사를 둘 수 있다. 따라서 that 앞의 for는 잘못이다. for that she was looking → that she was looking for |
정답 | ② |
4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은 것은? (18. 법원직 9급) | |||
Most of the time journalism cannot possibly offer anything but a fleeting record of events ①compiling in great haste. Many news stories are, at bottom, hypotheses about what happened. Science, of course, works by hypotheses, discarding them when errors are discovered, and it does so, on the whole, without blame, even when a mistake costs lives. The press, ②that lays no claim to scientific accuracy, is not easily forgiven its errors. Admittedly, the press often rushes into print with insufficient information, responding to an occasionally mindless hunger for news. A utopian society might demand that the press ③print nothing until it had reached absolute certainty. But such a society, while waiting for some ultimate version of events, would be so rife with rumor, alarm, and lies ④which the errors of our journalism would by comparison seem models of truth. |
타임 저널리즘의 대부분은 매우 서둘러 집계된 사건의 순간적인 기록 이외에는 아마 아무것도 제공할 수 없을 것이다. 많은 뉴스 기사는, 실지로는, 일어난 일에 대한 가설들이다. 물론 과학은 가설로 작동하여, 오류들이 발견되었을 때 이들을 버리고, 그리고 실수로 목숨을 희생할 때 조차도 비난없이 전체적으로 그렇게 한다. 과학적 정확성에 대한 어떠한 주장도 하지 않는 언론은 그 오류를 쉽게 용서하지 않는다. 의심할 여지없이, 언론은 정보가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인쇄를 시작하며, 가끔 뉴스에 대한 아무런 생각이 없는 굶주림에 대해 반응한다. 유토피아 사회는 언론이 절대 확실성에 도달했을 때까지는 아무것도 인쇄하지 말것을 요구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사회는, 사건의 궁극적인 몇몇 버전을 기다리는 동안, 우리의 저널리즘의 오류가 그에 비해 진리의 모형처럼 보이는 소문과 경고 그리고 거짓말로 너무 만연할 것이다.
정답 & 해설
해설 | |
① | compile = 모으다. [명사 + 동사ing(능동)]는 둘 사이에 be동사를 넣어서 뜻을 판단한다. [a fleeting record of events (is) compiling in great haste (사건의 순간적인 기록들이 서둘러 모으고 있다)]가 된다. 사건의 기록은 모여지는 대상이지 사건의 기록이 뭔가를 서둘러 모으고 있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 compiling → compilied |
② | 관계대명사 다음은 불완전한 절이 온다. that 다음에 주어 없이 동사(lays)가 왔으므로 불완전한 절이다. 따라서 that은 관계대명사이다. 관계대명사 that 앞에는 콤마를 둘 수 없다. 선행사는 사물인 press이다. that → which |
③ | 충고 [주장/제안/명령/요구] + that S + (should) + 동사원형. demand(요구하다)는 요구동사 이므로 that절에는 [should + 동사원형]이나 [동사원형]이 온다. 이 문장에서 동사원형인 print를 쓴 것은 옳다. |
④ | 관계대명사 다음은 불완전한 절이 온다. 그런데 which 다음은 2형식으로 완전한 절이다. 따라서 which는 잘못되었다. <전치사 + which> 다음은 완전한 절이 온다. 바르게 수정하려면 in which로 하면 된다. 선행사는 rumor, alarm, and lies이다. lies는 <거짓말들>을 뜻하는 명사이다. which → in which |
정답 | ③ |
that을 쓰는 경우
특정한 선행사 가 오면 관계대명사 로 that 을 쓴다. |
all | + | that | + | |
any | ||||
much | ||||
little | ||||
everything | ||||
anything | ||||
nothing | ||||
최상급 | (S) + V ~ | |||
서수사 | 불완전한 절 | |||
the very | ||||
the only | ||||
the last | ||||
사람 and 사물 | ||||
사람 and 동물 | ||||
의문사 | ||||
선행사 | ||||
↳ 최상급, 서수, the very, the only, the last의 경우 who나 which가 쓰이기도 함. |
• | This is all that I have. |
이것은 내가 가진 돈 전부이다. |
기출 2회
12. 경찰직 1차
07. 국가직 9급
1
다음 밑줄 친 곳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07. 국가직 9급) | |
All is a continuous supply of food and water. | |
① | what is needed |
② | which is needed |
③ | the things needed |
④ | that is needed |
정답 & 해설
해석 | 필요로 하는 모든 것은 식량과 물의 지속적인 공급이다. |
해설 | |
① | what은 자체가 선행사를 포함하므로 선행사가 있으면 들어갈 수 없다. All이 선행사이므로 what절은 불가하다. |
② | 선행사가 all일 때 관계대명사는 that을 쓴다. 따라서 which is needed는 불가하다. |
③ | the things needed가 빈 곳에 들어가면 복수주어(All the things ↖ needed)가 되어 복수동사(are)가 와야 한다. |
④ | 선행사가 all일 때 관계대명사는 that을 쓴다. 따라서 that is needed는 적합하다. |
정답 | ④ |
what
• | what 앞 에는 선행사 와 콤마 가 올 수 없다 . |
• | what 다음 은 불완전한 절 이 온다. |
• | what 절은 명사절 이다. |
X | + | what | + | (S) + V + (O) + (C) |
선행사 | 불완전한 절 |
• | what we/ you/ they call | 이른바 |
• | what is called | 이른바 |
• | what is more | 더욱이 |
• | what is worse | 설상가상 |
↳ 이 어구들은 삽입절로 쓰이는 부사절이다. |
• | This is the pen what he advertise. (X) |
이것은 그가 광고하는 펜이다. | |
what → which ※ the pen (선행사) | |
• | The car is old, and what is more, it is rare. |
그 차는 오래됐고 더욱이 희귀하다. |
기출 14회
20. 지방직 9급
20. 지방직 7급
19. 지방직 7급
19. 국회직 8급
19. 소방직 공채
18. 법원직 9급
18. 지방직 9급
18. 지방직 7급
17. 지방직 9급
17. 경찰직 1차
17. 경찰직 여경
16. 서울시 7급
13. 국가직 7급
11. 국회직 9급
1
우리말을 영어로 옮긴 것 중 가장 어색한 것은? (10. 기상직 7급) | |||||
① | 나는 그들이 내게 한 짓을 기억하고 싶지 않다. | ||||
I don’t want to remember that they did to me. | |||||
② | 그는 오후 두 시까지 집에 있을 것이다. | ||||
He will be staying home until 2:00 in the afternoon. | |||||
③ | 그는 자기 이름조차 쓰지 못한다. | ||||
He cannot so much as write his own name. | |||||
④ | 그 소녀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항상 웃었다. | ||||
The girl always smiled even in difficult situations. |
정답 & 해설
해설 | that 다음에 did의 목적어가 없으므로 that은 목적격 관계대명사이다. 그런데 that 앞에 선행사가 없다. 선행사가 없을 때는 자체가 선행사인 what을 써야 한다. that → what |
정답 | ① |
2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11. 지방직 9급) | |||
Yesterday at the swimming pool everything seemed ①to go wrong. Soon after I arrived, I sat on my sunglasses and broke them. But my worst moment came when I decided to climb up to the high diving tower to see ②how the view was like. ③Once I was up there, I realized that my friends were looking at me because they thought I was going to dive. I decided I was too afraid to dive from that height. So I climbed down the ladder, feeling very ④embarrassed. |
정답 & 해설
해석 | 어제 수영장에서 모든 것이 잘못되는 것 같았다. 내가 도착한 후 곧, 나는 나의 선글라스 위에 앉아서 그것을 부셨다. 그러나 나의 최악의 순간은 전망이 어떤지 보기 위해 높은 다이빙대로 올라가기로 결심했을 때 왔다. 내가 그곳에 올라가자 마자, 나는 나의 친구들이 나를 보고 있음을 깨달았다. 왜냐하면 그들은 내가 다이빙할 것으로 생각했기 때문이다. 나는 너무 두려워서 그 높이에서 다이빙할 수 없음을 결심했다. 그래서 나는 사다리 아래로 내려왔고, 매우 난처함을 느꼈다. |
해설 | |
① | It seems that절 = S + seems to do (~인 것 같다). 이 영문에서 seemed to go는 올바르다. |
② | be like에서 like는 전치사이므로 목적어가 필요하다. how는 의문부사라서 목적어가 될 수 없다. 목적어가 될 수 있는 것은 명사 종류이다. 의문부사인 how 대신에 의문대명사인 what을 쓰면 된다. how → what |
③ | once는 [((조건)) 일단 ~하면 ((시간)) ~하자마자]의 뜻을 지닌 접속사이며 여기서는 once가 [~하자 마자]의 뜻으로 쓰였다. |
④ | embarrass = 당황스럽게 하다. feeling은 현재분사이며 의미상 주어는 주절의 주어인 I이다. [동사 + 동사ed] 형태에서 동사ed는 수동 의미이다. embarrassed가 문법적으로 맞는지를 재구성해 보면 [I felt embarrassed (나는 당황됨을 느꼈다.)]가 된다. 이것은 의미가 맞다. |
정답 | ② |
3
다음 문장을 영어로 가장 적절하게 옮긴 것은? (11. 지방직 7급) | |||
1815년에 보수적인 정치인들이 무엇을 희망했던지 간에 사회적으로 불안한 시대가 막 시작되었다. | |||
① | In spite of that conservative statesmen had hoped in 1815, the era of social unrest just began. | ||
② | Regardless of which conservative statesmen hoped in 1815, the era of social unrest just began. | ||
③ | Whatever conservative statesmen hoped in 1815, the era of social unrest had just begun. | ||
④ | No matter which conservative statesmen had hoped in 1815, the era of social unrest had just begun. |
정답 & 해설
해석 | 어제 수영장에서 모든 것이 잘못되는 것 같았다. 내가 도착한 후 곧, 나는 나의 선글라스 위에 앉아서 그것을 부셨다. 그러나 나의 최악의 순간은 전망이 어떤지 보기 위해 높은 다이빙대로 올라가기로 결심했을 때 왔다. 내가 그곳에 올라가자 마자, 나는 나의 친구들이 나를 보고 있음을 깨달았다. 왜냐하면 그들은 내가 다이빙할 것으로 생각했기 때문이다. 나는 너무 두려워서 그 높이에서 다이빙할 수 없음을 결심했다. 그래서 나는 사다리 아래로 내려왔고, 매우 난처함을 느꼈다. |
해설 | |
① | 하나의 절에는 하나의 시간만 존재한다(=1절 1시). in 1815은 과거시간이므로 동사는 과거동사만 올 수 있다. 그런데 had hoped는 과거완료이므로 잘못이다. in spite of(~임에도 불구하고)도 문맥상 의미가 맞지 않다. had hoped → hoped. |
② | regardless of = 〜에 관계 없이. which(어느 것) → what(무엇) |
④ | in 1815은 과거시간이므로 동사는 과거동사만 올 수 있다. 따라서 had hoped는 잘 못이다. had hoped → hoped, which(어느 것) → what(무엇) |
정답 | ③ |
4
어법상 옳은 것은? (13. 국가직 7급) | |
① | The elite campus-based programs which he will be taking it next semester are scheduled to be extremely difficult. |
② | That happens in a particular period does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s on the long-term investors in the stock market. |
③ | The newly built conference room, though equipped with more advanced facilities, accommodates fewer people than the old one. |
④ | With such a diverse variety of economical appliances to choose from, it’s important to decide what it is best. |
정답 & 해설
해석 | |
① | 다음 학기에 그가 수강할 엘리트 캠퍼스 기반의 프로그램은 매우 어려울 예정이다. |
② | 특정 기간에 발생하는 것은 주식 시장의 장기 투자자에게는 중대한 영향이 없다. |
③ | 신축된 회의실은, 비록 첨단 시설을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회의실보다 적은 수의 사람들을 수용한다. |
④ |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경제적인 가전 제품과 더불어, 무엇이 최선인지를 결정하는 것은 중요하다. |
해설 | |
① | 관계대명사 다음은 불완전한 절이 온다. 그런데 which he will be taking it next semester에서 which 다음은 완전한 절이므로 잘못된 문장이다. which he will be taking it → which he will be taking |
② | That happens in a particular period는 관계대명사 절이다. that 앞은 선행사가 있어야 하는데 없다. 선행사가 없을 때 관계대명사는 what을 쓴다. that → what |
④ | 관계대명사 다음은 불완전한 절이 온다. 그런데 what it is best에서 what 다음은 완전한 절이므로 잘못이다. what it is best → what is best |
정답 | ③ |
5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16. 지방직 7급) | |||
Jazz originated from styles of popular music that ①were blended to satisfy social dancers. It began developing during the 1890s in New Orleans, and it was fully formed by the early 1920s when it was recorded in New York, Los Angeles, and Chicago. Several different trends led to the birth of jazz. ②One was the practice of taking liberties with the melodies and accompaniments of tunes. This led to ③that we today call improvisation. Another was black Americans ④creating new kinds of music such as ragtime and blues. |
정답 & 해설
해석 | 재즈는 사교계의 댄서들을 만족시키기 위해 혼합된 대중음악 스타일들에서 기원했다. 그것은 New Orleans에서 1890년대에 발전하기 시작하였고, 또 그것은 New York, Los Angeles 그리고 Chicago에서 녹음이 되었던 1920년대 초까지 완전히 형성되었다. 몇가지 다른 경향들이 재즈의 탄생을 낳았다. 하나는 멜로디들과 곡의 반주들을 마음대로 바꾸는 관행이었다. 이것은 오늘날 우리가 즉흥연주라고 부르는 것을 낳았다. 또 하나의 것은 래그타임과 블루스와 같은 새로운 유형의 음악을 만들었던 흑인 미국인들이었다. |
social [sóuʃəl] [형] 사회의, 사회적인, 사교적인, 사교계이 | |
accompaniment [əkΛmpənimənt] [명] 반주, (~에) 딸린 것, 수 | |
tune [tjuːn] [명] 곡조, 곡(= melody), 악곡, 올바른 가락, 가락, 화합, 조화 [동] (악기를) 조율하다, ~에[을] 조화시키다, ~에 맞추다, 동조시키다, (악기를) 연주하다, ~을 음악으로 표현하다 | |
improvisation [imprὰvəzéiʃən] [형] 즉석에서 하기, 즉흥 연주, 즉흥곡, 즉흥적으로 만든 것 | |
해설 | that we today call improvisation(오늘날 우리가 즉흥 연주라고 부르는 것).이 때 that은 call의 목적어이므로 관계대명사이다. 그런데 that 앞에 선행사가 없다. 따라서 선행사이면서 관계대명사인 what으로 바꿔야 한다. that → what |
정답 | ③ |
6
어법상 빈칸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면? (16. 서울시 7급) | |||
The population of Easter Island is now around 5,000, nearly double it was twenty years ago. | |||
① | as | ② | what |
③ | than | ④ | that |
정답 & 해설
해석 | Easter Island(이스터 섬)의 인구는 20년 전의 인구보다 거의 두 배인 지금은 대략 5,000명이다. |
해설 | |
① | as는 원급에 쓰이는 접속사로서 as ~ as 형식이어야 한다. 빈 곳 앞에 as가 없으므로 빈 곳에 as는 불가하다. |
② | 관계대명사 what은 자체가 선행사이므로 what 앞에는 선행사가 없다. 빈 곳 앞에 선행사가 없으므로 적합하다. |
③ | than은 비교급 다음에 쓰이는 접속사이다. 빈 곳 앞에 비교급이 없으므로 부적합하다. |
④ | that은 관계대명사로 선행사가 있어야 들어갈 수 있다. 그런데 빈 곳 앞에 선행사가 없어 불가하다. |
정답 | ② |
7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18. 지방직 9급) | |||
I am writing in response to your request for a reference for Mrs. Ferrer. She has worked as my secretary ①for the last three years and has been an excellent employee. I believe that she meets all the requirements ②mentioned in your job description and indeed exceeds them in many ways. I have never had reason ③to doubt her complete integrity. I would, therefore, recommend Mrs. Ferrer for the post ④what you advertise. |
정답 & 해설
해석 | Ferrer 부인에 관한 당신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글을 쓰고 있습니다. 그녀는 지난 3 년 동안 저의 비서직으로 일을해 왔으며 우수한 직원이었습니다. 나는 그녀가 당신의 업무 설명서에 언급된 모든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고 여러면에서 그것들을 초과한다고 생각합니다. 나는 그녀의 완전성을 의심할 이유가 결코 없다. 따라서 당신이 광고하는 그 직책에 페레르 부인을 추천할 것이다. |
해설 | |
① | for the last[the past] + 수사 (지난 ~동안). for the last three years (지난 3동안)은 올바르다. |
② | mention = [타] ~에 대하여 언급하다. [명사 + 동사ed(수동)]가 맞는지는 둘 사이에 be동사를 넣어서 의미가 맞는지 확인해 보면 된다. [all the requirements (are) mentioned in your job description (모든 요구 조건들이 당신의 업무 설명서에 언급되어 있다)]는 의미가 맞다. 따라서 mentioned는 올바르다. |
③ | to doubt(의심하다)은 reason을 수식하는 부정사의 형용사 용법이다. |
④ | 관계대명사 다음은 불완전한 절이 온다. what 다음은 advertise의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이므로 what은 관계대명사이다. what은 자신이 선행사이므로 what 앞에 선행사가 올 수 없는데 the post가 선행사이다. 선행사가 사물이면 which로 바꿔야 한다. what → which |
정답 | ④ |
8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18. 지방직 9급) | |||
I am writing in response to your request for a reference for Mrs. Ferrer. She has worked as my secretary ①for the last three years and has been an excellent employee. I believe that she meets all the requirements ②mentioned in your job description and indeed exceeds them in many ways. I have never had reason ③to doubt her complete integrity. I would, therefore, recommend Mrs. Ferrer for the post ④what you advertise. |
정답 & 해설
해석 | Ferrer 부인에 관한 당신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글을 쓰고 있습니다. 그녀는 지난 3 년 동안 저의 비서직으로 일을해 왔으며 우수한 직원이었습니다. 나는 그녀가 당신의 업무 설명서에 언급된 모든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고 여러면에서 그것들을 초과한다고 생각합니다. 나는 그녀의 완전성을 의심할 이유가 결코 없다. 따라서 당신이 광고하는 그 직책에 페레르 부인을 추천할 것이다. |
해설 | |
① | for the last [the past] + 수사 (지난 ~동안). for the last three years (지난 3동안)은 올바르다. |
② | mention = [타] ~에 대하여 언급하다. [명사 + 동사ed(수동)]가 맞는지는 둘 사이에 be동사를 넣어서 의미가 맞는지 확인해 보면 된다. [all the requirements (are) mentioned in your job description (모든 요구 조건들이 당신의 업무 설명서에 언급되어 있다)]는 의미가 맞다. 따라서 mentioned는 올바르다. |
③ | to doubt(의심하다)은 reason을 수식하는 부정사의 형용사 용법이다. |
④ | 관계대명사 다음은 불완전한 절이 온다. what 다음은 advertise의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이므로 what은 관계대명사이다. what은 자신이 선행사이므로 what 앞에 선행사가 올 수 없는데 the post가 선행사이다. 선행사가 사물이면 which로 바꿔야 한다. what → which |
정답 | ④ |
9
다음 중 어법에 맞는 표현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7. 경찰직 1차) | |||
㉠Most readers of novels intuitively feel that their favorite authors have ㉡distinctive styles‚ and some sensitive readers can even attribute passages ㉢what they have not read previously ㉣to one or another of these authors. | |||
① | ㉠ | ② | ㉡ |
③ | ㉢ | ④ | ㉣ |
정답 & 해설
해석 | 소설의 대부분의 독자들은 그들이 좋아하는 작가가 독창적인 스타일을 가지고 있다고 직관적으로 느끼고, 그리고 일부 민감한 독자들은 이전에 읽은 적이 없는 구절을 이 저자들 중 한 사람 또는 다른 사람의 덕으로 생각한다. |
해설 | |
① | most는 형용사로서 [대다수의]뜻으로 명사(readers)를 수식한다. 따라서 Most readers는 옳다. |
② | distinctive(독특한)는 형용사로서 명사를 수식한다. styles는 명사이다. 따라서 distinctive styles는 올바르다. |
③ | 관계대명사 what 앞에는 선행사가 오지 않는다. 그런데 what 앞의 passages가 선행사이다. 따라서 what은 잘못이다. 선행사가 사물(passages)이면 관계대명사는 which를 쓴다. what → which |
④ | attribute A to B = A를 B의 탓[덕분]으로 돌리다. attribute passages which they have not read previously to one or another of these authors는 올바르게 쓰였다. |
정답 | ③ |
10
다음 중 어법에 맞는 표현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7. 경찰직 여경 : 경기북부) | |||
If technology produced automobiles ㉠that pollute the air, it is because pollution was not ㉡recognized as a problem ㉢what engineers had to consider ㉣in their designs. | |||
① | ㉠ | ② | ㉡ |
③ | ㉢ | ④ | ㉣ |
정답 & 해설
해석 | 기술로 인해 공기를 오염시키는 자동차를 생산했다면, 오염은 엔지니어들이 설계에서 고려해야 하는 문제로 인식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
해설 | |
① | 관계대명사 다음은 불완전한 절이 온다. 이 문장에서 that 다음은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이므로 that은 관계대명사이며 automobiles는 선행사이다. |
② | recognize A as B의 수동태는 be recognized as (~로 인식되어지다)이다. |
③ | 관계대명사 what 앞에는 선행사가 오지 않는다. 그런데 what 앞에 선행사인 problem이 있다. 선행사(problem)가 사물이면 which를 쓴다. what → which |
④ | in = ~의 안에. in their designs(그들의 디자인 내에서)는 바른 표현이다. |
정답 | ③ |
11
(A), (B), (C)의 각 밑줄에서 어법에 맞는 표현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8. 법원직 9급) | |||
Once we emerge from childhood, eye contact actually becomes a very unreliable clue to deception. Why? The answer is that eye contact is very easy to control. Much of what happens to us when we feel nervous, such as getting sweaty hands or feeling dry in the mouth, (A) is / being uncontrollable. Most of us, however, have a great deal of control over (B) which / what we’re looking at. Thus, many adults have little problem looking others in the eye while lying to them. Moreover, because skilled communicators know that people (C) equate / equating the lack of eye contact with deception, they deliberately maintain normal eye contact when they lie so the other person won’t get suspicious. The eyes may be the windows to the soul, as the saying goes, but eye contact is no window to honesty! | |||
(A) | (B) | (C) | |
① | is | which | equate |
② | being | which | equating |
③ | is | what | equate |
④ | being | what | equating |
정답 & 해설
해석 | 우리가 어린 시절에서 벗어나면, 실제로 눈을 마주치는 것은 속임수에 대한 믿을 수 없는 단서가 된다. 왜? 대답은 시선을 마주치는 것이 제어하기 매우 쉽다는 것이다. 땀 투성이의 손이나 입안에 건조한 느낌과 같은 긴장을 느낄 때 우리에게 일어나는 일의 대부분은 통제할 수 없다. 그러나 우리들 중 대부분은 우리가 보고 있는 것에 대해 많은 통제권을 가진다. 따라서 많은 성인들은 거짓말을 하는 동안 다른 사람들을 보는 일이 것의 없다. 게다가 숙련된 의사 전달자들은 사람들이 눈 접촉의 부족을 기만과 동일시한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그들은 거짓을 말할 때 의도적으로 정상적인 시선을 유지할 가능성이 있으며, 그래서 다른 사람이 의심을 갖지 않을 것이다. 속담이 전하는 바 처럼 눈은 영혼의 창문이 될 수 있지만, 눈을 마주 치는 것은 정직의 창이 되지는 않는다! |
해설 | |
(A) | 주어인 Much 다음에 술어동사가 없으므로 is가 옳다. |
(B) | 이 문장에서 관계대명사 앞에 선행사가 없다. 선행사가 없으면 관계대명사는 what을 쓴다. 따라서 what이 옳다. |
(C) | that이 접속사이므로 밑줄은 술어동사의 위치이다. 따라서 equate가 옳다. |
정답 | ③ |
12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11. 국회직 9급) | |||||||
Communication is ①very often a way to exchange information or ②share thoughts and feelings ③what bring you closer to others. In addition, one of the most basic reasons ④for communicating is ⑤to get things that you need. |
정답 & 해설
해석 | 의사 소통은 매우 자주 여러분을 다른 사람들에게 더 가까이 다가가게 하는 생각과 감정을 공유하거나 정보를 교환하는 방식이다. 더욱이, 커뮤니케이션의 가장 기본적인 이유들 중 하나는 당신이 필요한 것을 얻는 것이다. |
해설 | |
① | very(매우)는 정도부사로서 같은 부사인 often(종종)을 수식하며, often은 빈도부사로서 be 다음에 위치한다. |
② | or 다음에서 시작되는 품사는 or 앞에도 있어야 하는 병치[병렬]구조를 취한다. 이 영문에서 or 다음의 동사원형인 share는 동사원형인 exchange와 병치이다. |
③ | what은 자신이 선행사이므로 앞에 선행사가 올 수 없다. 그런데 thoughts and feelings가 선행사이므로 what은 쓸 수 없다. 선행사가 있고 관계대명사가 필요할 때는 which나 that을 쓴다. what → which |
④ | reasons는 이유를 나타내며 뒤에 전치사가 온다면 이유 전치사 for가 온다. communicating은 [자동사 + ing]로서 for의 목적어로 쓰인 동명사이다. |
⑤ | 부정사와 동명사의 차이는 [to + 동사원형]은 [앞으로 어떤 행동을 취하거나, 어떤 상태로 되어야겠다는 의지나 감정을 나타내는 것]과 관련이 있고, 동명사인 [동사 + ing]는 [현재 또는 지금까지의 기성 사실을 논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이 영문에서는 [의사 소통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이유들 중 하나는 앞으로 당신이 필요로 하는 여러가지 것들을 얻는 것]이라고 되어 있다. 따라서 문맥상 [to get]은 앞으로의 일을 뜻하므로 올바르다. |
정답 | ③ |
13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18. 지방직 7급) | |||||||
Officials in the UAE, responding to an incident ①which an Emirati tourist was arrested in Ohio, cautioned Sunday that travelers from the Arab country should “refrain from ②wearing the national dress” in public places ③while visiting the West “to ensure their safety” and said that women should abide by bans ④on face veils in European countries, according to news reports from Dubai. |
정답 & 해설
해석 | 아랍 에미리트 관리자들은 Emirati 관광객이 오하이오 주에서 체포된 사건에 대응해, 아랍 국가 출신의 여행자들이 서쪽을 방문하는 동안 공공 장소에서 “그들의 안전을 위해” 전통 의상을 삼가할 것을 경고했다. 두바이의 뉴스 보도에 따르면 여성들은 유럽 국가에서 얼굴 베일의 금지를 준수해야 한다고 말했다. |
해설 | |
① | 관계대명사 다음은 불완전한 절이 온다. 그런데 which 다음의 S(an Emirati tourist) + V(was arrested) + 전치사구(in Ohio)는 완전한 절이다. which절의 내용은 incident와 동격이므로 which는 접속사 that으로 수정되어야 한다. which → that |
② | wearing에서 wear은 the national dress를 목적어로 하면서 from의 목적어이다. |
③ | while 다음은 S(travelers) + be를 생략할 수 있다. |
정답 | ① |
that의 구분
• | 접속사 that : | 선행사 가 없고 that 다음 은 완전한 절 이 온다. |
• | 관계대명사 that : | 선행사 가 있고 that 다음 은 불완전한 절 이 온다. |
• | The point is that you are responsible. |
요점은 당신이 책임이 있다는 것이다. | |
that 다음은 2형식의 완전한 절이므로 that은 접속사이다. | |
• | This is the village that I was born in. |
이것이 내가 태어난 마을이다. | |
that 다음은 in의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이므로 that은 관계대명사이다. |
기출 4회
17. 경찰직 2차
15. 서울시 7급
14. 기상직 9급
09. 국회직 8급
1
다음 중 문법상 바른 것을 고르시오. (14. 기상직 9급) | |
① | Whatever he leaves the house, he always takes an umbrella. |
② | Many people have the belief which the economy will get better. |
③ | Despite he was sleepy, he kept watching TV. |
④ | Mrs. Johns made the room cleaned by her daughter. |
정답 & 해설
해석 | |
① | 그는 집을 떠날때마다, 그는 언제나 우산을 가져 간다. |
② | 많은 사람들은 경제가 나아질 것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있다. |
③ | 그는 졸림에도 불구하고, 그는 계속 TV를 보았다. |
④ | 존스 부인은 그녀의 딸에 의해 그 방이 청소되어지게 시켰다. |
해설 | |
① | Whatever는 복합관계대명사이며 다음은 불완전한 절이 온다. 그런데 Whatever 다음의 절은 3형식의 완전한 절이다. 완전한 절에는 관계부사가 온다. 문맥상 의미를 고려하면 복합관계부사인 whenever(~할 때마다)가 와야 한다. Whatever → Whenever |
② | which는 관계대명사이므로 다음은 불완전한 절이 와야 한다. 그런데 S(the economy) + V(will get) + C(better)는 2형식의 완전한 절이 왔다. 완전한 절 앞에는 관계부사나 접속사를 쓴다. 접속사를 쓸지 관계부사를 쓸지는 문장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 지금은 the belief를 추가적으로 설명해 주는 동격절이 필요하다. 동격접속사로는 that을 쓰면 된다. which → that |
③ | Despite(~에도 불구하고)는 양보 전치사이므로 절이 올 수 없다. 절에는 양보 접속사가 온다. Despite → Though |
④ | [명사 + 동사ed(수동)]가 맞는지는 둘 사이에 be동사를 넣어서 의미가 맞는지 확인해 보면 된다. the room (is) cleaned (방이 청소되어지다)가 된다. 이것은 문맥상 의미가 맞다. 따라서 cleaned는 올바르다. |
정답 | ④ |
2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15. 서울시 7급) | |||
There are people who ①through no fault of their own are deprived ②of some of the fundamental rights ③that all human beings are supposed to have ④them. |
정답 & 해설
해석 | 스스로의 잘못이 없어도 모든 인간이 가져야하는 기본적인 권리의 일부를 박탈당하는 사람들이 있다. |
해설 | |
① | through no fault of their own은 전치사구이다. |
② | deprive ~ of (~에게서 ~을 빼앗다) = be deprived of (빼앗기다) |
③ | 문맥상 that절은 some of the fundamental rights를 수식하는 형용사절이어야 한다. that절이 형용사절로 쓰이는 경우는 관계대명사절일 때이다. 따라서 that은 관계대명사이다. |
④ | that은 관계대명사이므로 that 다음은 불완전한 절이 와야 하는데 완전한 절이 왔다. 따라서 them을 삭제해서 불완전한 절이 되게 해야 한다. |
정답 | ④ |
3
다음 ㉠, ㉡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17. 경찰직 2차) | |
• | ( ㉠ ) the adult smoking rate is gradually dropping is not good news for big tobacco companies. |
성인 흡연율이 점차 떨어지는 것은 대형 담배 회사들에게 좋은 소식이 아니다. | |
• | She requested that he ( ㉡ ) longer for dinner. |
그녀는 그가 저녁 식사를 위해 좀 더 머물 것을 요청했다. | |
① | ㉠ That ㉡ stay |
② | ㉠ What ㉡ stay |
③ | ㉠ That ㉡ stayed |
④ | ㉠ What ㉡ stayed |
정답 & 해설
해설 | |
㉠ | 빈 곳 다음은 완전한 절이다. 완전한 절 앞에 오는 것은 <관계부사>나 <접속사>이다. that은 <접속사>와 <관계대명사>로 쓰이고 what은 <관계대명사>이다. 따라서 빈 곳은 that이 접속사로 들어간다. |
㉡ | [충고/주장/제안/명령/요구] + that S + (should) + 동사원형]. request(요구하다) + that절의 동사는 [should + 동사원형]이나 [동사원형]으로 시작한다. 선택지에 should는 없으므로 빈 곳은 동사원형인 stay가 옳다. |
정답 | ① |
4
다음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16. 교행직 9급) | |||
The navigational compass was one of ①the most important inventions in history. It sparked an enormous age of exploration ②which in turn brought great wealth to Europe. This wealth is ③that fueled later events such as the Enlightenment and the Industrial Revolution. It has been continually simplifying the lives of people around the globe ④since its introduction to the world. |
정답 & 해설
해석 | 항법 나침반은 역사상 가장 중요한 발명품 중 하나였다. 그것은 탐험의 거대한 시대를 촉발시켰고 이것은 차례로 유럽에 큰 부를 가져왔다. 이 부는 계몽주의와 산업 혁명과 같은 후기 사건을 촉발하는 것이었다. 그것은 세계에 소개된 이후로 전 세계 사람들의 삶을 지속적으로 단순화해 오고있다. |
해설 | |
① | the most에서 most는 [가장, 제일]라는 뜻의 부사로서 형용사인 important를 수식한다. |
② | 관계대명사 다음은 불완전한 절이 온다. which 다음은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이므로 which는 관계대명사이며 선행사는 an enormous age of exploration이다. |
③ | that 다음은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이다. 불완전한 절이 오면 that은 관계대명사이다. 그런데 that 앞에 선행사가 없다. 따라서 잘못이다. 선행사가 앞에 없을 때는 관계대명사 what을 써야 한다. that → what |
④ | [have p.p. ~ since S + 과거동사 [since + 목적어, since]. 이 영문에서는 since 다음에 목적어(its introduction)가 왔고 주절에는 has been이 있으므로 올바르다. |
정답 | ③ |
5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12. 국가직 7급) | |||
When the Dalai Lama fled across ①the Himalayas into exile in the face of ②advancing Chinese troops, ③little did the youthful spiritual leader know ④what he might never see his Tibetan homeland again. |
정답 & 해설
해석 | 달라이 라마(Dalai Lama)가 진군해 오는 중국 군대에 직면해서 히말라야 산맥을 횡단하면서 망명길에 올랐을 때, 그 젊은 정신적인 지도자는 고국인 티베트를 다시는 보지 못할지도 모른다는 것을 전혀 알지 못했다. |
해설 | |
① | 특하게 정해진 명사에는 정관사 the를 붙인다. 희말라야 산맥은 정해진 대상이므로 the Himalayas는 옳다. |
② | advancing은 [전진하는] 뜻의 형용사이다. |
③ | Little은 부정부사이다. 부정부사 다음은 도치된다. 따라서 little did는 올바르다. |
④ | 관계대명사 다음은 불완전한 절이 온다. 그런데 what 다음은 완전한 절이 왔다. 완전한 절에는 접속사 that을 써야 한다. 주어(he) + 동사(might never see) + 목적어(his Tibetan homeland). what → that |
정답 | ④ |
but
• | 선행사 가 부정의미 이면 관계대명사 로 that, but 을 쓴다. |
• | 의문사 가 있는 의문문이면 관계대명사 로 that, but 을 쓴다. |
• | but 은 that ~ not 의 뜻이므로 but 다음에 not 이 올 수 없다 . |
부정어 | + | but | + | (S) + V + (O) + (C) |
선행사 | 관계대명사 | 불완전한 절 |
• | There is nobody but has not his faults. (X) |
결점이 없는 사람은 없다. has not → has |
기출 2회
12. 경찰직 1차
10. 국가직 9급
1
다음 빈칸에 순서대로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12. 경찰직 1차) | |
• | This is the boy I believe deceived me. |
• | There is no rule has exceptions. |
• | He was the only man I knew in my neighborhood. |
① | who – but – that |
② | whom – that – whom |
③ | who – that – whom |
④ | whom – but – that |
정답 & 해설
해석 | |
• | 이것은 내가 생각하기에 나를 속인 소년이다. |
• | 예외를 갖지 않은 규칙은 없다. |
• | 그는 나의 이웃에서 내가 알고 있는 유일한 사람이다. |
해설 | |
• | I believe는 삽입절이다. 삽입절은 삭제하고 문장을 판단해야 한다. I believe가 없다면 빈 곳은 deceived의 주어 자리이므로 who가 옳다. 삽입절은 [ S + V ~ 관계대명사 S + V + V]처럼 관계대명사 다음에 동사 2개가 나란히 있으면 관계대명사 바로 다음의 S + V는 삽입절이다. |
• | 관계대명사 but은 that ~not의 뜻이다. 빈 곳에 but이 들어가면 [예외를 갖지 않는 규칙은 없다]이다. 이것은 문맥상 의미가 적합하다. 빈 곳에 that이 들어가면 [예외를 갖는 규칙은 없다]가 되어 뜻이 맞지 않다. 모든 규칙은 예외조항이 있다. |
• | the only man이 선행사이다. 선행사에 the only가 있으면 관계대명사로 that을 쓴다. |
정답 | ① |
2
우리말을 영어로 옮긴 것 중 어색한 것은? (10. 국가직 9급) | |||||
① | 나라를 사랑하지 않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 ||||
There is no man but does not love his country. | |||||
② | 적은 지식은 네가 그것이 적다는 것을 알고 있는 한 위험하지 않다. | ||||
A little learning is not dangerous so long as you know that it is little. | |||||
③ | 부모의 사랑만큼 그렇게 이타적인 사랑은 없다. | ||||
There is no love so unselfish as parental love. | |||||
④ | 우리의 인생은 짧은 것이 아니라 우리가 그렇게 만드는 것이다. | ||||
Our life is not short, but we make it so. |
정답 & 해설
해석 | but 다음은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이며 no man은 선행사이다. 불완전한 절에서 but은 관계대명사이다. 관계대명사로 쓰이는 but은 that + not을 뜻하기 때문에 but 다음에 not이 올 수 없다. but does not love → but loves |
정답 | ① |
삽입절
관계대명사 다음 에 술어동사 두 개 가 나란히 있다면 관계대명사 다음 의 주어 + 동사 는 삽입절 이다. 삽입절 은 삭제 하고 문장을 파악 하는 것이 좋다. 삽입절이 있는 문장은 최소 3개의 술어동사가 있어야 한다.
관계대명사 + 주어 + 동사 + 동사 + (O) + (C) |
삽입절 불완전한 절 |
• | He is a boy whom I suppose is wise. (X) |
그는 내 생각에 현명한 소년이다. | |
삽입절인 I suppose를 없애고 보면 is의 주어로 whom이 와서 틀렸다. | |
whom → who | |
• | He is a boy who I suppose are wise. (X) |
그는 내가 생각하기에 현명한 소년이다. | |
삽입절인 I suppose를 없애면 who(= a boy) 다음에 is가 와야 한다. | |
are → is |
기출 2회
12. 법원직 9급
11. 기상직 9급
1
다음 빈칸에 알맞은 표현을 고르시오. (11. 기상직 9급) | |||
He is one of the men who always do their best. | |||
① | is believed | ② | believes |
③ | believing | ④ | I believe |
정답 & 해설
해석 | 그는 내가 항상 최선을 한다고 내가 믿는 사람들 중의 한 사람이다. |
해설 | |
① | who 다음에 is believed를 넣으면 술어[시제]동사가 3개(is, is believed, do)가 된다. 술어동사가 3개이면 접속사가 2개이어야 한다. 그런데 접속사는 1개(who) 밖에 없다. 따라서 is believed는 들어갈 수 없다. |
② | ①번과 같은 이유로 들어갈 수 없다. |
③ | believing은 동명사나 현재분사이다. 빈 곳에는 동명사(=명사)나 현재분사(=형용사)가 들어갈 위치가 아니다. |
④ | who 다음에 <동사 + 목적어>가 있다. 따라서 빈 곳에 I believe가 들어가면 동사가 2개가 나란히 있게 된다. 두 개의 동사 사이에 있는 부사는 무시한다. 관계대명사 다음에 두 개의 술어동사가 나란히 있으면 관계대명사 다음의 <주어 + 술어동사>는 삽입절이다. 따라서 빈 곳에 삽입절이 들어가는 것이 옳다. |
정답 | ④ |
2
(A), (B), (C)의 각 괄호 속에서 어법에 맞는 표현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2. 법원직 9급) | |||
Scientists, like other people, are always pleased to have their own ideas (A)[confirm / confirmed]. So I was gratified by a report which appeared in the August 1963 issue of the Journal of the British Astronomical Association. This report was written by the famous Soviet astronomer, Dr Nikolai Kozyrev, who several years ago discovered evidence in telescopic photographs to support the belief that some of the craters on the moon are sites of presently active volcanoes. When Dr. Kozyrev first published (B)[that / what] he thought he had seen on the moon, his interpretation was doubted by many astronomers in other lands. Subsequently, however, astronomers here have seen color changes (C)[which / where] they, too, believe are signs of continuing volcanic activity on the previously supposed dead body of the moon. | |||
(A) | (B) | (C) | |
① | confirm | that | which |
② | confirmed | what | which |
③ | confirm | that | where |
④ | confirmed | what | where |
정답 & 해설
해석 | 과학자들은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항상 자신의 아이디어가 확인되어지는 것에 늘 기뻐한다. 그래서 나 역시 영국 천문학 저널 (Journal of the British Astronomical Association)의 1963년 8월호에 실린 보고서에 기뻐했다. 이 보고서는 유명한 소련의 천문학자인 Nikolai Kozyrev에 의해 작성되었으며, Nikolai Kozyrev는 몇 년 전 달의 크레이터 중 일부가 현재 활화산이 있는 장소라는 신념을 뒷받침하기 위해 망원 사진에서 증거를 발견했다. 코지레프 (Kozyrev) 박사는 처음으로 그가 달에서 보았었던 것으로 생각한 것을 출판했을 때, 그의 해석은 다른 나라의 많은 천문학자들로부터 의심을 받았다. 그러나 이후 천문학자들은 그들도 역시 이전에 추정된 달의 시체에서 화산 활동이 계속되는 징조라고 믿는 색깔의 변화를 보았다. |
해설 | |
(A) | confirm = [타동사] 입증[확증]하다. confirm은 타동사이므로 그 다음에 목적어가 없어서 부적합하다. [명사 + 동사ed(수동)]가 맞는지는 둘 사이에 be동사를 넣어서 의미를 확인해 본다. 이것을 재구성해 보면 [their own ideas (are) confirmed (그들 자신의 아이디어가 입증되었다)]가 된다. 이것은 구조와 의미가 올바르다. 따라서 confirmed가 옳다. |
(B) | 관계대명사 that 앞에는 선행사가 있어야 한다. 그런데 이 영문에는 앞에 선행사가 없다. 따라서 that은 불가하다. what은 자체가 선행사이므로 앞에 선행사가 오지 않는다. 따라서 what이 옳다. |
(C) | which / where 다음에 삽입절(they believe)이 있다. 삽입절을 삭제하고 봐야 정확한 것을 알 수 있다. they believe를 삭제하면 are이 있다. 동사의 주어는 (대)명사인데 where은 관계부사이므로 부적합하다. 따라서 which가 적합하다. |
정답 | ② |
전치사 +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가 전치사의 목적어인 경우에, 전치사 는 관계대명사 앞 이나 관계대명사절 끝 에 있다. 관계대명사 앞 에 있는 전치사 는 관계대명사절 의 마지막 에 있는 동사 , 형용사 , 분사 , 명사 뒤 에 있던 것이 앞 으로 나간 것이다. 이 전치사가 올바른지 는 관련 품사 뒤 에 두고 판단 해야 한다. |
• | This is the house in which he lives [which he lives in]. |
이것은 그가 사는 집이다. |
기출 4회
19. 국회직 9급
17. 지방직 7급
11. 기상직 9급
07. 국회직 8급
1
다음 중 문법상 어긋나는 것을 고르시오. (11. 기상직 9급) | |||||||
I felt ①the affection of the family I ②had lost in my childhood and the warmth of ③my connection to the family roots ④in which I had long searched in vain. |
정답 & 해설
해석 | 나는 어린 시절에 내가 잃어버린 가족의 애정과 내가 오랫동안 찾았었지만 허사였던 가족의 뿌리와의 연결의 따뜻함을 느꼈다. |
해설 | |
① | 명사가 수식어로 부터 수식을 받았을 때 그 대상이 정해지게 되면 정관사 the를 붙인다. of the family로 부터 수식받은 the affection은 그 가족과 관련된 애정으로 범위가 정해진 것이므로 the를 붙인 것은 옳다. |
② | lost의 목적어는 whom이며 I had lost 앞에 위치하지만 생략됐다. 과거 이전(had p.p.)에 잃어버렸던 가족의 애정을 과거(과거동사)에 느낀 것이므로 had lost는 옳다. |
③ | my connection는 전치사 of의 목적어이다. |
④ | 관계대명사 앞에 있는 전치사는 관계대명사 절의 마지막에 있는 자동사, 형용사, 분사, 명사 뒤에 있던 것이 앞으로 나간 것이다. 이 전치사가 올바른지 아닌지는 관련 품사 뒤에 두고 판단해야 한다. 이 영문에서도 which 앞의 in이 올바른지는 in을 문미에 두고 판단해야 한다. 문미에 가면 in은 search와 결합해서 searched in이 된다. [찾다]의 표현은 search in이 아니라 search for이다. 따라서 in이 아닌 for가 와야 한다. in which → for which |
정답 | ④ |
관계대명사 생략
명사 + 주어 + 동사 에서 명사와 주어 사이에는 관계대명사 가 생략 됐다. 이 때 명사 다음은 불완전한 절이 온다. |
명사 | ![]() |
주어 + 동사 + ~ |
불완전한 절 | ||
↳ | 명사와 주어 사이에 관계대명사가 생략됐으며 주어 + 동사는 앞의 명사를 수식한다. |
• | This is the woman ∧ I like her. (X) |
이분은 내가 좋아하는 여성이다. | |
I like her → I like |
기출 2회
17. 지방직 9급
14. 지방직 7급
1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은 것은? (17. 지방직 9급 2차) | |||||||
Last week I was sick with the flu. When my father ①heard me sneezing and coughing, he opened my bedroom door to ask me ②that I needed anything. I was really happy to see his kind and caring face, but there wasn’t ③anything he could do it to ④make the flu to go away. |
정답 & 해설
해석 | 지난주에 나는 독감에 걸렸습니다. 아버지께서 내가 재채기를 하고 기침하는 소리를 들으시고, 아버지는 내가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물어보기 위해 나의 침실 문을 열었다. 나는 아버지의 친절하고 보살피는 얼굴을 보게 되어 정말 기뻤다. 하지만 독감을 없애기 위해 그가 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었다. |
해설 | |
② | that절(~이라는 것)은 확정된 사실/사건을 말할 때 쓰이는 명사절이고 if [whether]절(~인지 어떤지)은 불확실한 일을 말할 때 쓰이는 의문 명사절이다. ask는 불확실한 일을 질문하는데 쓰이는 동사이다. ask를 고려하면 that절이 아닌 if [whether]절이 와야 한다. that → if or whether |
③ | [명사 + 주어 + 동사] 형식은 명사와 주어 사이에 관계대명사나 관계부사가 생략된 것이다. 이 영문에서는 anything과 he 사이에는 관계대명사나 관계부사가 생략되었다. 관계부사가 생략되려면 선행사의 뜻이 <시간, 이유, 방법>중 하나이어야 한다. 그런데 이 영문에서의 anything은 이에 해당되지 않는다. 그렇다면 관계대명사가 생략된 것이다. 관계대명사 다음은 불완전한 절이 온다. 그런데 he could do it은 3형식의 완전한 절이다. 이 절은 it을 삭제하여 불완전한 절로 만들어야 관계대명사가 들어갈 수 있다. anything he could do it → anything he could do |
④ | make는 5형식 사역동사이다. 사역동사 + 목적어 다음에는 목적격보어로 원형부정사를 쓰며 to부정사를 쓰지 못한다. make the flu to go away → make the flu go away |
정답 | ① |
수량 + of + 관계대명사
수량 + of + 관계대명사 다음은 불완전한 절 이 온다. 수량 은 of 관계대명사 다음 에 올 수 있다. |
수량 + of 관계대명사 | + | (S) + V ~ | |
of 관계대명사 + 수량 | |||
불완전한 절 |
• | I have two caps both of which are good . |
나는 좋은 모자 두 개 있다. | |
• | I sent invitations to 5 men, of which only 2 replied . (X) |
나는 5명에게 초대장을 보냈는데 그들 중 2명만 응답했다. | |
선행사가 사람(5 men)이므로 관계대명사는 who 종류가 온다. of 다음은 목적격이 오므로 whom이 오면 된다. | |
of which only 2 → of whom only 2 |
기출 2회
09. 국회직 8급
08. 지방직 9급
1
다음 우리말 문장과 같은 뜻을 지닌 영어 문장이 되도록 빈칸을 채우시오. (08. 지방직 7급) | |||
요전 날 밤 오케스트라는 네 개의 교향곡을 연주했는데, 그 중 하나가 모차르트의 작품이었다. The other night the orchestra played four symphonies , was Mozart’s. | |||
① | one of them | ② | one which |
③ | which one | ④ | one of which |
정답 & 해설
해설 | |
① | 동사가 2개(played, was)이면 접속사가 1개 있어야 한다. one of them은 접속사가 아니므로 쓸 수 없다. |
② | one which에서 one은 선행사이다. 빈 곳 앞의 four symphonies도 선행사이므로 one which가 들어가면 선행사가 2 개가 되어서 맞지 않다. |
③ | 관계대명사 다음은 불완전한 절이 온다. 빈 곳에 which one이 들어가면 완전한 절이 되어서 부적합하다. |
④ | one of which는 [수량 + of + 관계대명사]이다. 관계대명사는 of의 목적어이면서 접속사 역할을 하므로 빈 곳에 적합하다. |
정답 | ④ |
관계부사
• | 관계부사 는 접속사 + 부사 역할을 한다. |
• | 관계부사 다음은 완전한 절 (주어나 목적어, 보어의 생략이 없는 절) 이 온다. |
• | 관계부사절 은 선행사를 수식하는 형용사절 이다. |
• | how 는 선행사로 the way 와 함께 쓰이지 않는다 . |
장소 | + | where | + | S + V ~ | ||
시간 | when | |||||
이유 | why | |||||
방법 | how | |||||
선행사 | 관계부사 | 완전한 절 |
• | This is the place ![]() |
이것은 그가 사는 집이다. |
기출 7회
19. 법원직 9급
18. 경찰직 1차
17. 경찰직 2차
16. 경찰직 1차
14. 지방직 7급
12. 지방직 9급
12. 법원직 9급
1
다음 문장에서 빈칸에 들어갈 단어로 가장 적절한 것은? (16. 경찰직 1차) | |||
• | People called the office “the people’s drawing room” ( ㉠ ) they could get help. | ||
• | It comes from the sea, ( ㉡ ) all the waters come. | ||
• | It tells a lot about ( ㉢ ) we think. | ||
㉠ | ㉡ | ㉢ | |
① | where | where | what |
② | where | when | which |
③ | when | when | what |
④ | when | where | which |
정답 & 해설
해석 | |
• | 사람들은 그들이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무실을 “사람들의 거실”이라고 불렀다. |
• | 그것은 바다에서 옵니다, 그리고 모든 물이 그곳에서 온다. |
• | 그것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에 대해 많이 알려준다. |
해설 | |
㉠ | where의 선행사는 <장소>이고 when의 선행사는 <시간>이다. 빈 곳 앞에 drawing room(거실)은 장소이므로 where이 옳다. |
㉡ | where의 선행사는 <장소>이다. 빈 곳 앞의 선행사인 the sea는 장소이므로 where이 옳다. |
㉢ | which의 선행사는 <사물, 동물>이고 what은 자체가 선행사이기 때문에 what 앞에는 선행사가 오지 않는다. 이 영문의 빈 곳 앞에 선행사가 없다. 따라서 what을 써야 한다. what절은 명사절이다. |
정답 | ① |
관계대명사와 관계부사 구별
• | 관계대명사 다음 은 불완전한 절 이 온다. |
• | 관계부사 다음 은 완전한 절 이 온다. |
• | This is the place where he lives. |
이곳은 그가 살고 있는 장소이다. | |
where 다음의 he lives는 생략된 것이 없는 1형식의 완전한 절이다. | |
• | This is the place which he lives in. |
이곳은 그가 살고 있는 장소이다. | |
which 다음의 he lives in은 전치사 in의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이다. |
기출 4회
14. 지방직 7급
11. 지방직 9급
11. 국회직 8급
08. 지방직 8급
1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11. 지방직 9급) | |||||||
Chile is a Latin American country ①where throughout most of the twentieth century ②was marked by a relatively advanced liberal democracy on the one hand and only moderate economic growth, ③which forced it to become a food importer, ④on the other. |
정답 & 해설
해석 | 칠레는 라틴 아메리카 국가이며 그곳에서 한편으로는 20세기 대다수의 기간동안 내내 상대적으로 발전된 자유 민주주의와 단지 보통의 경제 성장으로 특징지워졌다. 그것은 다른 한편으로 칠레를 식량 수입업자가 되게했다. |
해설 | |
① | 관계부사 다음은 완전한 절이 온다. where은 관계부사이다. 이 영문에서 where 다음에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이 왔다. 불완전한 절에는 관계대명사를 쓴다. 선행사가 a Latin American country이므로 which가 와야 한다. where → which |
② | [선행사 + 관계대명사 + 동사] 에서는 선행사가 동사의 단/복수를 결정한다. 선행사(a Latin American country ) + 관계사(where) + 전치사구( throughout ~ century) + 동사(was marked)에서 a Latin American country가 단수명사이므로 단수동사 was는 옳다. |
③ | 관계대명사 다음은 불완전한 절이 온다. which 다음은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이므로 옳다. |
④ | on the other = 반면, 한편, 반대로, 또 다른 측면으로 |
정답 | ① |
2
다음 중 문법적으로 옳은 것은? (08. 지방직 8급) | |||||
① | To practice summarizing, after watching a program, parents can turn off the TV and ask how the story was about. | ||||
② | This occurs when a speaker or writer either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use words to influence your opinion. | ||||
③ | There are also data that tell us that a person’s environment can and does affect intellectual, cognitive functioning. | ||||
④ | Puritans and Quakers regarded excessive personal debt as a sin, views that widely and firmly were held until recently relatively. |
정답 & 해설
해석 | |
① | 요약을 연습하기위해, 프로그램을 시청 한 후, 부모님은 TV를 끄고 이야기의 내용을 묻습니다. |
② | 이것은 화자 또는 작가가 의식적으로 또는 무의식적으로 여러분의 의견에 영향을 주기위해 단어를 사용할 때 발생한다. |
③ | 사람의 환경이 지적, 인지적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우리들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정보도 있다. |
④ | 청교도와 퀘이커 교도는 과도한 개인의 빚을 죄라고 생각했다. 최근까지 상대적으로 널리 확고하게 유지되는 견해이다. |
해설 | |
① | how절에서 about의 목적어가 없어 틀렸다. how는 부사라서 목적어가 될 수 없으므로 대명사 what으로 바꿔야 한다. how → what |
② | when절에서 주어(a speaker or writer)가 단수이므로 단수동사가 와야 한다. use → uses |
④ | 부사가 나란히 오면 시간부사가 맨 뒤에 온다. recently relatively → relatively recently |
정답 | ③ |
3
어법상 옳은 것은? (14. 지방직 7급) | |||||
① | Humans share food, while monkeys fend for themselves. | ||||
② | A sweat lodge is a tent which Sioux Indians take a ritual sweat bath. | ||||
③ | If international trade doesn’t exist, many products wouldn’t be available on the market. | ||||
④ | Corporations manufacturing computers with toxic materials should arrange for its disposal. |
정답 & 해설
해석 | |
① | 인간은 음식을 함께하지만, 원숭이들은 혼자힘으로 꾸려 나간다. |
② | 한증막(sweat lodge)은 수 족(Sioux) 인디언들이 땀을 빼는 의식을 하는 텐트이다. |
③ | 국제 무역이 존재하지 않았다면, 많은 제품들은 시장에서 이용될 수 없을 것이다. |
④ | 유해 물질을 가진 컴퓨터를 재조하는 회사들은 그것의 처리를 위한 준비를 해야 한다. |
fend for oneself = 혼자힘으로 꾸려 나가다 | |
arrange for = 준비하다, 계획을 짜다 | |
해설 | |
② | which 다음에 이어지는 절은 주어나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이어야 하는데 완전한 절로 되어 있어서 틀렸다. 완전 한 절을 이끄는 것은 관계부사나 전치사 + which절이다. which → where |
③ | 조건절과 주절의 동사는 같은 시제로 되어 있어야 한다. 주절이 과거이므로 조건절도 과거로 하는 것이 옳다. doesn’t → didn’t |
④ | its는 materials를 대신한다. materials가 복수이므로 its도 복수로 되어야 한다. its → their |
정답 | ① |
4
Choose the underlined part that is NOT grammatically correct. (11. 국회직 8급) | |||||||
①That such a situation is in no way incompatible with racism is something Spike Lee dramatizes very accurately in Do the Right Thing, ②which one of the Italian-American boys claims to be a racist despite the fact that his sporting heroes are, in fact, all African-American. ③Racism is no longer a primarily cultural or political issue. ④The twin poles of U.S. consumer culture — rock music and organized sports — can cheerfully offer Michael Jackson and Michael Jordan. Another way of putting this would be to say that racism is no longer primarily a matter of representation; ⑤it is a complex economic issue as well as a straightforward political one. |
정답 & 해설
해석 | 그러한 상황이 결코 인종 차별주의와 양립할 수 없다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Spike Lee가 Do the Right Thing에서 매우 정확하게 각색한 것 인데, 그것에서 이탈리아계 미국인 소년들 중 한 명이 그의 스포츠 영웅들이 모두가 아프리카계 미국인이라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인종 차 별주의자라고 주장한다. 인종 차별주의는 주로 더 이상 문화적 정치적 이유가 아니다. 미국 소비자 문화의 두 극 – 락 음악과 조직화된 스 포츠 – 은 유쾌하게 마이클 잭슨과 마이클 조던을 제시할 수 있다. 이것을 제시하는 다른 방법은 인종 차별주의가 더 이상 주로 표현의 문 제가 아니라고 말하는 것이 될 것이다. 이것은 솔직한 정치적인 문제 뿐만 아니라 복잡한 경제적 문제이다. |
incompatible [ìnkəmpǽtəbl] [형] 양립할 수 없는, 모순되는 | |
racism [réisizm] [명] 민족(인종) 차별주의, 인종적 편견 | |
dramatize [drǽmətàiz] [동] 각색하다, 극적으로 보이게 하다, 희곡화하다, 연극조로 표현하다 | |
racist [réisist] [명] 인종 차별주의자 | |
representation [rèprizentéiʃən] [명] 표현, 대표, 상연, 표시, 연출, 상연, 분장, 설명 | |
straightforward [streɪt|fɔːrwərd] [형] 솔직한 | |
해설 | which 다음의 절은 불완전해야 되는데 ②번에서는 which 다음의 절이 완전하다. 완전한 절에는 관계부사가 와야 한다.선행사가 장소 의미의 Do the Right Thing이므로 관계부사 where이 와야 한다. which → where |
정답 | ② |
관계부사 = 전치사 + which
관계부사 와 전치사 + which 다음은 완전한 절 이 온다. |
• | This is the place where [in which] he lives. |
이곳은 그가 살고 있는 장소이다. | |
he lives는 1형식의 완전한 절이다. |
기출 4회
19. 법원직 9급
16. 경찰직 2차
15. 국회직 9급
14. 서울시 9급
1
어법상 빈칸에 들어가기에 적절한 것은? (14. 서울시 9급) | |||
The sales industry is one constant interaction is required, so good social skills are a must. | |||
① | but which | ② | in which |
③ | those which | ④ | which |
⑤ | what |
정답 & 해설
해석 | 영업은 지속적인 상호작용이 요구되는 산업이다. 그래서 훌륭한 사회적 기능은 필수이다. |
해설 | |
① | but which는 <접속사 + 관계대명사>이다. 관계대명사도 <접속사 + 대명사> 역할을 하기 때문에 but which가 빈 곳에 들어가면 접속사가 중복된다. |
② | 관계대명사 다음은 불완전한 절이 온다. <관계부사>와 <전치사 + which> 다음은 완전한 절이 온다. 이 영문에는 빈 곳 다음에 1형식의 완전한 절이 왔다. 완전한 절에는 in which가 들어갈 수 있다. |
③ | those + which(선행사 + 관계대명사)가 들어가면 이미 선행사 one이 있기 때문에 선행사가 중복된다. |
④ | 이 영문은 빈 곳 다음이 1형식의 완전한 절이다. 완전한 절에는 관계대명사가 들어갈 수 없으므로 which는 불가하다. |
⑤ | 빈 곳 다음이 1형식의 완전한 절이다. 완전한 절에는 관계대명사가 들어갈 수 없으므로 what은 불가하다. 또한 what은 자체가 선행사이기 때문에 선행사가 앞에 있으면 쓸 수 없다. 그런데 이 영문에는 선행사 one이 있다. 이 두가지 이유로 빈 곳에 what을 쓸 수 없다. |
정답 | ② |
2
밑줄 친 부분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15. 국회직 9급) | |||
Scientists say the Philae space probe has gathered data supporting the theory that comets can serve as cosmic laboratories some of the essential elements for life are assembled. | |||
① | what | ② | in what |
③ | which | ④ | of which |
⑤ | of which |
정답 & 해설
해석 | 과학자들은 Philae 우주 탐사선이 혜성이 생명체의 필수 요소들 중 일부가 모여있는 우주 실험실로 사용될 수 있다는 이론을 뒷받침하는 자료를 수집했다고 전했다. |
해설 | |
① | what은 자신이 선행사이므로 앞에 선행사가 올 수 없다. 빈 곳 앞에 선행사인 cosmic laboratories가 있다. 따라서 빈 곳에 what은 들어갈 수 없다. |
② | ①과 같은 이유로 불가하다. |
③ | 빈 곳 다음의 절은 완전하다. 완전한 절 앞에는 관계대명사가 들어갈 수 없다. which는 관계대명사이므로 빈 곳에 들어갈 수 없다. |
④ | 소유격인 of which는 문장에서 [the + 명사]와 결합한다. 빈 곳 앞이나 뒤에 the + 명사가 없으므로 들어갈 수 없다. |
⑤ | <전치사 + which> 다음은 완전한 절이 온다. 빈 곳 다음은 1형식의 완전한 절이다. 따라서 in which는 빈 곳에 들어갈 수 있다. |
정답 | ⑤ |
3
다음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18. 국회직 9급) | |||
We live in a democratic age. Over the last century the world has been shaped by one trend above all others―the rise of democracy. In 1900, not a single country had ①what we would today consider a democracy: a government created by elections ②which every adult ③citizen could vote. Today this is done by over 60 percent of all countries in the world. ④What was once a peculiar practice of a handful of states around the North Atlantic ⑤has become the standard form of government for humankind. |
정답 & 해설
해석 | 우리는 민주주의 시대에 살고 있다. 지난 세기 동안 세계는 다른 모든 것보다 한 가지 경향, 즉 민주주의의 부상에 의해 형성되었다. 1900년에는 단 한 나라도 오늘날 우리가 민주주의라고 생각할 수 있는 것을 갖지 못했다: 모든 성인 시민들이 투표할 수 있는 선거에 의해 창안된 정부. 오늘날 이것은 세계의 모든 국가의 60% 이상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 한 때 북대서양 주변 소수의 국가들의 독특한 관행이 인류를 위한 표준 정부 양식이되었다. |
해설 | |
① | what 다음은 불완전한 절이 온다. consider은 5형식(= consider + O + OC)으로 쓰이며 what 다음의 절은 목적격보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이므로 옳다. ② vote = [자] 투표를 하다 [타] ~을 투표로 결정하다. 관계대명사인 which 다음은 불완전한 절이 온다. 이 영문에서 which 다음은 1형식 완전한 절이 왔다. 완전한 절에는 <관계부사>나 <전치사 + which> 가 올 수 있다. which → in which |
③ | every는 <단수 개념>의 형용사이므로 단수명사와 결합한다. every 다음에 단수명사인 citizen은 옳다. |
④ | what은 다음은 불완전한 절이 온다. what 다음은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이므로 옳다. |
⑤ | has become은 단수동사이면서 현재완료이다. 주어는 [What ~ Atlantic]이다. What + was ~로 봐서 What은 단수이다. What이 단수이면 What절도 단수이다. 따라서 주어인 What ~ Atlantic이 단수이므로 단수동사 has는 올바르다. have + p.p.는 <과거에 시작된 행위나 상태가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음>을 뜻한다. 이 영문에서는 <한 때 북대서양 주변 소수의 국가들의 독특한 과거의 관행이 과거부터 지금까지 인류를 위한 표준 정부 양식이 되었다.>의 뜻이므로 has become은 올바르다. |
정답 | ② |
복합관계대명사
• | 관계대명사+ever 를 복합관계대명사 라 한다. |
• | 관계대명사+ever 앞에는 선행사 가 오지 않는다 . |
• | 관계대명사+ever 다음은 불완전한 절 이 온다. |
• | 복합관계대명사절 은 명사절 과 양보부사절 로 쓰인다. |
X | + | whoever | + | (S) + V ~ | ||
whichever | ||||||
whatever | ||||||
선행사 | 복합관계대명사 | 불완전한 절 |
명사절 | whoever | ~사람은 누구나 |
whichever | 어느 것/쪽이든 | |
whatever | 무엇이나 | |
양보부사절 | whoever | 누가 ~하든 (no matter who) |
whichever | 어느 ~가 ~하든 (no matter which) | |
whatever | 어떤 ~라도 (no matter what) |
• | Give the cap to who wants it. (X) |
모자를 원하는 사람 누구에게나 줘라. | |
who 앞에 선행사가 없다. 선행사가 없을 때는 복합관계대명사를 써야 한다. | |
who → whoever | |
• | You can have whichever you like. |
당신이 좋아하는 것은 어느 것이나 가질 수 있다. | |
whichever 앞은 선행사가 없고 다음은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이다. |
기출 5회
20. 지방직 9급
16. 사복직 9급
16. 지방직 7급
14. 기상직 9급
11. 경찰직 1차
1
어법상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1. 경찰직 1차) | |||
You may invite ① who you ② desire to the company outing, ③ as long as it’s not more than two guests ④ per employee. |
정답 & 해설
해석 | 당신은 직원당 두명의 손님을 초과하지 않는다면 당신이 원하는 사람은 누구든지 회사 야유회에 초대할 수 있다. |
해설 | |
① | 이 관계대명사절은 주어가 2개(who, you)이다. 또한 who의 선행사가 없고 desire의 목적어도 없다. 수정한다면 whomever로 교체할 수 있다. whomever는 자체가 선행사이면서 목적어로 쓰이기 때문이다. who → whomever |
② | desire = [타동사] 바라다, 원하다, 부탁하다 |
③ | as long as = [접속사] ~하는 한, ~이기만 하면, ~이기 때문에 |
④ | per = [전치사] ~에 대하여, ~마다, ~당, ~으로 |
정답 | ① |
복합관계부사
관계부사+ever 를 복합관계부사 라 하고 양보부사절 을 이끈다. 복합관계부사 다음은 완전한 절 이 온다. |
X | + | wherever | + | S + V ~ | ||
whenever | ||||||
however | ||||||
선행사 | 복합관계부사 | 완전한 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