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TELP
GRAMMAR
CONJUNCTION 접속사
접속사
접속사 는 절(주어+동사)과 절(주어+동사)을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접속사에는 등위접속사, 종속접속사, 접속부사로 나뉜다. 접속사의 위치는 두 절이 만나는 중간이나 아니면 첫 번째 절의 시작점이다. |
• | 주어 + 동사 접속사 주어 + 동사 |
• | 접속사 주어 + 동사, 주어 + 동사 |
• | He hid behind a tree but his mother soon found him out. |
그는 나무 뒤에 숨었다. 하지만 그의 엄마는 곧 그를 찾아냈다. | |
but은 앞의 절(He hid behind a tree)과 뒤의 절(his mother ~ out)을 이어주는 접속사이다. |
기출 3회
16. 사복직 9급
15. 지방직 9급
11. 경찰직 2차
![]() |
절 + 접속사 + 절 |
![]() |
1 | I am tired and I want to go to bed. |
2 | He hid behind a tree but I soon found him out. | |
3 | I will help you if you come. | |
4 | I will come when I have had lunch. | |
5 | I didn’t go out because it was raining. | |
접속사가 두 절 사이에 들어가면 두 절 사이에 콤마(,)가 없는 것이 일반적이다. |
![]() |
접속사 + 절, 절 |
![]() |
1 | If you don’t eat, you get hungry. |
2 | When it rains, I stay inside. | |
3 | Because I trust him, I have appointed him. | |
4 | Although he is old, he is strong. | |
접속사가 문장의 시작점에 있으면 일반적으로 두 절 사이에 콤마(,)가 있다. |
2022년 9급 공채 | 선발예정인원 : | 5,662 |
출원자 : | 165,524 | |
응시자 : | 127,643 | |
결시자 : | 37,881 | |
과락자 : | 67,092 | |
필기합격자 : | 7,437 | |
최종합격자 : | 6,230 | |
2021년 9급 공채 | 선발예정인원 : | 5,672 |
출원자 : | 198,110 | |
응시자 : | 156,311 | |
결시자 : | 41,799 | |
과락자 : | 67,507 | |
필기합격자 : | 7,514 | |
최종합격자 : | 5,912 |
연도별 | 응시자 | 과락자 | 과락률 |
2022년 | 127,643 | 67,092 | 52.6% |
2021년 | 156,311 | 67,507 | 43.2% |
2020년 | 131,235 | 58,487 | 44.6% |
2019년 | 154,331 | 72,810 | 47.2% |
등위
접속사
등위접속사
등위접속사 는 주어 + 동사로 시작하는 절과 절의 중간에 위치해서 두 절을 대등한 관계로 연결하는 접속사이다. 이때 두 개의 절에서 중복되는 요소를 생략하고 남아 있는 두 개의 단어나 두 개의 구를 연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등위접속사는 문법상 대등한 관계에 있는 단어와 단어, 구와 구, 절과 절을 연결한다. |
• | and | (대등) 그리고 (대조) 그런데도 |
• | but | (대조) 그러나 |
• | or | (선택) 또는 (부연) 다시 말해서 |
• | so | (결과) 그래서 , 그 결과 (and so, so that) |
• | for | (근거) 왜냐하면 ~하니까 (앞 문장의 보충적 근거) |
• | nor | (부정) 그리고 또한 아니다 |
• | yet | (대조) 하지만 , 그럼에도 |
• | Jane came from a wealthy family and received a good education. |
제인은 부유한 가정의 출신이었으며 훌륭한 교육을 받았다. | |
등위접속사 and 다음에 Jane을 쓰면 반복되므로 생략되었다. and는 동사(came)와 동사(received)를 동등하게 연결하고 있다. and의 우리말 해석은 문맥에 맞게 하면 된다. |
기출 3회
16. 사복직 9급
15. 지방직 9급
11. 경찰직 2차
![]() |
but |
![]() |
I wanted to go to the party, but I was feeling too tired. |
나는 파티에 가고 싶었지만 너무 피곤했다. | |
“but”은 두 개의 대조적인 생각을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속사이다. 이 문장에서 말하는 사람은 파티에 참석하고 싶다는 의사를 표현하지만, 그 다음에 그는 너무 피곤해서 갈 수 없다고 함으로써 모순된 진술을 묘사하고 있다. “but”은 이 두 생각 사이의 대조를 보여주고 그들이 서로 반대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
![]() |
or |
![]() |
We can go to the beach or the park for a picnic. |
우리는 해변이나 공원으로 소풍을 갈 수 있다. | |
“or”는 두 개 이상의 옵션 사이에서 선택 또는 대안을 소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속사이다. 이 문장에서 “or”은 피크닉을 위한 해변 또는 공원이라는 두 가지 대안을 소개하기 위해 사용됐다. |
![]() |
or |
![]() |
I was born in Saigon, or Ho Chi Minh. |
나는 사이공, 다시 말해서 호치민에서 태어났다. | |
“or” 다음에는 I was born in이 반복되어서 생략되었다. 이 문장에서 “or”은 앞의 단어(Saigon)를 부연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
![]() |
for |
![]() |
We could not learn very much from him, for he evaded nearly every question we asked. |
우리는 그에게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없었다. 왜냐하면 그는 우리가 묻는 거의 모든 질문을 회피했기 때문이다. | |
“for”는 주절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이나 이유를 나타내는 절을 이끈다. 이 문장에서 주절은 우리는 그에게서 많은 것을 배우려고 노력은 했지만 많은 것을 배울 수 없었다고 결론을 내리고 있다. 그 이유를 for 다음에서 설명을 하고 있다. 즉 그가 우리의 모든 질문을 회피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 글은 주절에서 결론을 내리고 그 결론에 도달한 이유를 for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다. [결론 + for 결론에 도달한 이유]로 구성된 문장이다. |
![]() |
so |
![]() |
Recently doctors warned that too much animal fat in the diet can lead to heart disease, so special types of margarine made with vegetable oils are becoming popular. |
최근에 의사들은 식단에 너무 많은 동물성 지방이 심장병을 일으킬 수 있다고 경고했고, 그래서 식물성 기름으로 만든 특별한 종류의 마가린이 인기를 얻고 있다. | |
“So”는 원인 + 결과를 갖는 두 절에서 결과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접속사이다. “so”는 첫 번째 절과 두 번째 절의 중간에 위치하며, 첫 번째 절이 원인이고 두 번째 절이 결과가 된다. 이 문장에서 첫 번째 절은 동물성 지방이 심장병을 일으킨다고 서술했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식물성 기름으로 만든 마가린이 인기를 얻는 다는 것이다. 이것이 원인이 되어 그 결과로 두 번째 절은 식물성 기름으로 만든 마가린이 인기를 얻고 있다는 것이다. |
![]() |
yet |
![]() |
She’s a great singer, yet she’s never performed in front of an audience. |
그녀는 훌륭한 가수이다. 하지만, 청중 앞에서 공연한 적은 없다. | |
“yet”는 두 생각의 대조를 소개하는데 사용된다: 여성이 훌륭한 가수이면 두 번째 절은 청중 앞에서 공연을 많이 해야 하는 것이 순리인데 반대로 공연한 적이 없다고 한다. 그러므로 두 절은 대조되는 내용이이므로 yet을 사용했다. |
![]() |
nor |
![]() |
He didn’t have a car, nor did he have a bike. |
그는 차도 없었고 자전거도 없었다. | |
“Nor”은 문장에서 두 개의 부정적인 생각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속사이다. 그것은 일반적으로 첫 번째 부정적인 생각과 두 번째 부정적인 생각 사이에 위치한다. 절이 두개 올 때 nor 다음의 절은 어순이 도치되어 “nor + 동사 + 주어“가 된다. 이 문장에서 “nor”은 문장에서 두 개의 부정적인 생각을 연결하는 데 사용되었다. 차도 없고 바이크도 없는 것은 두 개의 부정적인 생각이다. nor 다음은 동사 + 주어(did he)의 순서로 어순이 도치되었다. |
![]() |
nor |
![]() |
The tale is long, nor have I heard it out. |
그 이야기는 길다, 그래서 나는 끝까지 들은 적이 없다. | |
“Nor”은 문장에서 두 가지 생각을 부정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접속사이다. 이 문구는 이야기가 지루하거나 흥미롭지 않고 말하는 사람이 나머지 이야기를 듣고 싶어하지 않는다는 부정적인 생각을 묘사하고 있다. |
![]() |
nor |
![]() |
Not a boy, girl nor child could be seen. |
소년, 소녀, 아이도 한 명 보이지 않았다. | |
부정 대상이 3개이면 “Not A, B nor C + 동사 (A도 B도 C도 또한 아니다)” 형식이 된다. Not A, nor B, but C + 동사(A도 B도 아니고 C이다)는 두 대상은 부정하고 나머지 하나는 긍정하는 형식이다. 이 두 형식은 도치가 없다. 부정 문장 3개를 연결하고 반복되는 부분을 생략한 구조이다. |
2022년 9급 공채 | 선발예정인원 : | 5,662 |
출원자 : | 165,524 | |
응시자 : | 127,643 | |
결시자 : | 37,881 | |
과락자 : | 67,092 | |
필기합격자 : | 7,437 | |
최종합격자 : | 6,230 | |
2021년 9급 공채 | 선발예정인원 : | 5,672 |
출원자 : | 198,110 | |
응시자 : | 156,311 | |
결시자 : | 41,799 | |
과락자 : | 67,507 | |
필기합격자 : | 7,514 | |
최종합격자 : | 5,912 |
연도별 | 응시자 | 과락자 | 과락률 |
2022년 | 127,643 | 67,092 | 52.6% |
2021년 | 156,311 | 67,507 | 43.2% |
2020년 | 131,235 | 58,487 | 44.6% |
2019년 | 154,331 | 72,810 | 47.2% |
등위상관접속사1
등위 상관 접속사 는 등위접속사가 어떤 한 단어와 한 짝이 되어 쓰이는 것을 말한다. both A and B처럼 both와 and는 하나의 짝이 되어 쓰인다. 이때 접속사 바로 앞과 뒤에 위치하는 A와 B는 같은 품사이다. |
• | both | A | and | B | A와 B 둘다 |
• | at once | A | and | B | |
• | either | A | or | B | A와 B 둘 중 하나 |
• | neither | A | nor | B | A와 B 둘 다 아닌 |
• | He visited both Paris and London. |
그는 파리와 런던 두 곳 다 방문했다. | |
both ~ and는 한 짝으로 쓰이는 등위상관접속사이다. Paris와 London은 둘 다 명사로서 문법상 visited의 목적어이다. |
기출 3회
16. 사복직 9급
15. 지방직 9급
11. 경찰직 2차
![]() |
neither ~ nor |
![]() |
Neither the reporters nor the editor was satisfied with the salary offer made by the publisher. |
기자도 편집자도 출판사의 연봉 제의에 만족하지 않았다. | |
“Neither ~ nor”은 두 가지 개념을 모두 부정한다. 일반적으로 두 가지가 사실이 아니거나 두 가지 옵션이 모두 불가능하다고 말할 때 사용된다. 이때 nor의 앞과 뒤는 문법상 같은 구조가 온다. 예를 들어 Neither A nor B이면 A와 B는 같은 품사나 같은 구, 같은 절이 온다. 이 문장에서는 명사가 두 개(the reporters, the editor) 왔다. 이 문장은 neither ~ nor를 사용하여 ‘기자도 편집자도 출판사의 급여 제안에 만족하지 않았다’는 두 가지 모두 부정적이라는 것을 표현하고 있다. Neither A nor B가 동사의 주어이면 동사의 단/복수는 B가 결정한다. 여기서는 the editor가 단수라서 was가 왔다. |
![]() |
at once ~ and |
![]() |
The restaurant’s decor was at once retro and modern. |
그 식당의 장식은 복고풍이면서 동시에 현대적이었다. | |
“at once ~and”는 사람이나 사물에 동시에 존재하는 겉으로는 서로 상반되어 보이는 두 가지 특징이나 특성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것은 조화롭게 존재하는 두 개의 모순된 요소를 나타냄으로써 무언가의 독특함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설명되는 두 가지 특성은 반드시 상호 배타적인 것이 아니라 서로 보완적이거나 심지어는 강화된다. 이 문장도 “at once ~and”라는 구조를 사용하여 식당의 장식에 동시에 존재하는 겉보기에 반대되는 두 가지 특성(복고풍, 현대적)을 표현하고 있다. ‘복고풍(retro)’은 구시대적이거나 이전 시대를 환기시키는 스타일을, ‘현대적(modern)’은 현대적이거나 현대적인 스타일을 의미한다. |
![]() |
either ~ or |
![]() |
You can either go to the beach or visit the museum. |
여러분은 해변에 갈 수도 있고 박물관을 방문할 수도 있다. | |
“either A or B (A와 B 둘 중 하나)”는 두 가지 대안이나 옵션을 제시할 때 사용되며, 이는 한 번에 하나만 선택할 수 있다. 이 문장에서 여러분이 해변에 가거나 박물관을 방문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지만, 동시에 둘 다 할 수는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
2022년 9급 공채 | 선발예정인원 : | 5,662 |
출원자 : | 165,524 | |
응시자 : | 127,643 | |
결시자 : | 37,881 | |
과락자 : | 67,092 | |
필기합격자 : | 7,437 | |
최종합격자 : | 6,230 | |
2021년 9급 공채 | 선발예정인원 : | 5,672 |
출원자 : | 198,110 | |
응시자 : | 156,311 | |
결시자 : | 41,799 | |
과락자 : | 67,507 | |
필기합격자 : | 7,514 | |
최종합격자 : | 5,912 |
연도별 | 응시자 | 과락자 | 과락률 |
2022년 | 127,643 | 67,092 | 52.6% |
2021년 | 156,311 | 67,507 | 43.2% |
2020년 | 131,235 | 58,487 | 44.6% |
2019년 | 154,331 | 72,810 | 47.2% |
등위상관접속사2
not only | A | but (also) | B | |
= | not merely | A | but (also) | B |
= | not just | A | but (also) | B |
= | B | as well as | A | |
A 뿐만 아니라 B 역시 ~이다 |
• | He gave me not only advice but money. |
그는 내게 충고뿐만 아니라 돈도 줬다. | |
not only 다음에 올 수 있는 접속사는 but이나 but also이다. |
기출 3회
16. 사복직 9급
15. 지방직 9급
11. 경찰직 2차
![]() |
not just ~ but (also) |
![]() |
The restaurant is not just famous for its delicious food, but also for its exceptional service. |
그 식당은 맛있는 음식으로 유명할 뿐만 아니라, 뛰어난 서비스로 유명하다. | |
“not just A but also B (A뿐만아니라 B도)”는 언급된 두 번째 항목이 첫 번째 항목과 동일하게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낼 때 사용된다. 즉 두 항목이 모두 중요함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문장에서 “그 식당은 맛있는 음식으로 유명할 뿐만 아니라, 뛰어난 서비스로도 유명하다.” 이것은 그 식당이 음식과 서비스 둘 다로 유명하고, 둘 다 똑같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not just가 있고 그 다음에 들어갈 접속사를 선택해야 한다면 but also이다. 이때 also는 생략이 가능하다. |
![]() |
not merely ~ but also |
![]() |
Not merely did she finish her degree, but also she did it with honors. |
그녀는 학위를 마쳤을 뿐만 아니라, 명예롭게 학위를 마쳤습니다. | |
“not merely A but also B (A뿐만 아니라 B도)”는 두 가지 생각을 강조할 때 사용하는 구조인데, 두 번째 생각이 부차적인 것이 아니라 첫 번째 생각을 보완하거나 강화한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사용된다. . |
![]() |
as well as |
![]() |
The restaurant serves pizza as well as pasta dishes. |
그 식당은 파스타 요리뿐만 아니라 피자도 제공한다. | |
“B as well as A (A뿐만 아니라 B도)”는 동일한 중요성이나 관련성이 있는 두 가지 이상의 것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속사이다. 이 문장은 그 식당이 그들의 메뉴에 피자와 파스타 요리를 둘 다 제공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as well as”라는 문구는 피자가 식당에서 제공되는 유일한 종류의 음식이 아니며, 손님들이 원한다면 파스타 요리도 주문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
2022년 9급 공채 | 선발예정인원 : | 5,662 |
출원자 : | 165,524 | |
응시자 : | 127,643 | |
결시자 : | 37,881 | |
과락자 : | 67,092 | |
필기합격자 : | 7,437 | |
최종합격자 : | 6,230 | |
2021년 9급 공채 | 선발예정인원 : | 5,672 |
출원자 : | 198,110 | |
응시자 : | 156,311 | |
결시자 : | 41,799 | |
과락자 : | 67,507 | |
필기합격자 : | 7,514 | |
최종합격자 : | 5,912 |
연도별 | 응시자 | 과락자 | 과락률 |
2022년 | 127,643 | 67,092 | 52.6% |
2021년 | 156,311 | 67,507 | 43.2% |
2020년 | 131,235 | 58,487 | 44.6% |
2019년 | 154,331 | 72,810 | 47.2% |
종속
접속사
종속접속사 |
종속접속사 는 등위접속사를 제외한 그 외의 모든 접속사를 말한다. ‘종속접속사 + 주어 + 동사‘는 주절(=주어 + 동사로 시작하는 절)의 시제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종속되어 있는 것이다. 주절과 동등한 관계에 있지 못하고 종속되어 있기 때문에 종속접속사라 하는 것이다. ‘종속접속사 주어 + 동사‘는 문장에서의 역할에 따라서 명사절과 부사절로 나뉜다. |
기출 1회
11. 지방직 7급
명사절 접속사 |
명사절 은 [접속사 + 주어 + 동사]가 문장에서 명사의 역할을 하는 것을 말한다. 명사의 역할이란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로 쓰이는 것을 말한다.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는 that, if, whether 3가지가 있다. |
• | that | ((확실성)) ~인 것 |
||
• | whether ~ (or) | ((불확실성)) ~인지 어떤지 | ||
• | if ~ (or) | |||
✱ | that절 에는 or을 쓸 수 없다 . | |||
✱ | if절 은 타동사 의 목적어 로만 쓴다 . | |||
✱ | where or not S + V로 쓸 수 있다. | |||
✱ | where to do로도 쓸 수 있다. | |||
✱ | if는 의문이나 불확실성 의미를 갖는 동사(don’t know, doubt, wonder, ask, question 등)의 목적어로 쓰인다. |
• | I know that he is rich or not. (X) |
나는 그가 부자라고 알고있다. | |
that절의 내용은 “~이다, ~이 아니다”와 같은 확실하게 구분되는 내용만 온다. 따라서 “~인지 또는 ~이 아닌지”와 같은 불확실한 내용은 올 수 없다. 따라서 that절에는 or이 올 수 없다. 이 문장에서 that절은 know의 목적어로 쓰인 명사절이다. that he is rich or not → that he is rich |
기출 3회
16. 사복직 9급
15. 지방직 9급
11. 경찰직 2차
![]() |
whether |
![]() |
He asked me whether I needed anything. |
그는 내게 필요한 것이 있는지 어떤지를 물었다. | |
이 문장에서 whether절은 직접목적어로 쓰인 명사절이다.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로는 that, if, whether 등을 쓸 수 있다. 주절의 ask는 불확실성 동사이므로 접속사로 that이 올 수 없고 if나 whether 중에서 하나가 온다. “whether (~인지 어떤지)”은 둘 이상의 대안이나 가능성을 도입하기 위해 사용된다. 주어(He) + 동사(asked) + 간접목적어(me) + 직접목적어(whether I needed anything). |
![]() |
whether |
![]() |
I’m not sure whether I want to go to the beach or stay home. |
나는 해변에 가고 싶은지 아니면 집에 있고 싶은지 잘 모르겠어. | |
“whether (~인지 어떤지)”는 둘 이상의 대안이나 가능성을 도입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속사이다. 종종 불확실성을 표현하거나 청취자나 독자에게 선택권을 주기 위해 사용된다. 종종 옵션을 제공할 때는 “or”라는 단어 뒤에 온다. 이 문장에서 “whether”은 해변에 가거나 집에 머무르는 두 가지 대안이나 가능성을 소개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이 문장에서 옵션은 or을 쓰고 그 다음에 stay home을 붙였다. 화자는 어떤 옵션을 선택할지에 대해 불확실하거나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주어(I) + 동사(am not) + 보어(sure) + of(생략됐음) + 목적어(whether ~home). ✱ be sure of에서 of의 목적어가 절이 오면 of를 생략하고 [be sure + 접속사 + 주어 + 동사] 형식을 취한다. |
![]() |
if |
![]() |
Roosevelt wondered if he himself might get the nomination in 1904. |
루즈벨트는 자신이 1904년에 지명을 받을지를 궁금해 했다. | |
if절은 wondered의 목적어로 쓰인 명사절이다. 동사인 wonder(궁금하다)은 불확실성 의미를 지니므로 that이 올 수 없고 if가 왔다. |
조건부사절 접속사 |
조건 부사절 접속사 는 조건을 표시하는 부사절이다. 조건부사절이 있는 문장은 [조건부사절 + 주절]로 구성된다. 조건부사절의 결과에 따라 주절의 내용은 달라지게 된다. 조건부사절 에서는 미래 에 will 을 쓸 수 없고 현재동사 를 쓴다. |
• | if | ~라면 |
• | unless (=if ~ not) | ~이 아니라면 |
• | once | 일단 ~하면 |
• | in case | ~에 대비하여 |
• | provided | ~라면 (providing) |
• | as long as | 만일 ~라면 |
• | suppose (that) | 만일 ~라면 |
• | supposing (that) | 만일 ~라면 |
• | given (that) | ~라고 가정하면 |
• | Take an umbrella with you in case it rains. |
비가 올 경우를 대비해서 우산을 가지고 가세요. | |
이 문장에서 “in case”라는 문구는 미래의 가능한 상황이나 사건을 설명하고 예방책이나 백업 계획으로 수행해야 할 사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조건부 부사절이다. |
기출 3회
16. 사복직 9급
15. 지방직 9급
11. 경찰직 2차
![]() |
once |
![]() |
Once you return from Istanbul, you’ll have to fill out a trip report. |
네가 이스탄불에서 돌아오면 여행 보고서를 작성해야 할 것이다. | |
“once (일단 ~하면)” 조건절은 미래에 특정 사건이 발생할 경우에 결과절(=주절)이 발생할 것이라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문장에서는 이스탄불에서 돌아오는 조건이 충족되어야 여행 보고서의 작성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이 문장은 조걸절(Once ~Istanbul) + 결과절(you ~trip)로 구성되어 있다. Once절은 조건부사절이므로 미래를 나타내는 절에서도 will을 쓰지 않고 현재동사를 쓴다. 그래서 이 문장에서도 미래에 일어날 일인데도 현재동사인 return을 썼다. 다만 주절은 미래에 will을 사용하므로 will have가 쓰였다. 조건접속사(Once) + 주어(you) + 동사(return) + 전치사(from) + 목적어(Istanbul), 주어(you) + 동사(will have) + 목적어(to ~ report). |
![]() |
providing that |
![]() |
Providing that everything goes well, I may finish this research by the end of the year. |
모든 것이 잘 된다면, 나는 올해 말까지 이 연구를 끝낼 수 있을 것이다. | |
“porviding that”은 다른 일이 일어나기 전에 충족되어야 하는 조건을 설명하는 조건 부사절을 도입하기 위해 사용된다. 조건절(Providing that everything goes well) + 결과절(I may finish this research by the end of the year). |
시간부사절 접속사 |
시간 부사절 접속사 는 주절의 동작이 일어나는 시기를 나타내는 시간부사절을 이끈다. 시간 부사절은 주절의 동작이 언제 발생하는지 또는 얼마나 지속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시간부사절 에서는 미래 에 will 을 쓸 수 없고 현재동사 를 쓴다. |
• | when | ~하는 때 |
• | after | ~한 후에 |
• | before | ~하기 전 |
• | as soon as | ~하자마자 |
• | once | ~하자마자 |
• | till / until | ~할 때까지 계속 |
• | by the time | ~할 때까지 |
• | next time | 다음에 ~할 때 |
• | every time | ~할 때마다 (each time) |
• | while | ~하는 동안 |
• | as | ~할 때 |
• | As soon as I see him, I will start. |
그를 보자마자 나는 출발할 것이다. | |
이 문장에서 “as soon as”가 이끄는 부사절은 주절의 행동에 대한 시간 범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주절의 행동은 부사절에 기술된 사건이나 작용이 발생한 직후에 일어날 것임을 나타낸다. |
기출 3회
16. 사복직 9급
15. 지방직 9급
11. 경찰직 2차
![]() |
while |
![]() |
While I was golfing, a rabbit ran across the course and knocked the ball into the hole. |
내가 골프를 치고 있는 동안, 토끼 한 마리가 코스를 가로질러 달려가 공을 홀에 빠뜨렸다. | |
while이라는 단어는 둘 이상의 동작이나 사건이 동시에 발생하는 기간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접속사이다. 이 문장에서 while은 “while”로 시작하는 부사절의 동작이 발생하는 기간 동안의 어느 한 시점에 주절의 동작이 발생함을 나타낸다. 내가 골프를 치는 동안의 어느 한 시점에서 토끼가 코스를 가로질러 달려간 것이다. |
While I was golfing | |||||||||||||
While A was happening | |||||||||||||
A | A | A | A | A | A | A | A | A | |||||
B | |||||||||||||
B happened | |||||||||||||
A rabbit ran across the course and knocked the ball into the hole. | |||||||||||||
while(~하는 동안)은 두 가지 일이 동시에 일어날 때 쓰인다. 여기에는 첫 번째 사건이 일어나서 진행중인 도중에 두 번째 사건이 발생하는 경우와, 처음부터 두 사건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그림은 A 사건이 일어나서 진행중인 도중에 B 사건이 발생하는 경우이다. | |||||||||||||
![]() |
while |
![]() |
While she was reading the book, I was working. |
그녀가 책을 읽는 동안 나는 일을 하고 있었다. | |
while은 시간이 소요되는 두 가지 행위나 상황이 동시에 일어날 때 쓰인다. 이 예문은 “그녀가 책을 읽기 시작할 때 나는 일을 하기 시작했으며 그녀가 책을 읽는 동안에 나도 일을 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
While she was reading the book | |||||||||||||
While A was happening / happened | |||||||||||||
A | A | A | A | A | A | A | A | A | |||||
B | B | B | B | B | B | B | B | B | |||||
B was happening / happened | |||||||||||||
I was working | |||||||||||||
이 그림에서 while은 처음부터 A와 B의 사건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이다. 그녀가 책을 읽는 것과 내가 일을 하는 것은 동시에 발생해서 진행되는 경우이다. | |||||||||||||
![]() |
while |
![]() |
While she studied for her exam, he watched TV. |
그녀가 시험을 공부하는 동안 그는 TV를 시청했다. | |
while은 시간이 소요되는 두 가지 행위나 상황이 동시에 일어날 때 쓰인다. 이 예문은 “그녀가 시험을 공부하는 시간 동안 그는 TV를 시청했다”는 것이다. |
While she studied for her exam | |||||||||||||
While A was happening / happened | |||||||||||||
A | A | A | A | A | A | A | A | A | |||||
B | B | B | B | B | B | B | B | B | |||||
B was happening / happened | |||||||||||||
he watched TV | |||||||||||||
이 그림에서 while은 처음부터 A와 B의 사건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이다. 그녀가 시험 공부를 하는 동안에 그는 TV를 시청했다. | |||||||||||||
![]() |
until |
![]() |
I waited for ten minutes until he arrived. |
나는 그가 도착할 때까지 10분간 계속 기다렸다. | |
내가 기다린 것은 10분간 계속되었고 그 기다림이 멈춘 시간은 그가 도착한 시점이다. 주절의 지속되는 행위를 멈추게 하는 절을 도입하는 접속사가 until, till이다. 이 때 주절의 동사는 행위나 상태가 지속되는 성질을 갖는데 이 문장에서는 waited가 왔다. |
he arrived | |||||||||||||
I waited for ten minutes | |||||||||||||
until | |||||||||||||
until, till은 어떤 순간까지 주절의 행위가 계속되는 상황이나 상태에 관해서 말할 때 쓰인다. 주절의 행위나 상태는 계속되다가 until 다음에 오는 내용에서 멈추게 된다. until, till 앞에 오는 주절의 동사는 시간적으로 지속성을 갖는 동사들이 온다. 짧은 순간에 행위가 끝나는 동사들은 맞지 않다. | |||||||||||||
양보부사절 접속사 |
양보 부사절 접속사 는 두 절의 내용이 의미상으로 대조되거나 상반될 때 이 둘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두 절에서 양보접속사가 쓰인 절은 부사절이 되고 나머지 하나는 주절이 된다. 결국 양보절 과 주절 은 의미상으로 대조 되거나 상반 된다. |
though | 비록 ~이지만 | ||
= | although | ||
= | if | ||
= | even if | ||
= | even though | ||
whereas | ~임에 반하여 | ||
while | ~라고는 하나 | ||
whether ~ or not | ~이든지 아니든지 | ||
no matter who | ~하는 사람은 누구나 | ||
no matter which | 어느 ~가 ~하든 | ||
no natter what | 어떤 ~라도 |
• | Though she is busy, she always makes time for her friends. |
비록 그녀는 바쁘지만 늘 친구들을 위해 시간을 내준다. | |
바쁘면 친구들을 위해 시간을 내 줄 수 없는 것이 자연스런 일이다. 그런데 그녀는 친구들을 위해 늘 시간을 내어준다. 이 문장에서 “Though” 절의 “바쁘다”와 주절의 “친구들을 위해 시간을 늘 내 준다”는 의미상 상반된다. 양보부사절은 이렇게 주절과 상반되는 내용의 부사절을 이끈다. |
기출 3회
16. 사복직 9급
15. 지방직 9급
11. 경찰직 2차
![]() |
even if |
![]() |
He would attend the party even if he didn’t know anyone there. |
그는 그곳에 아는 사람이 없다 하더라도 파티에 참석할 것이다. | |
파티에 아는 사람이 아무도 없다는 것과 파티에 참석한다는 내용은 서로 상반된다. 파티에 아는 사람이 아무도 없는 것이 파티에 참석하는 것에 방해가 될 수는 있지만 막지는 못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두 문장의 의미가 서로 상반될 때 쓰이는 접속사가 양보접속사이다. |
![]() |
while |
![]() |
While I really don’t like art, I find his work impressive. |
비록 나는 미술을 정말 좋아하지 않지만 그의 작품은 인상적인 것을 안다. | |
“while”은 문장의 주절에 대한 대비나 양보를 나타내는 양보절을 도입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양보절에서 “while”는 “비록” 또는 “~에도 불구하고, ~라고는 하나”를 의미한다. 이 문장에서 “while”은 그의 작품이 인상적이라고 표현하는 주절과 대비되는 양보절을 소개한다. 양보절은 미술을 좋아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반대로 그의 작품은 인상적이라는 것을 표현하고 있다. |
![]() |
whether ~ or |
![]() |
Whether you like it or not, you have to pay your taxes every year. |
좋든 싫든, 당신은 매년 세금을 내야 한다. | |
“whether”는 둘 이상의 대안이나 가능성 사이에서 선택을 도입하기 위해 사용된다. 불확실성이나 의심을 표현하고 다른 옵션 사이에서 결정이나 선택이 이루어져야 함을 나타내기 위해 종종 사용된다. 이 문장에서 ‘whether’은 당신이 즐기든 안 즐기든 상관없이 세금 납부가 의무임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된다. 세금 납부를 피할 수 있는 선택지가 없고, 청취자가 법을 준수해야 한다는 뜻이다. |
![]() |
no matter what |
![]() |
No matter what happens, we will never give up. |
무슨 일이 일어나도, 우리는 절대 포기하지 않을 것이다. | |
“no matter what”은 일반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어려움이나 도전에 관계없이 어떤 행동이나 결정 과정에 대한 강한 결심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문장에서 “no matter what”은 발생할 수 있는 어떤 도전이나 장애물도 견뎌내려는 화자와 우리라는 집단의 결심과 의지를 강조한다. 우리의 결심이 강하고 굽히지 않으며, 우리의 목표나 포부를 포기하지 않을 것임을 시사한다. |
도치양보 부사절 접속사 |
도치양보 란 양보접속사인 as , though , that 앞에 보어 를 두는 것이다. |
• | (As) 형용사 | ||
• | 부사 | + as/ though/ that S + V | |
• | 무관사 명사 | ||
보어 | 비록 ~이지만 |
• | As cold as it was, we went out. |
날씨가 추웠지만, 우리는 밖으로 나갔다. | |
‘As cold as it was(날씨가 추었지만)’이라는 문구는 주절 ‘we went out(우리가 나갔다)’과 대비되는 내용을 소개하는 양보적인 내용이다. 보통 추운 날씨가 외출을 억제하는 요인이 되어 밖으로 나가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암시하지만, 이 경우에는 반대로 우리는 외출을 선택함으로써 두 절은 대비되는 내용의 양보절 문장이다. 원래 이 문장은 It was cold 어순이었는데 보어인 cold가 문두로 나가면서 문장의 어순이 도치가 되었다. 여기에 양보접속사인 as와 만나면서 도치양보절이 되었다. As cold as it was에서 첫 번째 as는 생략할 수 있다. |
기출 3회
16. 사복직 9급
15. 지방직 9급
11. 경찰직 2차
![]() |
that |
![]() |
Naked that I was, I braved the storm. |
비록 알몸이었지만, 나는 폭풍우를 무릅썼다. | |
이 문장은 강조를 위해 동사 다음에 있어야 할 보어가 주어 앞에 나가 있는 어순이 도치된 문장이다. 이 문장에서 “알몸이었다”는 말은 사람의 취약성이나 노출된 상태를 강조하는 도입어구이다. 알몸이었으면 폭풍우를 피하는 것이 순리지만 나는 반대로 폭풍우를 무릅쓰는 행동을 취하므로서 주절과 that절은 상반된 행동이므로 양보절 문장이다. 이 문장의 원래 어순은 I was naked이다. 그런데 보어인 naked를 주어 앞에 보내고 주절과 의미가 상반되는 내용이라서 양보접속사 that을 결합시켜서 양보절이 되었다. |
이유부사절 접속사 |
이유 부사절 접속사 는 원인 + 결과로 구성된 문장에서 원인을 제공하는 절을 이끄는 접속사이다. 문장은 이유부사절 + 주절로 구성되는데 두 절의 순서는 이유접속사에 따라 다르다. 이유부사절이 주절 앞에 올 수도 있고 주절 뒤에 올 수도 있다. |
• | because | [접] ~때문에 |
• | as | |
• | since | |
• | in that | |
• | now that | |
• | seeing that | |
• | inasmuchas | |
• | in that | [접] ~라는 점에서 |
• | I was late because my car broke down. |
나는 차가 고장났기 때문에 늦었다. | |
“because”라는 단어는 어떤 결과에 대한 원인이나 이유 소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속사이다. 주절에서 ‘내가 늦었다’는 것은 결과에 해당되고 결과를 초래하게 된 원인이나 이유는 ‘자동차의 고장’이다. [원인 + 결과]를 나타내는 문장에서 because는 ‘원인’을 이끌고 주절은 원인으로 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
기출 3회
16. 사복직 9급
15. 지방직 9급
11. 경찰직 2차
![]() |
in that |
![]() |
I am fortunate in that I have many friends. |
나는 많은 친구들이 있다는 점에서 행운이다. | |
“in that”라는 문구는 두 절 사이의 인과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친구가 많다는 점에서 나는 행운이다’는 문장에서 말하는 사람이 스스로를 행운이라고 생각하는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in that’라는 문구를 사용했다. 이 문장에서도 “in that”라는 문구는 문장의 두 부분 사이의 인과관계를 나타낸다. |
![]() |
now that |
![]() |
Now that I realize his brother’s chicanery, I feel that it will be impossible for me to trust his brother sincerly in the future. |
나는 그의 동생의 속임수를 깨달았기 때문에, 앞으로 그의 동생을 진심으로 믿는 것은 불가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 |
“now that”은 인과관계인 원인 + 결과를 나타내는데 어떤 일이 일어났고 그 결과로 다른 일이 일어남을 나타낸다. 이 문장에서는 “그의 동생의 속임수”가 원인이고 그것으로 인해 “그의 동생을 믿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이 결과이다. |
결과부사절 접속사 |
문장의 내용이 원인 + 결과로 구성되어 있고 원인을 제공하는 문장에 so나 such a 가 있으면 결과 부사절을 이끄는 접속사는 that이다. 문장은 원인(so /such ~) + 결과절(that절)로 구성된다. |
• | so + 형 + (a + 명) | + | that | |
• | such a + 형 + 명 | + | that | |
매우 ~해서 ~하다 | ||||
괄호 ( )안에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 형= 형용사, 명= 명사, 부= 부사, 목= 목적어 |
• | He was so kind that he helped me. |
그는 매우 친절해서 나를 도와 줬다. |
기출 3회
16. 사복직 9급
15. 지방직 9급
11. 경찰직 2차
![]() |
so ~ that |
![]() |
Rubber can be made so elastic that it will stretch more than nine times its normal length. |
고무는 너무 탄력적이어서 보통 길이의 9배 이상 늘어나게 만들 수 있다. | |
문맥상 의미는 원인과 결과로 구성되어 있고 원인을 제공하는 주절에 so가 있으므로 결과부사절을 이끄는 절은 that으로 시작하고 있다. |
![]() |
such ~ that |
![]() |
Albert Einstein was such a brilliant scientist that many of his colleagues had to study for several years in order to form opinions about his theories. |
알버트 아인슈타인은 매우 뛰어난 과학자였기 때문에 그의 많은 동료들은 그의 이론에 대한 의견을 형성하기 위해 몇 년 동안 연구해야 했다. | |
문맥상 의미는 원인과 결과로 구성되어 있고 원인을 제공하는 주절에 such a가 있으므로 결과부사절을 이끄는 절은 that으로 시작하고 있다. |
목적부사절 접속사 |
목적 부사절 접속사 는 어떤 행동의 목적을 나타낸다. 문장의 구성은 주절 + 목적부사절의 순서이다. 목적부사절의 내용은 “자신이 실현하고자 하는 일“이며 주절의 내용은 “그것을 실현하기 위한 행동“이 온다. 문장의 내용이 자신이 실현하고 하는 일과 그것을 실현하기 위한 행동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목적부사절 접속사는 that, so that, in order that 중에서 선택한다. |
that ~ may/can/will | ~할 목적으로 | |
so that ~ may/can/will | ||
in order that ~ may/can/will | ||
lest ~ should | ~하지 않도록 | |
for fear that ~ should |
• | My father worked hard so that his family might live in comfort. |
나의 아버지는 자신의 가족들이 편안하게 살 수 있도록 열심히 일하셨다. | |
“그의 가족이 편안하게 사는 것”이 “화자가 실현하고자 하는 일”이므로 접속사로 so that을 사용했고 “열심히 일을 한 것”은 “실현하고자 하는 일을 위한 행동”이다. |
기출 3회
16. 사복직 9급
15. 지방직 9급
11. 경찰직 2차
![]() |
lest ~ should |
![]() |
They always speak low lest they should be overheard. |
그들은 남의 말을 듣지 않도록 늘 낮은 소리로 말한다. | |
“남의 말을 듣지 않는것”이 화자가 실현하고자 하는 일이고 그것을 실현하기 위한 행동으로 화자는 “늘 낮은 소리로 말한다. 문장에서 화자가 실현하고자 하는 일을 나타내기 위한 접속사로 lest를 선택했다. lest(~하지 않도록)는 접속사이다. |
비례부사절 접속사 |
비례관계 는 두 사건이 동시에 일어나고 있고, 한 사건이 다른 사건을 야기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럴 때 쓰이는 접속사가 비례관계 접속사인 “as(~함에 따라서)”이다. 두 사건은 서로 비례관계이므로 발생시간이 같다. 그래서 as절과 주절의 두 동사는 시제가 같다. |
As S + V | ~함에 따라 |
||
according as S + V |
• | As it grew darker, it became colder. |
어두워짐에 따라 더 추워졌다. | |
날이 어두워지면서 기온이 떨어지고 추워졌다는 것을 암시한다. 어둠과 추위와의 관계가 반드시 직접적인 인과관계는 아니지만, 문장은 둘 사이에 모종의 연관성이 있음을 암시한다. 두 절은 같은 시간에 발생했고 그래서 두 절의 동사는 시제가 과거(grew, became)이다. |
기출 3회
16. 사복직 9급
15. 지방직 9급
11. 경찰직 2차
![]() |
according as |
![]() |
According as the demand increases, prices go up. |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가격은 올라간다. | |
“according as”는 하나가 다른 것에 반응하여 변화하는 두 사물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문장에서는 수요가 증가하는 것에 가격이 반응하여 변하는 관계를 묘사하고 있다. “according as”는 “as”보다 더 공식적이고 덜 일반적이며 강조를 전달하기 위해 가끔 쓰인다. |
양태부사절 접속사 |
양태란 사물이 존재하는 모양을 말하며, 양태 접속사인 just as는 두 대상 간의 유사성을 비교하거나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속사이다. |
(Just) as S + V (꼭 ~인 것 처럼) |
• | Just as a doctor takes care of a patient, a teacher takes care of a student. |
의사가 환자를 돌보는 것처럼 선생님도 학생을 돌본다. | |
“Just as”는 두 대상 간의 유사성을 비교하거나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속사이다. 이것은 어떤 것을 다른 것과 대조하거나 비교하는 내용을 도입하는 절을 이끈다. 이 문장에서는 의사가 환자를 돌보는 것과 선생님이 학생을 돌보는 관계가 유사함을 나타낸다. |
기출 3회
16. 사복직 9급
15. 지방직 9급
11. 경찰직 2차
![]() |
just as |
![]() |
Just as a plant needs water to grow, humans need food to survive. |
식물이 자라기 위해 물이 필요한 것처럼, 인간도 살아남기 위해 음식이 필요하다. | |
“Just as”는 두 대상 간의 유사성을 비교하거나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속사이다. 이것은 어떤 것을 다른 것과 대조하거나 비교하는 내용을 도입하는 절을 이끈다. 이 문장에서는 물이 식물의 성장과 생존에 필수적인 요소인 것처럼 음식도 인간의 성장과 생존에 필수적인 요소라는 두 대상 간의 유사성을 비교하고 있다. 두 대상 간의 유사성을 서술하는 두 절이 오면 접속사로 just as를 선택한다. |
접속
부사
접속부사 |
접속부사 는 접속사가 아니므로 앞 문장이나 절이 마침표(.)로 끝나거나 세미콜론(;)으로 끝나고 그 다음 문장이나 절의 첫머리나 중간 또는 마지막에 위치할 수 있다. 접속부사는 접속사의 역할을 돕기 위해 and also, and so, and therefore, and yet, but still, or else처럼 접속사와 함께 쓰이기도 한다. |
• | I’d like a hamburger. Also, I need a cup of coffee. |
햄버거 하나 주세요. 또한, 커피도 한 잔 필요합니다. | |
접속부사인 also는 첫 번째 문장이 마침표로 끝나고 두 번째 문장이 시작되는 I need 앞에 들어갔다. |
기출 3회
16. 사복직 9급
15. 지방직 9급
11. 경찰직 2차
![]() |
세미콜론(;) |
![]() |
I am taking my umbrella with me; otherwise, I am going to get wet. |
나는 우산을 가지고 갈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나는 젖을 것이다. | |
접속부사인 otherwise는 첫 번째 절이 세미콜론(;) 끝나고 두 번째 절이 시작되는 I am 앞에 들어갔다. |
![]() |
접속사 + 접속부사 |
![]() |
His toothache grew worse, but still he didn’t complain. |
그의 치통은 더 심해졌다. 그럼에도 그는 아프다는 소리를 하지 않았다. | |
접속부사인 still이 접속사인 but과 함께 쓰였다. |
![]() |
접속부사의 위치 |
![]() |
He is nice; however, he has no friends. |
He is nice; he has ,however, no friends. | |
He is nice; he has no friends, however. | |
그는 착하지만 친구가 없다. | |
접속부사인 however는 뒤에 오는 절의 첫머리, 중간, 마지막에 위치할 수 있다. |
결과 접속부사 |
결과접속부사 는 두 문장을 해석했을 때 [원인 + 결과]로 구성되어 있을 때 결과 문장의 시작점에 들어간다. |
• | accordingly | 따라서 |
• | hence | 따라서 |
• | thus | 따라서 |
• | therefore | 따라서, 그 결과 |
• | as a result | 결국 |
• | after all | 결국 |
• | consequently | 결과적으로 |
• | I have a lot of work to do, and therefore, I cannot go to the party tonight. |
나는 할 일이 많다. 그래서 오늘 밤 파티에 갈 수 없다. | |
“therefore”는 앞 절의 진술이나 주장이 원인이 되고 뒤이어서 결과절이 나올 때 결과절 앞에 들어간다. 즉 “원인/이유 + therefore + 결과/결론”의 형식으로 쓰인다. 첫 번째 절과 두 번째 절의 관계가 원인 + 결과 관계이면 결과절 앞에 쓰이는 접속부사는 결과접속부사를 선택하면 된다. |
기출 3회
16. 사복직 9급
15. 지방직 9급
11. 경찰직 2차
![]() |
therefore |
![]() |
Fuel is becoming scarce again; therefore, we will have to develop transportation systems that do not depend on gas and oil. |
연료가 다시 부족해지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가스와 석유에 의존하지 않는 운송 시스템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 |
연료가 부족해지는 것이 원인이 되어서 그 결과로 석유에 의존하지 않는 운송시스템을 개발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글은 원인과 결과로 구성된 문장이므로 두 번째 문장의 시작점에 therefore가 들어가 있다. |
![]() |
hence |
![]() |
She didn’t study for the exam, hence, she failed. |
그녀는 시험 공부를 하지 않았다. 그래서 그녀는 실패했다. | |
“hence (따라서, 그래서, 그러므로)”는 앞의 절이 원인이고 뒤의 절이 결과일 때 결과절 앞에 쓰인다. 즉 “원인 + hence + 결과” 형식으로 쓰인다. 이 문장도 그녀가 시험 공부를 하지 않는 것이 원인이 되어서 그 결과로 실패한 것이다. 문장을 해석해서 원인과 결과 관계일 때 선택할 수 있는 접속부사는 결과접속부사이다. |
양보 접속부사 |
양보접속부사 는 두 문장을 해석했을 때 [부정 + 긍정, 단점 + 장점, 동의 + 거절] 과 같이 앞 문장과 뒷 문장이 서로 반대되는 상황이 있을 때 뒷 문장의 시작점에 들어간다. |
nevertheless | 그럼에도 불구하고 | |
nonetheless |
• | The weather is cold and rainy. Nevertheless a large crowd gathered for the soccer game. |
날씨가 춥고 비가 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관중들이 축구 경기를 위해 모였다. | |
“nevertheless”는 두 생각 또는 두 진술 사이의 대조 또는 모순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단어이다. 앞의 진술이 사실임을 인정하면서 앞의 진술과 대조되는 진술을 도입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문장에서 “날씨가 춥다는 것과 많은 관중들이 모였다”는 것은 대조된다. 이렇게 대조되는 상황에서 두 문장 사이에 들어갈 접속부사를 선택해야 한다면 양보접속부사를 선택해야 한다. |
기출 3회
16. 사복직 9급
15. 지방직 9급
11. 경찰직 2차
![]() |
nonetheless |
![]() |
The weather forecast predicted rain all day; nonetheless, we decided to go on a picnic. |
일기예보에서 하루 종일 비가 온다고 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소풍을 가기로 했다. | |
“nonetheless”는 두 생각 또는 두 진술 사이의 대조 또는 모순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단어이다. 앞의 진술이 사실임을 인정하면서 앞의 진술과 대조되는 진술을 도입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문장에서는 “하루 종일 비가 온다는 일기예보를 인정하면서도 소풍을 가겠다”는 대조된 모습이다. |
🌧 | 🌧 | 🌧 | 🌧 | 🌧 | |||||
☔ | |||||||||
🚶 | |||||||||
대조 접속부사 |
대조접속부사 는 두 문장의 의미가 대조나 모순될 때 쓰인다. 문장에서 위치는 두 번째 문장의 시작점에 들어간다. 대조 접속부사는 표면적으로는 양보 접속부사와 같은 상황에 쓰인다. 양보는 두 사람과의 대화 과정에서 나오고 대조는 한 사람의 일방적인 주장이다. |
• | however | 그러나 |
• | yet | 그럼에도, 그러나 |
• | still | 그럼에도 |
• | He was very tired; however he kept on working. |
그는 매우 피곤했다. 하지만 계속 일했다. | |
“however (그러나)”는 두 절 사이의 대조나 모순을 나타낼 때 사용된다. 첫 문장의 “매우 피곤했다”와 두 번째 문장의 “계속 일을 했다”는 의미상 대조이다. 이렇게 두 문장이 대조될 때 쓰이는 접속부사가 대조 접속부사이다. |
기출 3회
16. 사복직 9급
15. 지방직 9급
11. 경찰직 2차
![]() |
still |
![]() |
It is raining; still I’d like to go if you don’t mind. |
비가 오고 있다. 그럼에도 만일 너만 괜찮다면 나는 가고 싶다. | |
“still(그럼에도, 그러나)”은 두 생각 또는 두 진술 사이의 대조 또는 모순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이 문장에서 “비가 오고 있으면 밖에 나가지 않는 것이 순리인데 반대로 가고 싶다고 했으므로 두 절은 대조이다. 두 절의 의미가 대조일 때 선택할 수 있는 접속 부사는 대조나 양보 접속부사이다. 여기서 still은 대조 접속부사로 쓰였다. |
🌧 | 🌧 | 🌧 | 🌧 | 🌧 | |||||
☔ | |||||||||
🚶 | |||||||||
![]() |
yet |
![]() |
She is very busy; yet she always finds time to help others. |
그녀는 매우 바쁘다, 하지만 항상 다른 사람들을 도울 시간을 찾습니다. | |
“yet (그럼에도, 그러나)”은 두 개의 대조적인 생각을 연결하고 한 가지가 사실임에도 불구하고 또 다른 것도 사실임을 보여주는 접속사나 접속부사로 사용된다. 첫 번째 내용은 “그녀가 매우 바쁘다”고 하는데 그러면 다른 사람을 도와줄 시간을 찾지 않는 것이 순리인데 그와는 반대로 다른 사람을 도와줄 시간을 찾고 있다. 이런 경우 두 내용은 대조적이다. 대조적인 것을 연결하는 접속부사로 yet이 쓰였다. yet을 선택할 때는 먼저 두 절의 내용이 서로 대조적인지 부터 살펴야 한다. |
|
![]() 대조이미지 |
결과 접속부사 |
결과접속부사 는 두 문장을 해석했을 때 [원인 + 결과]로 구성되어 있을 때 결과 문장의 시작점에 들어간다. |
• | accordingly | 따라서 |
• | hence | 따라서 |
• | thus | 따라서 |
• | therefore | 따라서, 그 결과 |
• | as a result | 결국 |
• | after all | 결국 |
• | consequently | 결과적으로 |
• | I have a lot of work to do, and therefore, I cannot go to the party tonight. |
나는 할 일이 많다. 그래서 오늘 밤 파티에 갈 수 없다. | |
“therefore”는 앞 절의 진술이나 주장이 원인이 되고 뒤이어서 결과절이 나올 때 결과절 앞에 들어간다. 즉 “원인/이유 + therefore + 결과/결론”의 형식으로 쓰인다. 첫 번째 절과 두 번째 절의 관계가 원인 + 결과 관계이면 결과절 앞에 쓰이는 접속부사는 결과접속부사를 선택하면 된다. |
기출 3회
16. 사복직 9급
15. 지방직 9급
11. 경찰직 2차
![]() |
therefore |
![]() |
Fuel is becoming scarce again; therefore, we will have to develop transportation systems that do not depend on gas and oil. |
연료가 다시 부족해지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가스와 석유에 의존하지 않는 운송 시스템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 |
연료가 부족해지는 것이 원인이 되어서 그 결과로 석유에 의존하지 않는 운송시스템을 개발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글은 원인과 결과로 구성된 문장이므로 두 번째 문장의 시작점에 therefore가 들어가 있다. |
![]() |
hence |
![]() |
She didn’t study for the exam, hence, she failed. |
그녀는 시험 공부를 하지 않았다. 그래서 그녀는 실패했다. | |
“hence (따라서, 그래서, 그러므로)”는 앞의 절이 원인이고 뒤의 절이 결과일 때 결과절 앞에 쓰인다. 즉 “원인 + hence + 결과” 형식으로 쓰인다. 이 문장도 그녀가 시험 공부를 하지 않는 것이 원인이 되어서 그 결과로 실패한 것이다. 문장을 해석해서 원인과 결과 관계일 때 선택할 수 있는 접속부사는 결과접속부사이다. |
부과 접속부사 |
부과 접속부사 는 앞에서 언급된 내용에 추가적인 정보나 설명을 추가하기 위해 사용된다. |
• | besides | 게다가 |
• | moreover | 게다가 |
• | likewise | 게다가, 또한 |
• | in addition | 게다가 |
• | furthermore | 게다가, 더군다나 |
• | indeed | 게다가(부가), 실제로(강조) |
• | also | 또한 |
• | I’m not really hungry right now. besides, I already ate a big breakfast this morning. |
지금은 별로 배가 고프지도 않다. 게다가 오늘 아침은 이미 푸짐하게 먹었다. | |
“besides(게다가)”는 종종 추가적인 생각이나 정보를 나타내거나 관련은 있지만 별개의 주제를 소개할 때 사용된다. 이 문장에서는 화자가 배고프지 않다는 진술에 그 이유를 추가하고 있다. |
기출 3회
16. 사복직 9급
15. 지방직 9급
11. 경찰직 2차
![]() |
likewise |
![]() |
My sister enjoys reading mystery novels. likewise, my brother is also a big fan of the genre. |
제 여동생은 추리 소설을 즐겨 읽는다, 게다가 제 남동생도 그 장르의 열렬한 팬이다. | |
“likewise(게다가, 또한)”는 어떤 진술이나 행동이 이전 진술이나 행동과 비슷하거나 일치한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즉 두 가지 생각 또는 두 가지 진술 사이의 일치 또는 유사성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이 문장은 여동생과 남동생이 추리소설에 대해 갖고 있는 유사한 특성을 서술하고 있다. |
![]() |
moreover |
![]() |
The new policy will help reduce carbon emissions. Moreover, it will also save the company money on energy costs. |
새로운 정책은 탄소 배출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게다가, 그것은 또한 에너지 비용에 대한 회사의 돈을 절약할 것이다. | |
“Moreover (게다가)”는 앞의 주장이나 진술에 생각을 추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문장에서는 새로운 정책은 탄소 배출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진술에 그것이 에너지 비용에 대한 돈을 절약할 것이라는 정보가 추가되었다. |
부연 접속부사 |
부연 접속부사 는 앞에 설명한 문장의 내용에 대해서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설명이나 근거를 추가할 때 쓰인다. 문장에서의 위치는 두 번째 문장의 시작점이다. |
• | in fact | 사실은 |
• | in other words | 다시 말하서 |
• | namely | 다시 말해서 |
• | that is to say | 바꿔 말하면 |
• | actually | 사실은 |
• | I have visited many cities in Europe, namely Paris, Rome, and Madrid. |
나는 유럽의 많은 도시들, 다시 말해서 파리, 로마, 마드리드를 방문했다. | |
“namely (다시 말해서)“는 언급된 항목을 보다 정확하게 명시하거나 나열하거나 보다 구체적인 세부 사항을 제공함으로써 진술을 명확히 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문장에서 “namely,”는 내가 유럽에서 방문한 도시에 대해서 정확하게 나열하고 있다. |
기출 3회
16. 사복직 9급
15. 지방직 9급
11. 경찰직 2차
![]() |
in fact |
![]() |
I thought I was going to be late, but in fact, I arrived 10 minutes early. |
나는 늦을 거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사실은 10분 일찍 도착했다. | |
“in fact(사실은)”는 앞서 언급한 내용과 모순되거나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진술을 도입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것은 진술의 진실성을 뒷받침하는 정보를 추가할 때 사용되므로 더 강력하고 설득력이 있다. 이 문장에서 late(늦게)와 early(일찍)는 모순되는 개념이며 in fact 다음에 앞서 언급된 내용과 모순되는 추가적인 정보가 제공되었다. |
예시 접속부사 |
예시 접속부사 는 앞에서 언급된 포괄적인 내용에 대해서 논리적이고 객관적이며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을 함으로써 상대방을 설득하고 이해시키는데 도움을 주고자 할 때 쓰인다. 문장에서의 위치는 첫 번째 문장이 끝난 다음이다. |
• | for example | 예를 들어 |
• | for instance |
• | Eating a balanced diet is essential for maintaining good health. For example, incorporating a variety of fruits and vegetables into your meals can provide important vitamins and nutrients. |
균형 잡힌 식사를 하는 것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예를 들어, 다양한 과일과 야채를 여러분의 식사에 포함시키는 것은 중요한 비타민과 영양분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 |
“for example”은 앞서 진술한 균형 잡힌 식사에 대해서 과일과 야채라는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
기출 3회
16. 사복직 9급
15. 지방직 9급
11. 경찰직 2차
![]() |
for instance |
![]() |
There are many different ways to stay active and healthy, such as going to the gym or taking yoga classes. For instance, I like to stay active by going for a run. |
체육관에 가거나, 요가 수업을 듣는 것과 같이 활동적이고 건강하게 지낼 수 있는 많은 다른 방법들이 있다. 예를 들어, 나는 달리기를 하면서 활동적으로 지내는 것을 좋아한다. | |
이 문장에서 “for instance”는 달리기를 통해서 활동적이고 건강하게 지내는 한 가지 구체적인 예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이는 앞의 진술을 뒷받침하고 명확히 하는 데 도움이 되며, 듣는 사람이나 읽는 사람이 말하는 사람의 관점과 경험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
시점 접속부사 |
시점 접속부사 는 시간의 전후 관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된다. meanwhile(그 동안에) 두 가지 이상의 사건이 동시에 일어나고 있음을 나타낼 때 사용된다. afterward(나중에)는 일어난 일이나 발생한 사건이나 상황에 대한 시간적 순서를 나타내는 부사이다. 즉, 어떤 사건이나 일이 일어난 이후에 다른 사건이나 일이 일어났음을 나타낸다. |
• | meanwhile | 그 동안에 |
• | afterward | 나중에, 그 후 |
• | I am going to cook dinner. Meanwhile, my husband will set the table and the kids will finish their homework. |
나는 저녁을 요리할 것이다. 그러는 동안 남편은 식탁을 차리고 아이들은 숙제를 끝낼 것이다. | |
이 문장에서 “meanwhile”은 화자가 저녁을 요리하는 동안 다른 사건들이 동시에 일어나고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다. 남편은 식탁을 차리고 있고 아이들은 화자가 요리하는 것과 동시에 숙제를 끝내고 있다. 이 단어는 여러 가지 일이 동시에 일어나고 있다는 생각을 전달하는 데 도움이 되며, 발생하고 있는 여러 사건들 사이의 원활한 전환을 제공한다. |
기출 3회
16. 사복직 9급
15. 지방직 9급
11. 경찰직 2차
![]() |
afterward |
![]() |
I went to the gym, and afterward, I stopped by the grocery store to buy some fruits. |
나는 체육관에 갔다. 그리고 그 후 과일을 사러 식료품점에 들렀다. | |
이 문장에서 “afterward(나중에, 그 후)”는 내가 체육관에 먼저 갔고 시간적으로 그 다음에 식료품 가게에 들렀음을 나타내어 시간적 순서를 설명해 주고 있다. |
선택 접속부사 |
선택 접속부사 는 두 절 사이의 조건부 관계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다. 첫 번째 문장은 특정한 행동이나 상황을 제시하고, 두 번째 문장은 그 행동이나 상황을 따르지 않았을 때의 결과를 제시한다. |
• | otherwise | 그렇지 않으면 |
• | or esle |
• | You should bring an umbrella with you; otherwise, you might get wet if it rains |
너는 우산을 가지고 가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비가 오면 젖을 수 있다. | |
문장의 첫 부분은 추천이나 제안이다. 그것은 듣는 사람이나 읽는 사람이 외출할 때 우산을 가지고 가야 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두 번째 문장은 그 권고를 따르지 않았을 때 있을 가능성이 있는 결과를 제시한다. |
기출 3회
16. 사복직 9급
15. 지방직 9급
11. 경찰직 2차
![]() |
or else |
![]() |
You need to study hard, or else you will fail the exam. |
너는 열심히 공부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시험에 떨어질 것이다. | |
첫 번째 문장은 듣는 사람이나 읽는 사람이 공부를 열심히 해야 한다는 상황을 제시했고 두 번째 문장은 그렇게 하지 않았을 때의 결과를 제시하여 경각심을 높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