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TELP
GRAMMAR
RELATIVE PRONOUN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의 이해 |
관계대명사에서 관계는 앞과 뒤의 절을 이어주는 관계이므로 접속사의 역할을 뜻하고 대명사는 명사를 대신한다는 뜻이다. 즉 관계대명사는 단어 하나로 앞의 절과 뒤의 절을 이어주는 접속사의 역할과 앞의 명사를 가리키는 대명사의 역할을 동시에 한다. |
수식받는 명사 ↰ 관계대명사 + (주어) + 동사 + (목적어) |
• | 관계대명사 는 접속사 + 대명사 역할을 한다. |
• | 관계대명사 다음은 불완전한 절 (주어나 목적어, 보어가 없는 절) 이 온다. |
• | 관계대명사절 로 부터 수식받는 명사를 선행사 라 한다. |
• | 관계대명사절 은 선행사라는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절 이다. |
• | 관계대명사 가 1개 이면 절(=주어 + 동사) 은 2개 이다. |
I know | a boy | and | she | loves | him | . | ||||
접속사 | 대명사(목적어) | |||||||||
= | I know | a boy | whom | she | loves | . | ||||
선행사 | 관계대명사 | 불완전한 절 (목적어 없음) | ||||||||
관계대명사절 (boy를 수식하는 형용사절) | ||||||||||
나는 그녀가 사랑하는 한 소년을 알고 있다. |
기출 2회
18. 교행직 9급
18. 경찰직 1차
관계대명사의 종류
관계대명사에는 선행사가 있는 관계대명사와 선행사가 없는 관계대명사가 있다. 선행사가 있다면 사람, 사물, 동물 중에서 어떤 것이 오는 가에 따라서 관계대명사의 종류가 달라진다. 따라서 관계대명사를 선택할 때는 첫째로 관계대명사가 들어갈 자리의 바로 앞에 있는 선행사부터 파악해야 한다. |
선행사 | 주격 | 소유격 | 목적격 |
사람 | who | whose | whom |
사물 | which | whose, of which | which |
동물 | |||
모두 | that | 없음 | that |
없음 | what | 없음 | what |
↳ | 선행사가 관계대명사 앞에 없을 때는 반드시 what(선행사를 포함하고 있음)을 선택해야 한다. that과 what은 소유격이 없다는 것도 기억해야 한다. |
↳ | that의 선행사는 사람, 사물, 동물 모두 가능하다. |
기출 2회
18. 교행직 9급
18. 경찰직 1차
who
• | who 의 선행사 는 사람 이다. | |
• | who , whose + 명사 , whom 다음은 불완전한 절 이 온다. | |
• | whose 는 명사와 결합해서만 쓰이고 단독으로 쓸 수 없다 . |
사람 | + | who | + | (S) + V + (O) | ||
whose + 명사 | ||||||
whom | ||||||
선행사 | 관계대명사 | 불완전한 절 |
• | He has a son who is wise. |
그는 현명한 아들이 한 명 있다. | |
who 다음의 절은 is의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이다. | |
• | He has a son whose name is Tom. |
그는 이름이 톰인 아들이 한 명 있다. | |
whose name 다음의 절은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이다. |
기출 12회
19. 지방직 7급
18. 법원직 9급
18. 소방직 공채
15. 국회직 9급
14. 법원직 9급
13. 지방직 7급
08. 국가직 9급
18. 경찰직 1차
16. 경찰직 2차
13. 경찰직 1차
12. 경찰직 1차
11. 경찰직 1차
which
• | which 의 선행사 는 사물 , 동물 이다. |
• | which 다음은 불완전한 절 이 온다. |
• | 소유격인 whose 는 the가 없는 명사와 결합 한다. |
• | 소유격인 of which 는 the + 명사 와 결합해서 쓰인다. |
사물 | which | (S) + V ~ | ||
동물 | whose + 명사 | |||
of which + the 명사 | ||||
the 명사 + of which | ||||
선행사 | 관계대명사 | 불완전한 절 |
• | He has a book which I like. |
그는 내가 좋아하는 책을 갖고 있다. | |
which 다음의 절은 like의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이다. | |
• | He has a book whose the cover is red. (X) |
그는 표지가 붉은 책이 있다. | |
whose 다음에 오는 명사는 the가 없어야 한다. the + 명사는 of which와 결합한다. whose the cover → whose cover (or of which the cover, the cover of which) | |
whose cover 다음의 절은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이다. |
기출 15회
21. 국가직 9급
19. 지방직 7급
18. 교행직 9급
18. 법원직 9급
18. 국회직 9급
17. 지방직 7급
16. 교행직 9급
16. 경찰직 1차
15. 국회직 9급
14. 서울시 9급
14. 기상직 9급
13. 지방직 9급
12. 지방직 9급
12. 법원직 9급
11. 지방직 9급
관계대명사 용법
• | 관계대명사 앞 에 콤마 를 둘 수 있는 것은 who , which 이다. |
• | 콤마 다음 의 which 는 앞 절의 일부나 전체 를 선행사 로 받기도 한다. |
• | 관계대명사 앞에 콤마가 없으면 제한적 용법, 있으면 계속적 용법이라 한다. |
• | Our car, which is second-handed, breaks down. |
우리차는 중고인데 고장났다. | |
which 다음은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이며 our car이 선행사이다. | |
• | He admires Tom, which I find natural. |
그는 톰을 칭찬하는데, 나는 당연하다고 본다. | |
which 다음은 find의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이며 앞 문장이 선행사이다. |
기출 7회
18. 법원직 9급
14. 기상직 9급
13. 서울시 7급
10. 국가직 9급
15. 경찰직 3차
12. 경찰직 2차
11. 경찰직 2차
that
• | that 의 앞 에는 콤마 와 전치사 를 둘 수 없다 . |
• | that 다음은 불완전한 절 이 온다. |
사람 | + | that | + | (S) + V + (O) + (C) |
사물 | ||||
동물 | ||||
선행사 | 불완전한 절 |
• | I like this book, that is illustrated. (X) |
나는 이 책을 좋아하며, 삽화가 되어있다. that → which | |
• | This is the house in that he lives. (X) |
이곳은 그가 살고 있는 집이다. | |
in that he lives → that he lives in |
기출 9회
20. 지방직 7급
19. 국회직 8급
18. 서울시 9급
17. 국가직 9급
17. 경찰직 여경
14. 국가직 9급
13. 서울시 9급
13. 국가직 9급
12. 경찰직 1차
what
• | what 앞 에는 선행사 와 콤마 가 올 수 없다 . |
• | what 다음 은 불완전한 절 이 온다. |
• | what 절은 명사절 이다. |
X | + | what | + | (S) + V + (O) + (C) |
선행사 | 불완전한 절 |
• | what we/ you/ they call | 이른바 |
• | what is called | 이른바 |
• | what is more | 더욱이 |
• | what is worse | 설상가상 |
↳ 이 어구들은 삽입절로 쓰이는 부사절이다. |
• | This is the pen what he advertise. (X) |
이것은 그가 광고하는 펜이다. | |
what → which ※ the pen (선행사) | |
• | The car is old, and what is more, it is rare. |
그 차는 오래됐고 더욱이 희귀하다. |
기출 14회
20. 지방직 9급
20. 지방직 7급
19. 지방직 7급
19. 국회직 8급
19. 소방직 공채
18. 법원직 9급
18. 지방직 9급
18. 지방직 7급
17. 지방직 9급
17. 경찰직 1차
17. 경찰직 여경
16. 서울시 7급
13. 국가직 7급
11. 국회직 9급
but
• | 선행사 가 부정의미 이면 관계대명사 로 that, but 을 쓴다. |
• | 의문사 가 있는 의문문이면 관계대명사 로 that, but 을 쓴다. |
• | but 은 that ~ not 의 뜻이므로 but 다음에 not이 올 수 없다 . |
부정어 | + | but | + | (S) + V + (O) + (C) |
선행사 | 관계대명사 | 불완전한 절 |
• | There is nobody but has not his faults. (X) |
결점이 없는 사람은 없다. has not → has | |
관계대명사 but은 that ~ not의 역할이므로 이미 not의 뜻이 있다. has not → has |
기출 2회
12. 경찰직 1차
10. 국가직 9급
삽입절
관계대명사 다음에 술어동사 2개가 나란히 있다면 관계대명사 다음의 주어 + 동사는 삽입절이다. 삽입절은 삭제하고 문장을 파악하는 것이 좋다. 삽입절이 있는 문장은 최소 3개의 술어동사가 있어야 한다. |
관계대명사 + 주어 + 동사 + 동사 + ~ |
삽입절 불완전한 절 |
• | He is a boy whom I suppose is wise. (X) |
그는 내 생각에 현명한 소년이다. | |
삽입절인 I suppose를 없애고 보면 is의 주어로 whom이 와서 틀렸다. | |
whom → who | |
• | He is a boy who I suppose are wise. (X) |
그는 내가 생각하기에 현명한 소년이다. | |
삽입절인 I suppose를 없애면 who(= a boy) 다음에 is가 와야 한다. | |
are → is |
기출 2회
12. 법원직 9급
11. 기상직 9급
삽입절
관계대명사 다음 에 술어동사 두 개 가 나란히 있다면 관계대명사 다음 의 주어 + 동사 는 삽입절 이다. 삽입절 은 삭제 하고 문장을 파악 하는 것이 좋다. 삽입절이 있는 문장은 최소 3개의 술어동사가 있어야 한다.
관계대명사 다음에 술어동사가 2개 나란히 있다면 관계대명사 다음의 주어 + 동사는 삽입절이다. 삽입절은 삭제하고 문장을 파악하는 것이 좋다. 삽입절이 있는 문장은 최소 3개의 술어동사가 있어야 한다. |
관계대명사 + 주어 + 동사 + 동사 + ~ |
삽입절 불완전한 절 |
• | He is a boy whom I suppose is wise. (X) |
그는 내 생각에 현명한 소년이다. | |
삽입절인 I suppose를 없애고 보면 is의 주어로 whom이 와서 틀렸다. | |
whom → who | |
• | He is a boy who I suppose are wise. (X) |
그는 내가 생각하기에 현명한 소년이다. | |
삽입절인 I suppose를 없애면 who(= a boy) 다음에 is가 와야 한다. | |
are → is |
기출 2회
12. 법원직 9급
11. 기상직 9급
전치사 +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가 전치사의 목적어인 경우에, 전치사는 관계대명사 앞이나 관계대명사절 끝에 있다. 관계대명사 앞 에 있는 전치사 는 관계대명사절 의 마지막 에 있는 동사 , 형용사 , 분사 , 명사 뒤 에 있던 것이 앞 으로 나간 것이다. 이 전치사가 올바른지는 관련 품사 뒤에 두고 판단해야 한다. |
• | This is the house in which he lives [which he lives in]. |
이것은 그가 사는 집이다. |
기출 4회
19. 국회직 9급
17. 지방직 7급
11. 기상직 9급
07. 국회직 8급
관계부사
관계부사의 이해 |
관계부사에서 관계는 앞과 뒤의 절을 이어주는 관계이므로 접속사의 역할을 뜻하고 부사는 문장에서 부사의 역할을 한다. 즉 관계부사는 단어 하나로 앞의 절과 뒤의 절을 이어주는 접속사의 역할과 부사의 역할을 동시에 하면서 관계부사 앞에 오는 명사를 수식한다. |
선행사 ↰ 관계부사 + 주어 + 동사 + 목적어 |
• | 관계부사 는 접속사 + 부사 역할을 한다. |
• | 관계부사 다음은 완전한 절 (주어나 목적어, 보어의 생략이 없는 절) 이 온다. |
• | 관계부사절 은 선행사를 수식하는 형용사절 이다. |
• | how 는 선행사로 the way 와 함께 쓰이지 않고 둘 중 하나만 쓴다 . |
장소 | + | where | + | S + V ~ | ||
시간 | when | 완전한 절 | ||||
이유 | why | |||||
방법 | how | |||||
선행사 | 관계부사 |
관계부사를 선택할 때는 선행사가 갖는 뜻에 따라 달라진다. 만일 장소 다음에는 장소를 뜻하는 where을, 시간 다음에는 시간을 뜻하는 when을, 이유 다음에는 이유를 뜻하는 why를 선택한다. 선택지에 관계대명사와 관계부사가 모두 있다면 관계사가 들어갈 공간 뒤에 오는 절을 보고 선택한다. 주어나 목적어가 생략된 절이면 관계대명사를 선택하고 뒤에 오는 절이 주어나 목적어가 생략된 것이 없는 완전한 절이면 관계부사를 선택한다. |
• | This is the place ![]() |
이것은 그가 사는 집이다. | |
선행사인 the place가 장소이므로 관계부사도 장소인 where이 쓰인다. |
|
• | I’ll never forget the day ![]() |
나는 우리가 만난 날을 결코 잊지 못할 것이다. | |
선행사가 시간(the day)이므로 시간을 나타내는 when이 왔다. | |
• | Look at the way ![]() |
Look at the way ![]() |
|
Look at the way ![]() |
|
Look at ![]() |
|
저 고양이들이 서로 어떻게 핥아주는 지 봐라. | |
the way와 how는 함께 쓸 수 없고 둘 중 하나만 써야 한다. 즉 how를 생략하든가 아니면 the way를 생략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how를 대신해서 that를 쓸 수 있다. |
기출 7회
19. 법원직 9급
18. 경찰직 1차
17. 경찰직 2차
16. 경찰직 1차
14. 지방직 7급
12. 지방직 9급
12. 법원직 9급
관계대명사와 관계부사 구별
• | 관계대명사 다음 은 불완전한 절 이 온다. |
• | 관계부사 다음 은 완전한 절 이 온다. |
• | This is the place where he lives. |
이곳은 그가 살고 있는 장소이다. | |
where 다음의 he lives는 생략된 것이 없는 1형식의 완전한 절이다. | |
• | This is the place which he lives in. |
이곳은 그가 살고 있는 장소이다. | |
which 다음의 he lives in은 전치사 in의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이다. |
기출 4회
14. 지방직 7급
11. 지방직 9급
11. 국회직 8급
08. 지방직 8급
관계부사 = 전치사 + which
관계부사 와 전치사 + which 다음은 완전한 절 이 온다. |
• | This is the place where [in which] he lives. |
이곳은 그가 살고 있는 장소이다. | |
he lives는 1형식의 완전한 절이다. |
기출 4회
19. 법원직 9급
16. 경찰직 2차
15. 국회직 9급
14. 서울시 9급
복합관계대명사
• | 관계대명사 + ever를 복합관계대명사라 한다. |
• | 관계대명사+ever 앞에는 선행사 가 오지 않는다 . |
• | 관계대명사+ever 다음은 불완전한 절 이 온다. |
• | 복합관계대명사절은 명사절과 양보부사절로 쓰인다. |
X | + | whoever | + | (S) + V ~ | ||
whichever | ||||||
whatever | ||||||
선행사 | 복합관계대명사 | 불완전한 절 |
명사절 | whoever | ~사람은 누구나 |
whichever | 어느 것/쪽이든 | |
whatever | 무엇이나 | |
양보부사절 | whoever | 누가 ~하든 (no matter who) |
whichever | 어느 ~가 ~하든 (no matter which) | |
whatever | 어떤 ~라도 (no matter what) |
• | Give the cap to who wants it. (X) |
모자를 원하는 사람 누구에게나 줘라. | |
who 앞에 선행사가 없다. 선행사가 없을 때는 복합관계대명사를 써야 한다. | |
who → whoever | |
• | You can have whichever you like. |
당신이 좋아하는 것은 어느 것이나 가질 수 있다. | |
whichever 앞은 선행사가 없고 다음은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이다. |
기출 5회
20. 지방직 9급
16. 사복직 9급
16. 지방직 7급
14. 기상직 9급
11. 경찰직 1차
however
how , however , no matter how 는 수식하는 형용사 나 부사 와 나란히 있어야 한다. |
how | + | |
however | 형용사 / 부사 + S + V ~ | |
no matter how |
• | However you are late, phone me. (X) |
아무리 늦더라도, 내게 전화해라. | |
However you are late → However late you are |
기출 4회
17. 지방직 7급
14. 국가직 9급
14. 지방직 9급
14. 국가직 7급
관계대명사 생략
명사 + 주어 + 동사 에서 명사와 주어 사이에는 관계대명사 가 생략 됐다. 이 때 명사 다음은 불완전한 절이 온다. |
명사 | ![]() |
주어 + 동사 + ~ |
불완전한 절 | ||
↳ | 명사와 주어 사이에 관계대명사가 생략됐으며 주어 + 동사는 앞의 명사를 수식한다. |
• | This is the woman ∧ I like her. (X) |
이분은 내가 좋아하는 여성이다. | |
I like her → I like |
기출 2회
17. 지방직 9급
14. 지방직 7급
what의 관용어
• | what he is | 그의 인격이나 상태 |
• | what he has | 그의 재산 |
• | I’m attracted by what she is, not by what she has. |
나는 그녀의 재산이 아니라 그녀의 인격에 매료되었다. |
기출 1회
13. 국가직 7급
복합관계부사
관계부사+ever를 복합관계부사라 하고 양보부사절을 이끈다. 복합관계부사 다음은 완전한 절 이 온다. |
X | + | wherever | + | S + V ~ | ||
whenever | ||||||
however | ||||||
선행사 | 복합관계부사 | 완전한 절 |
wherever | 어디서 ~할지라도 (no matter where) |
whenever | 언제 ~할지라도 (no matter when) |
however | 어떻게 ~할지라도 (no matter how) |
• | Whatever he leaves the house, he takes an umbrella. (X) |
그는 집을 나설때 마다 우산을 가져간다. | |
whatever 다음은 불완전한 절이 오는데 완전한 절(he ~ house)이 왔다. | |
Whatever → Whenever |
기출 1회
14. 기상직 9급
that을 쓰는 경우
특정한 선행사 가 오면 관계대명사 로 that 을 쓴다. |
all | + | that | + | |
any | ||||
much | ||||
little | ||||
everything | ||||
anything | ||||
nothing | ||||
최상급 | (S) + V ~ | |||
서수사 | 불완전한 절 | |||
the very | ||||
the only | ||||
the last | ||||
사람 and 사물 | ||||
사람 and 동물 | ||||
의문사 | ||||
선행사 | ||||
↳ 최상급, 서수, the very, the only, the last의 경우 who나 which가 쓰이기도 함. |
• | This is all that I have. |
이것은 내가 가진 돈 전부이다. |
기출 2회
12. 경찰직 1차
07. 국가직 9급
수량 + of + 관계대명사
수량 + of + 관계대명사 다음은 불완전한 절 이 온다. 수량 은 of + 관계대명사 다음 에 올 수 있다. |
수량 + of 관계대명사 | + | (S) + V ~ | |
of 관계대명사 + 수량 | |||
불완전한 절 |
• | I have two caps both of which are good . |
나는 좋은 모자 두 개 있다. | |
• | I sent invitations to 5 men, of which only 2 replied . (X) |
나는 5명에게 초대장을 보냈는데 그들 중 2명만 응답했다. | |
선행사가 사람(5 men)이므로 관계대명사는 who 종류가 온다. of 다음은 목적격이 오므로 whom이 오면 된다. | |
of which only 2 → of whom only 2 |
기출 2회
09. 국회직 8급
08. 지방직 9급
밑에 이론들은 시험에서 올바른 문장으로 기출되었다.
복합관계형용사
whichever , whatever 가 명사 를 수식하면 복합관계형용사 가 된다. 복합관계형용사절은 명사절 과 양보부사절 역할을 한다. |
X | + | whichever + 명사 | + | (S) + V ~ | |
whatever + 명사 | |||||
선행사 | 불완전한 절 |
명사절 | whichever | 어느 ~이라도 |
whatever | 어떤 ~일지라도 | |
양보부사절 | whichever | 어느 ~이 ~할지라도 |
whatever | 어떤 ~이 ~할지라도 |
• | Whatever excuse he makes will not be believed. |
그가 어떤 변명을 해도 믿어 주지 않을 것이다. | |
Whatever excuse he makes는 명사절로서 will의 주어이다. | |
• | Whatever results may follow, I’ll try again. |
어떤 결과가 되든, 나는 다시 해 볼 것이다. | |
Whatever results may follow는 양보부사절이다. |
기출 1회
19. 소방직 공채
관계부사 생략
명사 + 주어 + 동사 에서 명사와 주어 사이에는 관계부사 가 생략됐다. 이 때 주어 + 동사 는 명사 를 수식한다. when, why, how는 생략가능하지만 where 은 생략 이 불가하다 . |
명사 | ![]() |
주어 + 동사 + ~ | ||
완전한 절 |
• | I don’t know the day ∧ he died. |
나는 그가 죽은 날을 모른다. (when 생략) |
기출 1회
19. 국가직 7급
문제 공개후 기출된 적 없는 이론들
A is to B what C is to D
A is to B + what / as + C is to D |
A와 B의 관계는 C와 D의 관계와 같다 |
what C is to D, A is to B로 표현할 수도 있다. |
• | Air is to man which water is to fish. (X) |
공기와 인간의 관계는 물과 물고기의 관계와 같다. | |
which → what |
기출 0회
관계대명사 as
• | 관계대명사 as 는 주절의 일부나 전체 를 선행사 로 한다. | |
• | 관계대명사 as 는 주절보다 앞에 나오는 경우 가 많다. |
• | as is often the case |
흔히 있는 일이다 | |
• | as is usual with |
~에게는 늘 있는 일이지만, 늘 그랬듯이 |
• | The train is late, as is often the case. |
열차가 늦다, 이것은 종종 있는 경우이다. | |
• | As may be expected, it is expensive. |
기대했던 대로, 그것은 비싸다. As의 선행사는 주절이다. |
기출 0회
관계부사의 선행사 생략
관계부사 의 선행사 는 일반적 의미이면 생략이 가능 하며 이때 관계부사절은 명사절이 된다. |
• | This is where he lives. |
이곳은 그가 살고 있는 장소이다. | |
• | Monday is when we are busy. |
월요일은 우리가 바쁜 날이다. |
기출 0회
such ~ as
접속사인 as 가 such , as , the same 과 상관적으로 쓰여서 관계대명사 처럼 쓰이는 경우이다. 이것을 유사관계대명사 라 한다. |
• | such | ~ as | ~하는 그런 |
• | as | ~ as | ~와 같은 |
• | the same | ~ as | ~와 같은 |
• | She is such a lovely girl as I like. |
그녀는 내가 좋아하는 사랑스런 소녀이다. | |
• | As children as came were given some cake. |
온 아이들은 조금의 케이크를 받았다. |
기출 0회
there be s + v
There be/ Here be/ It be + 주어 + 동사 에서 주어 앞은 관계대명사 가 생략됐다. |
There be | |||
Here be | + | 주어 + (관계대명사) + 동사 + ~ | |
It be |
• | There is a boy ∧ is tall. |
키가 큰 소년이 있다. (who 생략) | |
• | It was my son ∧ met him yesterday. |
어제 그를 만난 것은 나의 아들이었다. (who 생략) |
기출 0회
관계부사의 계속적 용법
관계부사 앞에 콤마 를 둘 수 있는 것은 where , when 이다. |
• | , | where | 그리고 그곳에서 |
• | , | when | ~와 같은 |
↳ where = and there (그리고 그곳에서) | |||
↳ when = and when (그리고 그때) |
• | I went to London, where I met Mary. |
나는 런던에 갔는데, 그리고 그곳에서 나는 메리를 만났다. | |
• | I went to London, when I met Mary. |
나는 런던에 갔는데, 그리고 그때 메리를 만났다. |
기출 0회
wherever, whenever
• | wherever | ((양보)) 어디로 ~하든지 ((장소)) ~하는 곳은 어디든 |
• | whenever | ((양보)) 언제 ~할지라도 ((시간)) ~할 때면 언제든지 |
• | Wherever he may go, he is loved. |
비록 그가 어디를 가던지, 그는 사랑을 받는다. (양보) | |
• | He was liked wherever he went. |
그가 가는 곳이 어디든 그는 호감을 받았다. (장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