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class
Grammar
AGREEMENT 일치 문제
동사의 수 일치
주어 가 3인칭 단수 현재 이면 일반동사 어미에 -(e)s 를 붙여서 단수동사 라 한다. 주어가 3인칭·단수가 아니면 일반동사의 현재는 모두 동사원형을 쓴다. |
• | 명사 | + | 일반동사원형(e)s |
• | He | ||
• | She | ||
• | It | ||
3인칭 단수 |
• | The boy likes books. |
그 소년은 책을 좋아한다. | |
• | The boys like books. |
그 소년들은 책을 좋아한다. |
기출 6회
19. 서울시 7급
19. 경찰직 1차
18. 경찰직 1차
15. 지방직 7급
09. 국회직 8급
08. 지방직 9급
1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15. 지방직 7급) | |||||
The immune system in our bodies ①fights the bacteria and viruses which cause diseases. Therefore, whether or not we are likely to get various diseases ②depend on how well our immune system works. Biologists used to ③think that the immune system was a separate, independent part of our body, but recently they ④have found that our brain can affect our immune system. This discovery indicates that there may be a connection between emotional factors and illness. |
정답 & 해설
해석 | 우리 몸의 면역 체계는 질병을 일으키는 박테리아와 바이러스를 공격한다. 그러므로 우리가 다양한 질병을 앓을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는 우리의 면역 체계가 얼마나 잘 작동하는지에 달려 있다. 생물학자들은 면역 체계가 우리 몸을 별도의 독립적인 부분이라고 생각했지만 최근에는 우리의 뇌가 우리의 면역 체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발견은 정서적 요인과 질병 사이에 연관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
해설 | |
① | The immune system이 주어이며 3인칭 단수이므로 fights는 옳다. |
② | whether절은 하나의 명사절이므로 3인칭 단수이다. 따라서 3 인칭 단수 동사가 와야 한다. depend → depends |
③ | used to do 형식으로 쓰인다.따라서 used to think는 옳다. |
④ | recently는 [ 최근에 ] 뜻이다. 최근이면 과거에서 현재까지이므로 보통 <현재완료>와 함께 쓰인다. 따라서 have found는 옳다. |
정답 | ② |
관계대명사와 수 일치
관계대명사 다음에 있는 동사의 단/ 복수 는 관계대명사 앞의 선행사 가 결정한다. |
명사(선행사) + who [which, that] + 동사 |
• | I know a girl who are tall. |
나는 키가 큰 소녀를 알고 있다. | |
girl이 단수이므로 단수동사가 온다. | |
are → is | |
• | I buy two books which sell well. |
나는 잘 판매되는 책을 두 권 샀다. | |
books가 3인칭 단수가 아니므로 일반동사원형인 sell이 왔다. |
기출 19회
20. 지방직 9급
19. 서울시 9급
18. 지방직 9급
18. 서울시 9급
17. 지방직 9급
17. 지방직 7급
17. 서울시 7급
14. 국가직 9급
14. 서울시 9급
14. 사복직 9급
14. 국회직 9급
14. 기상직 9급
12. 지방직 7급
11. 지방직 9급
10. 서울시 9급
10. 국가직 9급
10. 기상직 9급
17. 경찰직 2차
1
밑줄 친 부분 중 문법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 (09. 국가직 7급) | |||||
What you will probably not be able to do is ①to arrive at a single, unified, objective, literal ②understanding of that subject matter that ③do full justice to all aspects of the concept. The study of time, even within the limits of the metaphorical concepts we have, is ④an enormously useful enterprise. |
정답 & 해설
해석 | 당신이 아마도 할 수 없는 것은 그 개념의 모든 면들을 정당하게 평가하는 그 주제와 관련된 하나의, 단일화 된, 객관적이면서, 글자 그대로의 이해에 도달하는 것이다. 우리가 가지고 있는 은유적인 개념들의 제한 속에서 조차도 시간의 연구는 매우 유용한 일이다. |
해설 | do의 주어는 관계대명사 that이다. that의 선행사는 단수 subject matter이다. do → does |
정답 | ③ |
2
다음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14. 서울시 9급) | |||||
Sometimes there is nothing you can do ①to stop yourself falling ill. But if you lead a healthy life, you will probably be able to get better ②much more quickly. We can all avoid ③doing things that we know ④damages the body, such as smoking cigarettes, drinking too much alcohol or ⑤taking harmful drugs. |
정답 & 해설
해석 | 때로는 병이 들지 않도록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이 없다. 그러나 만일 건강한 삶을 살면, 아마 훨씬 더 빨리 회복 될 것이다. 우리는 담배를 피우거나 술을 너무 많이 마시거나 유해한 약을 복용하는 등 신체에 해가 될 수 있는 것을 우리모두 피할 수 있다. |
해설 | |
① | to stop은 부정사이며 부사 역할을 한다. 부정사가 부사 역할을 하면 [목적, 결과, 원인/이유, 판단의 근거, 정도의 기준, 조건]의 뜻으로 쓰인다. 이 영문에서 to stop은 목적(~하기 위하여)을 나타낸다. |
② | much는 [훨씬, 매우, 단호히]뜻으로 비교급과 최상급의 강조어로 쓰인다. 영문에서 much는 more을 수식하면서 강조어로 쓰이고 있다. |
③ | avoid(피하다)는 -ing를 목적어로 취한다. 따라서 avoid doing은 옳다. |
④ | that은 관계대명사이며 선행사는 things이다. we know는 삽입절이다. 삽입절을 삭제하고 보면 관계대명사 다음에 동사인 damages가 있다. 이때 동사의 단/복수는 선행사가 결정한다. 선행사가 복수인 things이므로 동사도 복수형이 와야 한다. damages → damage |
정답 | ④ |
3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8. 서울시 9급) | |||||
I’m ① pleased that I have enough clothes with me. American men are generally bigger than Japanese men so ② it’s very difficult to find clothes in Chicago that ③ fits me. ④ What is a medium size in Japan is a small size here. |
정답 & 해설
해석 | 나는 내게 충분한 옷을 갖고 있어서 기쁘다. 미국인은 일반적으로 일본인보다 큽니다. 그래서 시카고에서 내게 맞는 옷을 찾는 것이 매우 어렵다. 일본에서 중형 크기는 여기에서는 작은 크기이다. |
해설 | |
① | please(~을 기쁘게 하다, 만족시키다)는 타동사이다. pleased는 [기쁜, 기뻐하는, 만족해하는] 뜻의 형용사이다. 형용사 다음에 오는 that절은 부사절이다. |
② | it은 가주어, to fine~가 진주어이다. 시제는 현재상황이므로 it 다음의 is도 올바르다. |
③ | that은 관계대명사이다. that 다음 동사의 단/복수는 선행사가 결정한다. that 앞의 in Chicago는 장소부사이며 선행사는 clothes이다. clothes는 복수이므로 동사도 복수이어야 한다. fits → fit |
④ | 관계대명사 다음은 불완전한 절(=주어, 목적어, 보어 중 하나가 없는 절)이 온다. 영문에서 What 다음은 주어 없이 바로 동사(is)가 이어지므로 불완전한 절이다. What은 문맥상 질문과 관련이 없으므로 의문대명사가 아니라 관계대명사이다. What은 자신이 선행사이므로 앞에 선행사가 오지 않는다. 이 영문에서도 what 앞에는 선행사가 없다. 따라서 what은 올바르다. |
정답 | ③ |
4
다음 중 어법상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7. 경찰직 2차) | |||||
㉠Creating the electrical energy also creates environmental problems. We can’t give up electricity, but we can control the ways we use ㉡it. We can use alternative sources of energy that ㉢is not as harmful to the environment as those which we are presently ㉣using. | |||||
| |||||
① | ㉠ | ② | ㉡ | ||
③ | ㉢ | ④ | ㉣ |
정답 & 해설
해석 |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면 환경 문제가 발생한다. 우리는 전기를 포기할 수는 없지만, 우리는 그것을 사용하는 방법을 통제 할 수 있다. 우리는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것들과 같은 환경에 유해하지 않은 대체 에너지원을 사용할 수 있다. |
해설 | |
① | create = ~을 창조하다. Creating은 타동사+ing이다. 타동사+ing도 타동사를 이용하므로 목적어를 취한다. the electrical energy가 Creating의 목적어이다. Creating the electrical energy는 동사 creates의 주어로 쓰인 동명사구이다. |
② | it은 electricity를 대신한 대명사이다. electricity가 단수이므로 단수 대명사 it은 올바르다. we 앞에는 how가 생략됐다. |
③ | [that + 동사]에서 that은 관계대명사이며 동사의 단/복수는 선행사가 결정한다. 선행사는 복수인 sources이므로 동사는 복수인 are이 와야 한다. is → are |
④ | using은 타동사+ing이다. [타동사+ing]도 타동사를 이용하므로 목적어를 취한다. 영문에서 using의 목적어는 which이다. |
정답 | ③ |
5
다음의 밑줄 친 부분 중 문법상 틀린 것을 고르면? (14. 국회직 9급) | |||||
The number of new employees ①who requires extensive ②training in customer service procedures ③has declined since the company ④changed employment ⑤agencies. |
정답 & 해설
해석 | 고객 서비스 절차에 대한 광범위한 교육을 필요로 하는 신입 사원의 수가 회사가 고용기관들을 변경한 이후로 감소했다. |
해설 | |
① | [who + 동사]에서 동사의 단/복수는 선행사가 결정한다. who의 선행사는 복수명사인employees이므로 복수동사가 와야 한다. requires → require |
② | training(훈련)은 명사이며 require의 목적어이다. |
③ | decline(감소하다)은 자동사이다. since(~이후 죽)는 [have p.p. ~ since S + 과거동사]의 형식으로 쓰인다. 이 영문에서 since 앞의 has declined는 옳다. |
④ | since 다음은 과거동사가 온다. since 다음에 the company changed는 옳다. |
정답 | ① |
6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10. 국가직 9급) | |||||
Bananas contain resistant starch which research shows block conversion of some carbohydrates into fuel, boosting fat burning by forcing your body to rely on fat stores instead — a sure aid to sustainable weight loss. | |||||
① | shows | ② | block | ||
③ | boosting | ④ | forcing |
정답 & 해설
해석 | 바나나는 일부 탄수화물을 연료(=에너지)로의 전환을 차단하는 저항 전분을 함유하고 있다고 연구는 보여 주고 있다. 그리고 그것은 대신에 당신의 신체가 지방 축적에 의존하도록 함으로서 지방 분해를 촉진시킨다 -계속적인 체중 감량에 확실한 도움이 된다. |
해설 | 관계대명사인 which 다음의 S(research) + V(shows)는 삽입절이다. 동사인 block의 주어는 선행사인 resistant starch이다. resistant starch는 단수이므로 단수동사인 blocks가 와야 한다. block → blocks |
정답 | ② |
7
빈 칸에 들어갈 알맞은 표현을 고르시오. (10. 국가직 9급) | |||||
He is one of the few boys who passed the entrance examination. | |||||
① | has | ② | is | ||
③ | was | ④ | have |
정답 & 해설
해석 | 그는 입학시험에 합격한 몇몇 소년들 중 한 명이다. |
해설 | 관계대명사인 who의 선행사는 the few boys이다. the few boys는 복수이므로 복수동사인 have가 와야 한다. has, is, was는 단수동사이다. |
정답 | ④ |
every, each, either
every , each , either , neither 은 단수 의미 이므로 단수명사 나 단수동사 가 온다. |
• | every | + (단수명사) + 단수동사 |
• | each | |
• | either | |
• | neither | |
✱ every = [형] 모든, 하나하나 다 | ||
✱ each = [대, 형] (단수)각자(의) | ||
✱ either = [대] 둘 각각 [형] 어느 ~도 | ||
✱ neither = [대, 형] 둘 어느 쪽도 ~ 아닌 |
• | I couldn’t read every books of the library. (X) | ||||
나는 도서관의 모든 책을 다 읽을 수는 없다. books → book | |||||
• | Every boy need to pull his weight. (X) | ||||
모든 소년은 임무를 다 할 필요가 있다. need → needs |
기출 6회
19. 서울시 9급
18. 국회직 9급
15. 경찰직 2차
11. 국회직 9급
10. 국회직 9급
08. 지방직 9급
1
다음 우리말을 영어로 잘못 옮긴 것은? (08. 지방직 9급) | |||||
① | 어떠한 경우에도 낯선 사람들을 들어오게 해서는 안 된다. | ||||
On no account must strangers be let in. | |||||
② | 상처에 염증이 나면 즉시 나에게 전화해. | ||||
Should the wound be inflamed, call me at once. | |||||
③ | 나는 학생들이 수업시간에 지각하도록 내버려두지 않겠다. | ||||
I won’t have my students arriving late for class. | |||||
④ | 두 명의 가수 모두 넓은 음역의 풍부한 목소리를 가지고 있다. | ||||
Either of the singers has a rich voice with great range. |
정답 & 해설
해설 | |
① | 부정부사 다음은 도치된다. on no account는 부정부사구이다. 따라서 on no account 다음에 동사(must) + 주어 (strangers)의 어순으로 도치된 것은 올바르다. |
② | 동사 + 주어로 시작되는 절은 if가 생략된 조건절이다. V(Should) + S(the wound)는 가정법 미래로서 if가 생략되었다. 가정법 미래에서 주절은 가정법과 직설법 모두 가능하다. 따라서 주절에 명령문이 온 것은 올바르다. |
③ | have + 목적어 + -ing 형식은 사용가능하다. |
④ | Either는 하나를 뜻한다. 우리말에 두 명의 가수라고 되어 있으므로 잘못 영작되었다. 둘을 뜻하는 단어는 both이다. Either → Both, has → have |
정답 | ④ |
준동사
부정사 나 동명사 가 하나 이면 단수 , 둘 이면 복수 이다. |
• | Reading in bed is not good for the eyes. |
침대에 누워 책을 읽는 것은 눈에 좋지 않다. | |
• | To preach and to practice are two different things. |
설교와 실행하는 것은 별개이다. |
기출 4회
19. 기상직 9급
15. 국가직 9급
14. 사복직 9급
17. 경찰직 2차
1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15. 지방직 7급) | |||||
Teachers can apply many strategies ① to reduce the negative impact of anxiety on learning and performance. Clearly, creating a classroom climate that is ② accepting, comfortable, and noncompetitive helps. Giving students opportunities to improve their work before handing ③ it in also helps anxious children, as ④ do providing clear, unambiguous instructions. |
정답 & 해설
해석 | 교사는 학습과 수행에 대한 불안감의 부정적인 영향을 줄이기 위해 많은 전략을 적용할 수 있다. 분명히, 수용적이며 편안하고 비경쟁적인 교실 분위기를 만드는 것이 도움이 된다. 학생들에게 숙제를 전달하기 전에 숙제를 더욱 잘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불안해 하는 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고, 또한 분명하고 명확한 지시를 제공하는 것도 만찬가지이다. |
해설 | |
① | to reduce는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 중에서 [~하기 위하여]를 나타낸다. |
② | accepting, comfortable, noncompetitive는 병치로서 명사인 helps를 수식한다. |
③ | it은 their work를 대신하는 대명사이다. |
④ | as + V + S 형식이다. do의 주어는 동명사인 providing ~ instructions이다. 동명사가 하나이 면 단수이므로 단수동사가 와야 한다. do → does |
정답 | ④ |
준동사 예외
부정사 나 동명사 가 and로 연결되었어도 하나의 목표를 위한 일연의 연속된 동작 이면 단수 이다. |
• | Early to bed and early to rise make a man healthy. (X) |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는 것은 사람을 건강하게 만들어 준다. | |
건강이라는 하나의 목표를 위한 일련의 연속 동작이므로 주어는 단수 의미이다. | |
make → makes |
기출 1회
11. 기상직 9급
1
다음 중 문법상 바르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11. 기상직 9급) | |||||
Scanning the newspaper for ① job openings and then filing an application with the company’s ② human resources department ③ are one way of looking for a job but ④ often not the most effective. |
정답 & 해설
해석 | 일자리를 찾기 위해 신문을 스캔한 후 회사의 인사 부서에 신청서를 제출하는 것은 일자리를 찾는 한 가지 방법이지만 종종 가장 효과적이지는 않습니다. |
해설 | |
① | job openings는 [구인]을 뜻하는 명사구이며 전치사 for의 목적어이다. |
② | human resources는 [(회사의) 인사부]을 뜻하는 명사구이다. |
③ | <동명사 + and + 동명사>가 하나의 목표를 위한 일련의 연속된 동작이면은 <단수>로 취급된다. 이 문장은 [일자리를 찾기 위해 신문을 스캔하고 회사의 인사과에 신청서를 제출하는 것]은 일자리를 찾기 위한 일련의 연속된 동작이다. 따라서 단수 동사가 와야 한다. are → is |
④ | often not the most effective는 (is) not often the most effective (way of looking for a job)의 줄인말이다. |
정답 | ③ |
주어 + 수식어구
주어를 수식하는 어구 는 주어의 단/ 복수 결정 에서 배제 된다. |
주어 + | 전치사 + 명사 | + 동사 |
to 동사 ~ | ||
동사ing ~ | ||
동사ed(p.p.) ~ | ||
관계대명사 S + V ~ | ||
↳ 주어의 단복수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
• | The people who live next door is rich. (X) | ||||
옆집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부자이다. is → are | |||||
• | The man I wanted to meet were at the hotel. (X) | ||||
내가 만나고자 했던 사람은 호텔에 있었다. | |||||
I 앞에 whom이 생략됐다. were → was |
기출 11회
19. 국가직 9급
19. 법원직 9급
19. 지방직 7급
18. 경찰직 3차
18. 경찰직 2차
17. 서울시 9급
17. 교행직 9급
15. 국회직 9급
14. 국가직 9급
14. 기상직 9급
13. 경찰직 1차
1
다음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어색한 것을 고르시오. (14. 기상직 9급) | |||||
These days, many people find themselves too dependent on digital devices, unable to remember phone numbers or birthdays without them. They prefer ①to store such information on their cell phones or computers rather than use their heads, ② which leads to a condition known as digital dementia, or forgetfulness. In our modern society, people simply aren’t required to remember this kind of information because their digital devices do it for them. Due to such dependency, people who often use devices such as cell phones, PDAs and navigation ③is more likely to develop digital dementia. To avoid this problem, experts suggest remembering important phone numbers in your head, and ④concentrating when reading magazines or newspapers. |
정답 & 해설
해석 | 오늘날 많은 사람들은 그들 스스로가 디지털 장치에 너무 의존해서 그것들 없이는 전화 번호나 생일을 기억하지 못한다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그들은 자신의 머리를 쓰는것 보다 자신의 휴대폰이나 컴퓨터에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선호하며, 그것은 디지털 치매 또는 건망증으로 알려진 상태에 이르게 된다. 우리의 현대 사회에서, 사람들은 이러한 정보를 기억할 필요가 없다. 왜냐하면 그들의 디지털 장치가 그들을 위해 그것을 해주기 때문이다. 이러한 의존성으로 인해, 휴대 전화, PDA 및 내비게이션과 같은 기기를 자주 사용하는 사람들은 디지털 치매를 유발할 가능성이 더 크다. 이 문제를 피하기 위해, 전문가들은 머리 속에 중요한 전화 번호를 기억하고, 잡지나 신문을 읽을 때 집중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
해설 | |
① | prefer to do ~ rather than (to) do= ~하는 것보 ~하는 것을 더 좋아한다 |
② | 관계대명사 다음은 불완전한 절(=주어, 목적어, 보어 중 하나가 없는 절)이 온다. which 다음은 동사 leads의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이다. 선행사는 to store ~ their heads이다. which 앞에는 콤마를 둘 수 있다. |
③ | who + 동사에서 동사의 단/복수는 선행사가 결정한다. who의 선행사는 people이다. people은 복수명사이므로 복수 동사가 와야 한다. is → are |
④ | and는 앞/뒤에 같은 품사가 배치되는 병치[병렬] 구조이다. concentrating은 remembering과 병치되었다. suggest는 목적어로 동사+ing를 취한다. concentrating과 remembering은 suggest(제안하다)의 목적어이다. |
정답 | ③ |
2
다음 빈칸에 들어갈 표현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8. 경찰직 2차) | |
Usually, people who have been adopted have access to their files. | |
| |
① | do not allow |
② | are not allowed to |
③ | has not been allowed |
④ | is not allowed to |
정답 & 해설
해석 | 일반적으로, 입양된 사람들은 자신의 파일에 접근할 수 없다. |
해설 | |
① | allow 바로 다음에는 동사원형(have)이 올 수 없다. 따라서 빈 곳에 들어갈 수 없다. |
② | people은 문장의 주어로서 복수이므로 빈 곳은 복수동사가 필요하다. 따라서 are not allowed to는 적합하다. |
③ | 주어가 복수인데 has는 단수이므로 부적합하며, allowed 다음에 동사원형(have)이 올 수 없으므로 이 또한 부적합하다. |
④ | 주어가 복수인데 is는 단수이므로 부적합하다. |
정답 | ② |
3
다음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17. 교행직 9급) | |||||
Some researchers claim that aggressive children simply prefer violent TV and would behave just as violently without that exposure. However, that argument cannot account for the results of numerous studies ① in which children are assigned to watch either a violent or nonviolent video or film. In most of this research, ② those exposed to violence behave more aggressively immediately afterward. In one study, for example, 396 seven- to nine-year-old boys watched either a violent or nonviolent film and then played indoor hockey. Researchers who did not know which film the boys had seen ③ rating their aggressive acts during the game, looking for moves that are banned in hockey. These included elbowing, kneeing, and tripping opponents. Overall, the boys who saw the violent film ④ were more aggressive. |
일부 연구자들은 공격적인 아이들은 단순히 폭력적인 TV를 더 선호하며 그러한 노출 없이도 폭력적으로 행동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그 주장은 어린이들이 폭력적이거나 비폭력적인 비디오나 영화를 보기 위해 맡겨진 수많은 연구 결과를 설명 할 수는 없다. 이 연구의 대부분에서, 폭력에 노출된 사람들은 이후에 더 적극적이고 직접적으로 행동한다. 예를 들어 한 연구에서, 7-9세 소년 396명은 폭력적이거나 비폭력적인 영화를 보고나서 실내 하키를했다. 그 소년들이 어느 영화를 봤는지를 알지 못하는 연구원은 게임 도중에 그들의 공격적인 행동을 평가하여 하키에서 금지된 움직임을 찾았다. 이것들에는 엘보잉(=팔꿈치로 상대방 경기자의 행동을 방해하는 행위), 니잉(=무릎으로 상대방 경기자의 행동을 방해하는 행위), 트리핑(=발을 걸어 상대편 선수를 넘어지게 하는 반칙행위)이 포함되었다. 전반적으로, 폭력적인 영화를 본 소년들은 더욱더 공격적이었다.
정답 & 해설
해설 | |
① | <전치사 + 관계대명사> 다음은 완전한 절(=주어, 목적어, 보어 중 생략된 것이 없는 절)이 온다. in which 다음은 완전한 절이 므로 옳다. which의 선행사는 numerous studies이다. |
② | those는 children을 대신한 대명사이다. children이 복수이므로 복수형 those는 옳다. |
③ | 접속사가 2개이면 술어동사는 3개가 있어야 한다. 그런데 이 영문에는 접속사가 2개(who, which)인데 술어동사는 2개(did not know, had seen) 밖에 없다. 따라서 술어동사 1개가 부족하다. 문장 구조를 고려하면 rating을 술어동사로 바꿔야 한다. rating → rate |
④ | were의 주어는 the boys이다. the boys가 복수이므로 복수형 were은 옳다. |
정답 | ③ |
4
다음 글의 (A), (B), (C)의 각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낱말의 쓰임이 적절한 것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 (16. 법원직 9급) | |||||||
Exactly how, when, why, and where the first maps came to be created is difficult to discover. Much of what was drawn in prehistoric and early historical times (A)[has / have] not survived, so what we find today may not be wholly representative of what was once there. There are other problems for the modern observer. Maps (B)[make / made] in prehistoric times cannot be accompanied by a title that explains the meaning of the drawing or that describes its content. However, we may be sure that in early times, just like today, maps were created for a variety of purposes and (C)[took / taken] a variety of forms. It may also be clear that, contrary to popular belief, of all the purposes to which maps have been put through the ages, the least important single purpose has been to find the way. Sea charts did not come into existence until the European Middle Ages, and topographical maps were not normally carried about by land travelers until the 18th century. | |||||||
| |||||||
(A) | (B) | (C) | (A) | (B) | (C) | ||
① | have | make | taken | ② | have | made | took |
③ | has | made | taken | ④ | has | made | took |
정답 & 해설
해석 | 정확히 어떻게, 언제, 왜, 어디서 첫 번째 지도가 만들어 졌는지를 발견하기가 어렵다. 선사 시대와 초기 역사 시대에 그려진 것의 대부분은 살아남지 못했기 때문에, 오늘날 우리가 발견한 것은 전적으로 예전에 있었던 것을 대표하지 못할 수도 있다. 현대 관측자에게는 다른 문제가 있다. 선사 시대에 만들어진 지도는 그림의 의미를 설명하거나 그 내용을 설명하는 제목을 붙일 수 없다. 그러나 우리는 초기 시대에는 오늘날처럼 지도가 다양한 목적을 위해 만들어졌으며 그리고 다양한 형태를 취했음을 확신 할 수 있다. 또한 대중적 신념과는 달리, 지도가 시대를 초월한 모든 목적에 대해, 가장 중요하지 않은 하나의 목적은 길을 찾는 것이었음이 분명할지 모른다. 유럽의 중세 시대까지는 해도(=바다지도)가 존재하지 않았으며, 지형도는 18세기까지 육상 여행자들이 보통 갖고 다니지 않았다. |
해설 | |
(A) | of what ~ times는 수식어구이며 주어는 Much이다. Much는 단수 (대)명사이므로 단수 동사인 has가 옳다. |
(B) | 접속사가 1개이면 술어동사는 2개만 올 수 있다. 이 영문에는 접속사가 1개(that) 이므로 술어동사는 2개만 올 수 있다. 이 영문에는 술어동사가 2개(cannot be, explains) 있으므로 더 이상 술어동사가 올 수 없다. make는 술어동사이고 made는 과거분사로 쓰일 수 있다. 따라서 made가 옳다. |
(C) | 목적어 앞에는 타동사의 능동태가 온다. 따라서 목적어(a variety of forms) 앞에는 과거동사인 took가 옳다. took는 were과 병치[병렬]이며 주어는 Maps이다. |
정답 | ④ |
5
다음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8. 경찰직 3차) | |||
If properly stored, broccoli will stay ㉠fresh for up to four days. The best way to store fresh bunches is to refrigerate them in an open plastic bag in the vegetable compartment, ㉡which will give them the right balance of humidity and air, and help preserve the vitamin C content. Don’t wash the broccoli before ㉢storing it since moisture on its surface ㉣encourage the growth of mold. | |||
① | ㉠ | ② | ㉡ |
③ | ㉢ | ④ | ㉣ |
정답 & 해설
해석 | 제대로 저장되면, 브로콜리는 최대 4일 동안 신선한 상태로 유지된다. 신선한 다발을 보관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야채 칸에 있는 개봉된 비닐 봉지에 그들을 보관하며, 그것은 그들에게 습기와 공기의 적정한 균형을 맞춰주고, 그리고 비타민 C 함유량을 보존하는데 도움을 준다. 브로콜리 표면에 있는 습기가 곰팡이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기 때문에 브로콜리를 보관하기 전에 씻지 마십시오. |
해설 | |
㉠ | fresh(신선한)는 stay(계속 있다) 다음에서 보어로 쓰였다. |
㉡ | which는 관계대명사이다. 관계대명사 다음은 불완전한 절(=주어, 목적어, 보어 중 하나가 없는 절)이 온다. 이 영문에서 which 다음은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이므로 옳다. 선행사는 to refrigerate ~ compartment이다. |
㉢ | store는 <저장하다>의 뜻이다. storing는 타동사+ing 형태이므로 그 다음에 목적어 it은 옳다. before는 전치사이다. |
㉣ | 주어인 moisture는 단수명사이므로 단수동사가 와야 한다. encourage → encourages |
정답 | ④ |
6
다음 밑줄 친 부분 중 문법상 옳지 않은 것은? (15. 국회직 9급) | |||
Researchers at Carnegie Mellon University ①have found that individuals who spend even a few hours a week on-line ②experiences higher levels of depression and loneliness than ③those who spend less or no time on the Internet. They also found that individuals who use the Internet more tend to decrease their communication with other family members and ④reduce the size of their social circle. These findings are counterintuitive to ⑤what we know about how socially the Internet is used. |
정답 & 해설
해석 | 카네기 멜론 대학교의 연구원들은 인터넷에서 일주일에 몇 시간 씩 온라인으로 공부하는 사람들이 인터넷에서 시간을 거의 보내지 않는 사람들보다 더 높은 우울증과 외로움을 경험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들은 또한 인터넷을 사용하는 개인들이 다른 가족 구성원들과의 의사 소통을 줄이는 경향이 있고 그리고 자신의 사회적 범위를 줄이는 경향이 있음을 발견했다. 이 발견은 사회적으로 인터넷이 어떻게 사용되는지에 대해 우리가 알고있는 것에 반직관적이다. |
해설 | |
① | Researchers는 복수 주어이므로 동사도 복수인 have는 옳다. |
② | 주어인 individuals가 복수이므로 동사도 복수이어야 한다. experiences → experience |
③ | those의 선행사는 individuals이다. individuals가 복수명사이므로 대명사를 those로 받은 것은 올바르다. who의 선행사는 those(사람들)이며 이것은 옳다. 관계대명사 다음은 불완전한 절이 온다. who 다음은 주어가 없으므로 불완전한 절이다. |
④ | and 앞/뒤는 같은 품사로 구성되는 병치[병렬]구조이다. reduce는 decrease와 병치[병렬]되었다.즉 and (tend to) reduce the size of their social circle에서 tend to를 생략한 것이다. |
⑤ | 관계대명사 다음은 불완전한 절이 온다. what 다음은 know의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이므로 옳다. what은 자신이 선행사이므로 앞에 선행사가 오지 않는다. 이것도 옳다. |
정답 | ② |
one of
One of 한정사 + 복수명사 + 단수동사 |
one of 다음은 복수명사가 오며 주어는 one이다. |
one (주어) of 한정사 + 복수명사 + 단수동사 |
• | One of my friends are frustrated. (X) |
내 친구들 중의 한 명이 좌절해 있다. | |
are → is | |
• | He was one of the great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X) |
그는 매국의 위대한 대통령들 중 한 사람이었다. | |
president → presidents |
기출 6회
19. 지방직 9급
19. 교행직 9급
19. 국회직 9급
14. 지방직 9급
10. 국회직 9급
09. 국회직 8급
1
밑줄 친 부분 중 문법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 (10. 국회직 9급) | |||
Many famous people did not enjoy immediate success in their early ①lives. Abraham Lincoln, who was one of the truly great ②president of the United ③States, ran for public ④office 26 times and lost 23 of ⑤the elections. |
정답 & 해설
해석 | 많은 유명인들이 초기의 삶에서 즉각적인 성공을 누리지는 못했다. 미국의 참으로 위대한 대통령들 중 한 사람이었던 Abraham Lincoln은 26번 공직에 출마하였고 23번 선거에서 떨어졌다. |
해설 | [one of + 복수명사] 형식으로 쓰인다. one of the truly great president는 잘못이며 one of the truly great presidents이어야 한다. president → presidents |
정답 | ② |
various
• | various | + 복수명사 |
• | a variety of | |
여러가지의 | ||
↳ | various, a variety of는 [여러가지의]의 뜻으로 복수명사가 온다. |
• | Riots arose in a variety of place. (X) |
폭동이 여러 지역에서 일어났다. place → place. |
기출 2회
15. 서울시 9급
13. 국가직 7급
1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15. 서울시 9급) | |||
It was ①a little past 3 p.m. when 16 people gathered and sat cross-legged in a circle, blushing at the strangers they knew they’d ②be mingling with for the next two hours. Wearing figure-hugging tights and sleeveless tops in ③a variety of shape and size, each person took turns sharing their names and native countries. ④All but five were foreigners from plac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Germany and the United Kingdom. |
16명의 사람들이 모여서 원 안에 책상다리를 하고 앉았을 때가 3시 조금 넘었으며, 그들은 앞으로 두 시간 동안 어울리게 될 낮선 사람들을 보고 얼굴을 붉혔다.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몸매를 들어내는 팬티스타킹과 민소매 탑을 입고, 각자 교대로 이름과 모국을 발표했다. 5명을 제외한 모두가 미국, 독일, 영국을 포함해서 여러 곳에서 온 외국인들이었다.
*figure – hugging (옷이 보기 좋게) 몸매를 드러내는 tights 팬티 스타킹 take turns 교대로 ~을 하다, ~을 교대로 하다
정답 & 해설
해설 | |
① | a little = (명사, 형용사, 부사) 조금. past = (전치사) ~을 지나서. a little은 불가산명사에 주로 쓰인다. 흐르는 시간은 불가산명사이므로 a little은 옳다. |
② | mingle with = (사람/물건이) 섞이다. be mingling with에서 with의 목적어는 관계대명사 whom이었는데 생략되었다. 생략된 위치는 strangers와 they 사이이다. 생략된 것을 복원하면 the strangers whom they knew that they’d be mingling with for the next two hours이다. that은 접속사이다. |
③ | a variety of는 <여러가지의> 뜻으로 복수명사와 결합한다. 그런데 shape and size는 단수형이므로 잘못이다. a variety of shape and size → a variety of shapes and sizes |
④ | All은 [모두]를 뜻하는 대명사이고 but은 [~를 제외하고]를 뜻하는 전치사이다. All but five는 [5명을 제외한 모두]를 뜻한다. but five는 전치사구이며 주어는 All이다. All이 사람이면 복수로 취급된다. 따라서 복수동사 were은 옳다. |
정답 | ③ |
either ~ or
Either A or B , Neither A nor B 에서는 B 가 동사의 단/복수 를 결정한다 . |
• | Either | A | or | B(주어) + 동사 |
A와 B 둘 중 하나 | ||||
• | Neither | A | nor | B(주어) + 동사 |
A와 B 둘 다 아닌 |
• | Either you or I are to go. (X) |
당신과 나 둘 중 한 명은 가야 한다. are → am |
기출 4회
16. 기상직 9급
15. 경찰직 2차
10. 서울시 9급
08. 지방직 8급
1
다음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10. 서울시 9급) | |||
Neither the research assistant’s consortium ① nor the biotech laboratory ② are poised ③ to strike a decisive blow in the debate over salaries that ④has been raging ⑤ for over a year. |
정답 & 해설
해석 | 연구지원 컨소시엄과 생명공학 실험실 둘 다 1년 이상 동안 격론을 벌여오고 있는 봉급에 대한 논쟁에서 결정적인 일격을 가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 |
해설 | |
① | nor(~도 또한 아니다)은 접속사이다. Neither A nor B(A도 아니고 또한 B도 아니다)의 형식으로 쓰이기도 한다. 이 형식에서 A와 B는 같은 품사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런 원리를 병치[병렬]이라 한다. 영문에서 A에 해당하는 the research assistant’s consortium과 B에 해당하는 the biotech laboratory는 둘 다 명사구이다. 따라서 같은 품사로 병치된 것이므로 올바르다. |
② | Neither A nor B에서는 B가 동사의 수를 결정한다. the biotech laboratory가 단수이므로 is가 와야 한다. are → is |
③ | poise(준비하다)는 타동사이다. 능동태인 [poise + O + to do]의 수동태는 [be poised to do]이다. are poised to strike올바르다. |
④ | <선행사 + 관계대명사 + 동사>에서 동사의 단/복수는 선행사가 결정한다. that의 선행사는 the debate이다. the debate가 단수이므로 단수동사 has는 올바르다. |
⑤ | <전치사 + 전치사 + 목적어>로 전치사가 2개 나란히 있는 것을 이중전치사라 한다. 전치사 + 목적어가 첫 번째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인다. for over a year는 이중전치사이다. over a year이 for의 목적어이다. |
정답 | ② |
2
다음 ㉠과 ㉡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15. 경찰직 2차) | |||||
( ㉠ ) John ( ㉡ ) Ted needs to confirm how many chairs we’ll need. | |||||
| |||||
① | ㉠ Both | ㉡ and | ② | ㉠ Either | ㉡ or |
③ | ㉠ Both | ㉡ or | ④ | ㉠ Either | ㉡ and |
정답 & 해설
해석 | John이나 Ted 중 한명은 우리가 얼마나 많은 의자를 필요로 하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
해설 | |
① | 동사 needs는 단수이므로 주어도 단수명사가 와야 한다. Both A and B는 [A와 B 둘 다]를 뜻한다. 빈 곳에 이것이 들어가면 Both John and Ted는 복수가 된다. 따라서 빈 곳에 Both~ and는 부적합하다. |
② | 동사 needs가 단수이므로 주어도 단수명사가 와야 한다. Either A or B는 [A또는 B]를 뜻한다. 빈 곳에 이것이 들어가면 Either John or Ted는 단수가 된다. 따라서 빈 곳에 Either ~ or은 적합하다. |
③ | Both는 and와 상관적으로 쓰이며 or과 상관적으로 쓰이지는 않는다. 따라서 빈 곳에 Both~ or은 부적합하다. |
④ | Either은 or과 상관적으로 쓰이며 and와 상관적으로 쓰이지는 않는다. 따라서 빈 곳에 Either ~ and는 부적합하다. |
정답 | ② |
there is + 주어
• | There be | + 주어 | ~이 있다 |
• | There used to be | + 주어 | ~이 있었다 |
• | There is a student at the door. |
문에 한 학생이 있다. |
기출 2회
16. 교행직 9급
15. 서울시 7급
1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15. 서울시 7급) | |||||
It s time for Major League Baseball to go to an expanded roster, one ①that makes sense for the way the game has evolved. Make it a 25-man game roster, but expand the overall roster to 28. Major League Baseball spokesman Pat Courtney said there ②has been discussions on the topic but nothing has been advanced. Yet the dialogue continues, and ③as the game evolves into one in which players keep getting hurt, it would behoove MLB ④to create a roster that fits the times. |
정답 & 해설
해석 | 메이저 리그 야구가 경기가 발전한 방식에 타당한 확장된 로스터로 갈 때이다. 25명의 로스터로 만들어라, 하지만 전체 로스터는 28명까지 확장하라. 메이저리그 야구 대변인 Patric Courtney는 이 주제에 대한 토론이 있었지만 진전 된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대화가 계속되고, 경기가 선수들이 계속 상처를 입는 상황으로 발전함에 따라서, MLB는 시대에 맞는 로스터를 만들어야 하는 의무가 있다. |
해설 | |
① | that 다음은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주어, 목적어, 보어 중 하나가 없는 절)이다. 불완전한 절을 이끈는 that은 관계대명사이다. 선행사는 one(=roster)이다. |
② | there + V + S. there이 동사 앞에 오면 주어는 동사 다음에 온다. there has been에서 has been의 주어는 discussions이다. discussions는 복수이므로 단수동사 has는 잘못이다. has → have |
③ | as는 부사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함에 따라서]의 뜻이다. |
④ | it은 가주어이고 to creat는 진주어이다. |
정답 | ② |
number of
The number of 복수명사 + 단수동사 |
A number of 복수명사 + 복수동사 |
※ | The number of 복수명사에서는 The number이 주어이다. |
※ | A number of가 오면 of 다음의 복수명사가 주어이다. |
※ | the number of = ~의 수 a number of = 많은 |
• | The number of problems has arisen. (X) | ||||
많은 문가 발생했다. | |||||
The → A, has → have | |||||
• | The number of cars have increased. (X) | ||||
자동차의 수가 증가해 왔다. | |||||
have → has | |||||
• | A number of problem have arisen. (X) | ||||
많은 문제가 발생했다. | |||||
problem → problems | |||||
• | A number of problems has arisen. (X) | ||||
많은 문제가 발생했다. | |||||
has → have |
기출 9회
19. 국회직 8급
18. 교행직 9급
16. 서울시 9급
16. 지방직 9급
15. 기상직 9급
13. 지방직 9급
13. 국가직 9급
12. 지방직 7급
11. 국회직 9급
1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6. 서울시 9급) | |||||
He acknowledged that ①the number of Koreans were forced ②into labor ③under harsh conditions in some of the locations ④during the 1940s. |
정답 & 해설
해석 | 그는 많은 한국인들이 1940년대에 몇몇 지역에서 가혹한 조건에서 노동을 강요받았다는 사실을 인정했다. |
해설 | |
① | a number of는 [많은] 뜻으로 [a number of + 복수명사 + 복수동사] 형식으로 쓰인다. 영문에서 동사가 복수형인 were가 왔으므로 a number of가 와야 한다. the number of → a number of |
② | force = [타] 억지로 ~하다, 강요하다. be forced into = ~를 강요받다. were forced into labor(노동을 강요받았다)은 문맥상 의미나 문법 구조가 옳다. |
③ | under = (전치사) ~ 아래, ~하에. under harsh conditions는 [가혹한 조건 하에]를 뜻한다. |
④ | during(~동안)은 전치사이며 [during + the/this/ that/ 소유격 + 명사] 형식으로 쓰인다. 따라서 during the 1940s(1940년대 동안)은 옳다. |
정답 | ① |
2
우리말을 영어로 잘못 옮긴 것은? (13. 지방직 9급) | |||||
① | 그들은 지구상에서 진화한 가장 큰 동물인데, 공룡보다 훨씬 크다. | ||||
They are the largest animals ever to evolve on Earth, larger by far than the dinosaurs. | |||||
② | 그녀는 나의 엄마가 그랬던 것만큼이나 아메리카 원주민이라는 용어를 좋아하지 않았다. | ||||
She didn’t like the term Native American any more than my mother did. | |||||
③ | 우리가 자연에 대해 정보로 받아들이는 것의 4분의 3은 눈을 통해 우리 뇌로 들어온다. | ||||
Three-quarters of what we absorb in the way of information about nature comes into our brains via our eyes. | |||||
④ | 많은 의사들이 의학에서의 모든 최신의 발전에 뒤떨어지지 않기 위해서 열심히 공부한다. | ||||
The number of doctors study hard in order that they can keep abreast of all the latest developments in medicine. |
정답 & 해설
해석 | 그는 많은 한국인들이 1940년대에 몇몇 지역에서 가혹한 조건에서 노동을 강요받았다는 사실을 인정했다. |
해설 | |
① | by far(훨씬)는 비교급의 강조어이다. |
② | A is not B any more than C is D = A가 B가 아닌 것은 C가 D가 아닌 것과 같다 ((양자부정)) |
③ | in the way of = ~으로서. 관계대명사 다음은 불완전한 절(주어, 목적어, 보어 중 하나가 없는 절)이 온다. what 다음은 absorb(~를 흡수하다)의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이다. 따라서 what절은 옳다. Three-quarters는 3/4을 뜻하는 분수이다. [분수 + of + 명사]가 주어로 오면 of 다음의 명사가 동사의 단/복수를 결정한다. 따라서 comes의 주어는 what절이다. what절은 단수 명사절이므로 단수동사인 comes는 옳다. |
④ | the number of = ~의 수 a number of = 많은. 우리말에서 [많은 의사들] 로 표현되어 있다. [많은]을 나타내는 어구는 a number of이다. The number of doctors → A number of doctors |
정답 | ④ |
3
다음 중 문법상 바른 것은? (15. 기상직 9급) | |
① | I looked at the mountain of which the top was covered with snow. |
② | A number of domestic expert as well as scholar joins the research project. |
③ | These things are happened as everything is all in a lifetime. |
④ | I barely finished my homework after he returns to my house. |
정답 & 해설
해석 | |
① | 나는 눈으로 덮인 산을 보았다. |
② | 많은 국내 전문가와 학자가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
③ | 만사가 운명이므로 그런 일들이 일어난다. |
④ | 내가 숙제를 마치자마자 그가 나의집에 돌아왔다. |
해설 | |
① | of which는 which의 소유격으로 [of which + the 명사, the 명사 + of which]로 쓰인다. of which the top는 옳다. the mountain이 선행사이다. [of which + the 명사] 다음은 불완전한 절이 온다. of which the top 다음은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이므로 모든 것이 옳다. |
② | A number of + 복수명사 + 복수동사] 형식으로 쓰인다. domestic expert → domestic experts, scholar → scholars, joins → join |
③ | happen(발생하다)은 자동사로 수동태가 불가하다. are happened → happen |
④ | 해석을 통해서 두 절의 발생 시간을 따져보면 부사절 이후에 주절이 발생했다. 부사절이 현재(returns)이면 그 이후를 나타내는 주절은 과거동사로 표현될 수 없다. 문맥상 의미를 고려해서 재구성해보면 아마도 이 문장은 [내가 숙제를 끝내자마자 그가 나의 집에 돌와왔다]는 뜻으로 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그렇게 되려면 I had barely finished my homework when he returned to my house.로 되어야 한다. |
정답 | ① |
4
다음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12. 지방직 7급) | |||||
The number of people ①taking cruises ②continue to rise and ③so does the number of complaints about cruise lines. Sufficient ④ information is still missing. |
정답 & 해설
해석 | 크루즈 여행을 하는 사람들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크루즈 선에 대한 불만건수도 마찬가지이다. 충분한 정보가 여전히 없다. |
해설 | The number는 단수 주어이므로 단수 동사가 와야 한다. continue → continues |
정답 | ② |
부분 of 명사
• | All | of 명사(주어) + 동사 |
• | Part | |
• | Half | |
• | The rest | |
• | 분수 | |
• | Most | |
• | Some | |
• | Percent | |
• | Portion | |
• | Majority | |
↳ | 전체(All)와 부분(Part ~ Majority) + of는 of 다음의 명사가 동사의 수를 정한다. |
• | Two – thirds of the money are mine. (X) |
그 돈의 3분의 2는 내 것이다. are → is. |
기출 4회
15. 서울시 9급
15. 기상청 9급
14. 지방직 9급
14. 국가직 7급
1
밑줄 친 부분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14. 지방직 9급) | |||
A tenth of the automobiles in this district alone stolen last year. | |||
| |||
① | was | ② | had been |
③ | were | ④ | have been |
정답 & 해설
해석 | 이 지역에서 있는 자동차의 10분의 1일 지난해 도난 당했다. |
해설 | 하나의 절에서 동사의 시간과 시간표시어의 시간은 같아야 한다(=1절1시). 이 영문에서 last year(지난해)은 과거시간부사 이다. 따라서 빈 곳에는 과거동사가 들어가야 한다. [분수 + of + 명사]가 주어일 때 동사의 단/복수는 of 다음의 명사가 결정한다. A tenth는 10분의 1을 뜻하는 분수이다. 따라서 of 다음의 automobiles가 동사의 수를 결정한다. automobiles는 복수이므로 복수동사의 과거형이 빈 곳에 들어간다. 선택지 중에 과거이면서 복수형은 were 밖에 없다. |
정답 | ② |
many
• | Many a + 단수명사(주어) + 단수동사 |
• | Many + 복수명사(주어) + 복수동사 |
• | Many a student like music. (X) |
많은 학생이 음악을 좋아한다. like → likes. |
기출 4회
14. 지방직 9급
11. 국회직 9 급
1
다음 세 문장의 밑줄 친 부분에 들어갈 말이 순서대로 짝지어진 것은? (11. 국회직 9급) | |||
• | Many a student. to pass the exam. | ||
• | A number of people late for work because there was a traffic accident. | ||
• | I could not read every of the library. | ||
① | tries-were-book | ② | try-was-books |
③ | tries-was-book | ④ | try-were-books |
⑤ | tries-was-books |
정답 & 해설
해석 | |
• | 많은 학생이 시험에 합격하려고 한다. |
• | 많은 사람들이 교통 사고 때문에 늦었다. |
• | 나는 도서관의 모든 책을 읽을 수 없었다. |
해설 | |
• | Many a student에서 a student가 주어이다. a student가 단수이므로 단수동사가 와야 한다. 따라서 tries는 옳다. |
• | [A number of + 복수명사 + 복수동사] 형식으로 쓰여야 한다. 따라서 빈 곳은 were이 옳다. |
• | every = 어느 ~도 모두. every는 하나하나의 개별성을 고려하면서 전체적인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every는 단수명사하고만 쓰인다. 빈 곳은 단수명사인 book이 옳다. |
정답 | ① |
news
• | The news + 접속사 S + V + 단수동사 |
news는 주어이며 단수명사이다. |
• | The news that she was rich surprise me. (X) |
그녀가 부자였다는 소식이 나를 놀라게 한다. | |
that절은 the news를 수식하며 주어는 The news이다. | |
surprise → surprises |
기출 1회
12. 지방직 9급
1
어법상 옳은 것을 고르시오. (12. 지방직 9급) | |
① | The college newspaper prints only the news that are of interest to the students and faculty. |
② | As soon as I will get all the vaccinations, I will be leaving for a break. |
③ | Susan likes to lay down for a short nap every afternoon. |
④ | The instructions require that we not use a red pen. |
정답 & 해설
해석 | |
① | 대학 신문은 학생과 교수에게 관심있는 뉴스만 인쇄한다. |
② | 내가 모든 예방 접종을 받자마자, 나는 휴식을 취할 것이다. |
③ | 수잔은 매일 오후 잠깐 낮잠을 자고 싶어한다. |
④ | 그 지시는 우리가 빨간 펜을 사용하지 말것을 요구한다. |
해설 | |
① | [that + 동사]에서 that은 관계대명사이며 동사의 수는 선행사가 결정한다. that의 선행사는 news이므로 단수동사가 온다. are → is |
② | as soon as절은 시간부사절이다. 시간부사절에는 미래에 will을 쓸 수 없고 그 대신에 현재동사를 쓴다. 이때 주절은 미래에 will을 쓴다. 이 영문에서는 as soon as절에 will을 썼기 때문에 틀렸다. will get → gets |
③ | [lays, to lay, laying, 조동사 + lay]에서 lay는 타동사이므로 목적어가 있어야 한다. 그런데 to lay 다음에 목적어가 없으므로 자동사 lie가 와야 한다. lay down → lie down |
④ | [충고/주장/제안/명령/요구] 다음에 오는 that절의 동사는 [(should)+동사원형]이다. require(요구하다) + that 다음은 [(should) + 동사원형]이 와야 한다. 영문에서 should를 생략한 not use가 쓰였다. |
정답 | ④ |
the + 형용사 = 복수명사
the + 형용사 + (people) 에서 people 를 생략 하고 the + 형용사 가 복수명사 로 쓰이는 단어들이 있다. |
• | the | homeless (노숙자들) | + | 복수동사 |
• | the | wounded (부상자들) | ||
• | the | sick (환자들) | ||
• | the | wealthy (부자들) | ||
• | the | blind (맹인들) | ||
• | the | old (노인들) | ||
• | the | elderly (노인들) | ||
• | the | young (젊은이들) | ||
• | the | missing (실종자들) | ||
• | the | gullible (쉽게 속는 자들) | ||
• | the | rich (부자들) | ||
• | the | poor (가난한 사람들) | ||
• | the | wise (현명한 사람들) | ||
• | the | destitute (가난한 사람들) | ||
• | the | uneducated (무학자들) | ||
• | the | learned (학자들) | ||
• | the | strong (강한 사람들) | ||
• | the | weak (약한 사람들) | ||
• | the | unemployed (실직자들) | ||
• | the | good (선한 사람들) | ||
• | the | brave (용감한 사람들) | ||
✱ | the mentally retarded = 정신지체아동들 | |||
✱ | the terminally ill = 죽을 병에 걸린자들 |
• | The homeless have difficulty getting a job. |
노숙자들은 구직에 어려움이 있다. | |
• | I tend sick and wounded. (X) |
나는 환자와 부상자들을 돌봤다. | |
→ the sick and the wounded | |
tend의 목적어로 명사가 와야 한다. sick와 wounded는 형용사이다. |
기출 3회
20. 국가직 9급
19. 국회직 9급
17. 국가직 9급
1
어법상 옳지 않은 표현이 있는 문장을 고르시오. (08. 지방직 7급) | |
① | I’ll soon be finished with this job. |
② | More doctors were urgently required to tend sick and wounded. |
③ | My husband insisted that the new baby be named after his mother. |
④ | He was firing questions at the politician. |
정답 & 해설
해석 | |
① | 나는 곧이 일을 끝마칠 것이다. |
② | 환자들과 부상자들을 돌보기 위해 더 많은 의사가 필요했다. |
③ | 남편은 그 신생아는 엄마의 이름을 따서 이름이 지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
④ | 그는 그 정치인에게 질문을 던지고 있었다. |
해설 | |
① | be finished with = (일 따위를) 끝마치다 |
② | tend(돌보다)는 타동사이므로 목적어 역할을 할 명사가 나와야 한다. [sick, wounded]는 형용사이며 명사가 되려면 [the + 형용사]가 되어야 한다. sick and wounded → the sick and the wounded (아픈 사람들과 부상자들) |
③ | be named after = 〜의 이름을 따서 이름지어지다 |
④ | fire questions at = 〜에게 질문을 퍼붓다 |
정답 | ② |
2
우리말을 영어로 잘못 옮긴 것을 고르시오 (17. 지방직 9급) | |||||
① | 그를 당황하게 한 것은 그녀의 거절이 아니라 그녀의 무례함 이었다. | ||||
→It was not her refusal but her rudeness that perplexed him. | |||||
② | 부모는 아이들 앞에서 그들의 말과 행동에 대해 아무리 신중해도 지나치지 않다. | ||||
→Parents cannot be too careful about their words and actions before their children. | |||||
③ | 환자들과 부상자들을 돌보기 위해 더 많은 의사가 필요했다. | ||||
→More doctors were required to tend sick and wounded. | |||||
④ | 설상가상으로, 또 다른 태풍이 곧 올 것이라는 보도가 있다. | ||||
→To make matters worse, there is a report that another typhoon will arrive soon. |
정답 & 해설
해설 | |
① | It be 강조어 that형식이다. |
② | cannot ~ too = 아무리 ~해도 지나치지 않다 |
③ | tend(돌보다)는 타동사이므로 목적어 역할을 할 명사가 와야 한다. 그런데 [sick, wounded]는 형용사이므로 목적어가 될 수 없다. 목적어가 되려면 명사이어야 한다. 형용사를 명사로 전환하려면 [the + 형용사]가 되어야 한다. sick and wounded → the sick and the wounded (아픈 사람들과 부상자들) |
④ | To make matters worse (설상가상으로)는 독립부정사구이다. there is 다음의 a report가 주어이며 that절은 report를 설명해 주는 동격절이다. |
정답 | ③ |
동격어구
• | 주어 – 명사(구) – 동사 |
• | 주어 , 명사(구) , 동사 |
콤마(,)와 대시(-) 사이의 명사(구)는 주어를 설명할 뿐 단/복수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
• | Brick, the famous poet, were dead. (X) |
유명한 시인인 브릭은 사망했다. were → was | |
• | Two men -Bill and John- is outside. (X) |
빌과 존 두 사람이 밖에 있다. is → are |
기출 1회
11. 국가직 9급
1
다음 중 어법상 옳은 것은? (11. 국가직 9급) | |
① | She objects to be asked out by people at work. |
② | I have no idea where is the nearest bank around here. |
③ | Tom, one of my best friends, were born in April 4th, 1985. |
④ | Had they followed my order, they would not have been punished. |
정답 & 해설
해석 | |
① | 그녀는 직장에서 사람들로부터 초대받는 것을 싫어한다. |
② | 나는 가장 가까운 은행이 이곳 주변 어디에 있는지 전혀 모른다. |
③ | 나의 가장 친한 친구인 톰은 1985년 4월 4일에 태어났다. |
④ | 만일 그들이 나의 명령을 따랐더라면, 그들은 벌을받지 않았을 것인데. |
해설 | |
① | object to + ~ing = 반대하다, 싫어하다 . object to be → object to being |
② | 간접의문문의 어순은 「의문사 + 주어 + 동사」이다. where is the nearest bank는 어순이 잘못되었다. around here에서 here(여기)은 명사이다. where is the nearest bank → where the nearest bank is |
③ | Tom은 단수주어이므로 단수동사가 와야 한다. were → was |
④ | if가 생략된 가정법 과거완료이며 주절도 가정법 과거완료이다. 문법적으로 모두 올바르다. |
정답 | ④ |
명사와 대명사 1
성의 구별이 없는 단수명사 는 it 으로 받고, 복수명사 는 they 로 받는다. |
• | The child lost their way. (X) |
그 아이는 길을 잃었다. their → its |
기출 4회
18. 소방직 공채
16. 교행직 9급
15. 서울시 7급
10. 국회직 8급
1
Choose the underlined part that is NOT grammatically correct. (10. 국회직 8급) | |||
The particular dialect of English, “apache English” used on the reservation, ①is considered substandard and wrong by many educators on the reservation. They ②attribute their differences from standard “textbook” English to an inability of the children to distinguish between Apach and English, ③therefore mixing them up, since they ④are unable to speak either one. They did not understand ⑤that the “other language” their Apache students speak was indeed a dialect of English. |
정답 & 해설
해석 | 영어의 특별한 방언인 인디언 보호구역에서 사용된 아파치 영어는 보호구역의 많은 교육자들로 부터 표준 이하이고 잘못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들은 표준 교과서 영어와 그들의 차이를 아파치와 영어를 구분하기 위해 아이들의 무능의 탓으로 돌린다. 따라서 그들은 각각의 것을 말할 수 없었기 때문에 그들을 혼합했다. 그들은 그들의 아파치 학생들이 구사하는 다른 언어는 정말 영어의 방언이라는 사실을 이해하지 못했다. dialect [dáiəlèkt] [명] 방언, 사투리 reservation [rèzərvéiʃən] [명] 예약, 보류, 사양, 인디언 보호구역 substandard [səbstæˈndərd] [형] 표준이하의, 규격에 벗어난 attribute [ətríbjuːt] [동] ~의 탓으로 하다, (결과를 ~에) 돌리다 [명] 특질, 속성, 부수물 |
해설 | their은 the particular dialect of English를 대신해서 쓰였다. the particular dialect of English가 단수이므로 대명사는 단수가 와야 한다. their → its |
정답 | ② |
2
다음 밑줄 친 단어가 가리키는 대상이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 (18. 교행직 9급) | |||
Alexander loved sport, and riding more than anything. No one rode better than he. His father once bought a beautiful horse that no one could tame. His name was Bucephalus. Whenever anyone tried to mount ① him they were thrown off. But Alexander worked out why ② he did it: the horse was afraid of his own shadow. So Alexander turned the horse’s head towards the sun so that he couldn’t see ① his shadow on the ground. Stroking him gently, ④ he swung himself onto his back and rode round to the applause of the whole court. |
정답 & 해설
해석 | 알렉산더는 스포츠를 사랑했고, 무엇보다 승마를 더 좋아했다. 어떤 사람도 그보다 더 잘 탔는 사람은 없었다. 그의 아버지는 한때 아무도 길들일 수 없는 아름다운 말을 구입했다. 그의 이름은 Bucephalus였다. 누군가 그를 올라 타려고 할 때마다, 그들은 버려졌다. 그러나 알렉산더는 왜 그가 그런 행동을 했는지 알아 냈다 : 말은 그 자신의 그림자를 두려워했다. 그래서 알렉산더는 그가 땅에서 그의 그림자를 볼 수 없도록 말의 머리를 태양쪽으로 돌렸다. 그를 부드럽게 치면서, 그는 자신을 등 뒤쪽으로 빙 돌면서 그리고 전체 코트의 박수 갈채속에 돌면서 말을 탔다. |
해설 | ①②③은 모두 말 Bucephalus를 가리키고 ④는 알렉산더를 가리킨다. |
정답 | ④ |
3
다음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16. 교행직 9급) | |||
Indeed, it is the nature of men ① that whenever they see profit, they cannot help chasing after ② them, and whenever they see harm, they cannot help running away. To illustrate, when the merchant engages in trade and travels twice the ordinary distance in a day, ③ uses the night to extend the day, and covers a thousand miles without considering it too far, it is ④ because profit lies ahead. |
정답 & 해설
해석 | 사실상, 사람들이 이익을 볼 때마다 그들은 그것을 쫓을 수 밖에 없고, 그들이 해로움을 볼 때마다 그들은 도망갈 수 밖에 없다는 것이 인간의 본성이다. 예를 들어 상인이 무역에 종사하고, 하루에 보통 거리의 두 배를 여행하고, 하루를 늘이려고 밤을 이용하고, 그리고 그것이 얼마나 먼지를 고려하지 않고 1천마일을 이동할 때, 그것은 이익이 앞에 놓여있기 때문이다. |
해설 | |
① | that은 접속사이다. 접속사 다음은 완전한 절(=주어, 목적어, 보어 중 생략된 것이 없는 절)이 온다. 이 영문에서 that 다음의 절들은 모두 완전한 절이다. |
② | them은 profit를 대신한 대명사이다. profit이 단수이므로 대명사도 단수형 it이 와야 한다. them → it |
③ | uses는 술어동사이며 engages~, travels~, and covers~들과 병치[병렬] 구조의 한 부분이다. |
④ | because는 이유접속사이며 그 다음의 절은 완전하다. |
정답 | ② |
4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15. 서울시 7급) | |||
①Unless scientists discover new ways ②to increase food production, the Earth ③will not be able to satisfy the food needs of all ④their inhabitants. |
정답 & 해설
해석 | 과학자들이 식량 생산을 증가시키는 새로운 방법을 발견하지 못한다면, 지구는 모든 주민 전체의 식량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할 것이다. |
해설 | |
① | unless(만일 ~이 아니라면)는 [if ~ not]의 뜻을 지닌다. |
② | to increase는 new way를 수식하는 형용사적 용법이다. |
③ | 미래에 일어날 일을 나타내므로 will not은 올바르다. |
④ | their은 the earth를 대신한 대명사이다. the earth가 단수이므로 their은 its로 수정되어야 한다. their → its |
정답 | ④ |
시제일치
주절의 동사 가 과거 나 과거완료 이면 종속절의 동사 도 과거 나 과거완료 가 온다. 이것을 시제일치라 한다. 주절의 동사가 과거나 과거완료가 아니면 시제일치는 없다. |
주어 + | 과거동사 | ~ | 종속접속사 주어 + | 과거동사 | ||
had p.p. | had p.p. | |||||
주절 | 종속절 |
• | I thought (that) he is sick. (X) |
나는 그가 아프다고 생각했다 is → was | |
주절이 과거 thought 이므로 종속절도 과거동사가 와야 한다. | |
is → was |
기출 4회
20. 국가직 9급
13. 기상직 9급
12. 지방직 7급
11. 지방직 7급
1
우리말을 영어로 잘못 옮긴 것을 고르시오. (11. 지방직 7급) | |||||
① | 말투에서 알 수 있듯이 그는 제주 출신이다. | ||||
He comes from Jeju province, as you can tell from his accent. | |||||
② | 물가 상승에 따라서 노동자들의 임금 인상 요구도 높아졌다. | ||||
The higher prices rose, the more money the workers asked for. | |||||
③ | 남을 돕는 데서 기쁨과 즐거움을 찾는 사람들은 행복하다. | ||||
Happy are those who find joy and pleasure in helping others. | |||||
④ | 내가 단번에 그 시험에 합격할 수 있으리라고는 꿈에도 생각지 못했다. | ||||
I couldn’t dream that I am able to pass the examination at the first attempt. |
정답 & 해설
해설 | 주절이 과거동사(couldn’t dream)이므로 종속절도 과거종류의 동사가 와야 한다. am able to → was able to/ would |
정답 | ④ |
2
빈칸에 들어갈 표현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3. 기상직 9급) | |
Some married couples decided not to have children after they that their children would run a 50 percent risk of inheriting the gene for fatal neurological disorder. | |
① | informed |
② | were informed |
③ | have been informed |
④ | have informed |
정답 & 해설
해석 | 사실상, 사람들이 이익을 볼 때마다 그들은 그것을 쫓을 수 밖에 없고, 그들이 해로움을 볼 때마다 그들은 도망갈 수 밖에 없다는 것이 인간의 본성이다. 예를 들어 상인이 무역에 종사하고, 하루에 보통 거리의 두 배를 여행하고, 하루를 늘이려고 밤을 이용하고, 그리고 그것이 얼마나 먼지를 고려하지 않고 1천마일을 이동할 때, 그것은 이익이 앞에 놓여있기 때문이다. |
해설 | 빈 곳은 after절의 동사가 들어갈 자리이다. after절은 종속절이다. 시제일치의 규칙에 따라 [주절 동사가 과거이면 종속절 동사는 과거나 과거완료만 들어간다]. 이 문장의 주절 동사는 과거형인 decided이다. 따라서 빈 곳은 과거형인 informed, were informed 둘 중 하나만 들어갈 수 있고 현재가 개입된 have been informed, have informed는 들어갈 수 없다. inform A of B (or inform A that S + V)는 [~에게 ~를 알리다]는 뜻이다. 이 동사구의 수동태는 be informed of (or be informed that S + V)이다. 빈 곳에는 A에 해당하는 목적어가 없고 that절이 있으므로 수동태가 들어가야 한다. 수동태는 were informed이다. |
정답 | ② |
3
다음 우리말을 영어로 가장 잘 옮긴 것은? (12. 지방직 7급) | |||
어제 시장에서 쇼핑을 할 때 나는 최근 몇 주 동안 많은품목들의 가격이 올랐다는 것을 알았다. | |||
① | While I was shopping at the market yesterday, I realized that the prices of many items have been risen in recent weeks. | ||
② | My shopping at the market yesterday let me know that many items’ prices had been risen many times before for the last several weeks. | ||
③ | Yesterday’s shopping at the market realized me that many items have become too expensive in several weeks. | ||
④ | When I shopped at the market yesterday, I realized that the prices of many items had risen in recent weeks. |
정답 & 해설
해석 | 우리말의 [어제]는 과거이고 과거를 기점으로 [최근 몇 주]는 대과거이다. 이것을 표현하려면 과거동사와 대과거(had p.p.)가 필요하다. |
해설 | |
① | 주절이 과거(realized)이면 종속절 동사는 과거나 과거완료가 온다. 그런데 have been이 왔으므로 잘못이다. |
② | rise는 자동사이므로 수동태가 될 수 없다. 따라서 had been risen은 잘못이다. |
③ | 주절이 과거(realized)이면 종속절 동사는 과거나 과거완료가 온다. 그런데 have become이 왔으므로 잘못이다. |
④ | their은 the earth를 대신한 대명사이다. the earth가 단수이므로 their은 its로 수정되어야 한다. their → its |
정답 | ④ |
시제일치 예외
• | 역사적 사건 은 과거동사 로만 나타낸다. |
• | 불변의 진리 , 일반적 사실 , 현재의 습관 은 현재동사 를 쓴다. |
• | 종속절에서 must 는 현재와 과거에 모두 must 를 쓴다. |
• | I knew that the Korean War had broken out in 1950. (X) |
한국 전쟁은 1950년에 발발했다고 알고 있었다. had broken → broke | |
• | Columbus proved that the earth was round. (X) |
콜럼버스는 지구가 둥글다는 것을 입증했다. was → is |
기출 2회
17. 국가직 9급
08. 국가직 9급
1
다음 문장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08. 국가직 9급) | |
① | Columbus proved that the earth was round. |
② | My parents kept on encouraging me to study. |
③ | Please remember to put out the cat before you go to bed. |
④ | The hotel has been closed for many years. |
정답 & 해설
해석 | |
① | 콜럼버스는 지구가 둥글다는 것을 증명했다. |
② | 나의 부모님은 나로하여금 계속 공부하도록 격려해 주셨다. |
③ | 당신은 자러 가기 전에 고양이를 밖에 두는 것을 기억하십시오. |
④ | 그 호텔은 수년간 닫혀있다. |
해설 | 지구가 둥글다는 것은 불변의 진리이므로 현재동사를 쓴다. the earth was round → the earth is round |
정답 | 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