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class Grammar

PARTICIPLE 분사 문제

1

분사의 특징

 분사  는   동사의 성질  을 갖고   형용사 역할  을 한다.
현재분사 :  동사원형+ing 
과거분사 :  동사원형+ed  
   
  ※ 분사에 쓰인 현재, 과거는 시제와 관계 없으며, 현재, 과거, 미래에 모두 쓰인다.
 Barking        dogs    do not bite.
 짖는 개는 물지 않는다.
 ※ Barking은 명사인 dogs를 수식하는 형용사 역할을 한다.
He is   a soldier     wounded    in the war. 
 그는 전쟁에서 부상당한 병사이다.
 ※ wounded는 soldier를 수식하는 형용사 역할을 한다.

기출 4회

11. 국가직 9급

4/5

1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11. 국가직 9급)
 
The Aztecs believed that chocolate ①made people intelligent. Today, we do not believe this. But chocolate has a special chemical ②calling phenylethylamine. This is the same chemical ③the body makes when a person is in love. Which do you prefer — ④eating chocolate or being in love?

정답 & 해설

해석아즈텍인들은 초콜릿이 사람들을 영리하게 만든다고 믿었다. 오늘날 우리는 이것을 믿지 않는다. 그러나 초콜릿은 페닐에탈아민으로 불리는 특별한 화학물질을 갖고 있다. 이것은 사람이 사랑에 빠졌을 때 신체가 만들어내는 것과 같은 화학물질이다. 당신은 초콜릿을 먹는 것과 사랑에 빠지는 것 중 어느 것을 더 좋아하는가?
해설 [명사 + 동사ing] 맞는지는 둘 사이에 be동사를 넣어서 판단한다. calling에 적용하면 [ a special chemical is calling phenylethylamine (특별한 화학물질이 페닐에탈아민을 부르고 있다) ]이다. 사물인 a special chemical이 부르고 있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 사물불리어지는 대상이므로 [수동]으로 바뀌어야 한다. calling → called
정답
2

현재분사

 동사ing  는   능동  이며  동사ing  로 부터 수식받는   명사  가   의미상 주어  이다.
 동사ing (능동)  명사   
 의미상주어  
명사  동사ing (능동)    
의미상주어
 
동사ing + 명사, 명사 + 동사ing는 [명사 + (be) + 동사ing]로 바꿔서 판단한다.
The sleeping  baby is my daughter.
 자고 있는 그 아기는 내 딸이다.
 sleeping은 능동이며 baby가 sleeping의 의미상 주어이다.
The boy  playing football is my son.
 축구하는 그 소년은 내 아들이다.
 playing은 능동이며 boy는 playing의 의미상 주어이자 is의 주어이다.

기출 22회

19. 기상직 9급

19. 국회직 9급

19. 서울시 7급

18. 지방직 9급

18. 법원직 9급

18. 기상직 9급

18. 국회직 9급

17. 서울시 9급

17. 국회직 9급

16. 사복직 9급

16. 지방직 7급

16. 서울시 7급

15. 국가직 9급

15. 교행직 9급

14. 법원직 9급

12. 국회직 9급

12. 기상직 9급

12. 지방직 7급

15. 경찰직 3차

12. 경찰직 3차

12. 경찰직 2차

19. 소방직 1차

5/5

1

우리말을 영어로 옳게 옮긴 것은? (18. 지방직 9급)
그는 며칠 전에 친구를 배웅하기 위해 역으로 갔다.
 →He went to the station a few days ago to see off his friend.
버릇없는 그 소년은 아버지가 부르는 것을 못들은 체했다.
 →The spoiled boy made it believe he didn’t hear his father calling.
나는 버팔로에 가본 적이 없어서 그곳에 가기를 고대하고 있다.
 →I have never been to Buffalo, so I am looking forward to go there.
나는 아직 오늘 신문을 못 읽었어. 뭐 재미있 는 것 있니?
 →I have not read today’s newspaper yet. Is there anything interested in it?

정답 & 해설

해설 
[시간 + ago]는 [~전에] 뜻으로 [과거동사]와 함께 쓰이며 [현재완료]와 함께 쓰이지 않는다. 이 영문에서는 과거동사 went가 쓰였으므로 올바르다.
make believe에서 believeto가 생략된 부정사이며 관용적 표현으로 쓰인다. 이 영문에서 made it believe로 표현한 것은 잘못이다. it 삭제하고 make believe로 쓰여야 한다. he didn’t hear his father calling은 believe의 목적어이며 he 앞에는 접속사 that이 생략되었다. make it believemake believe 
look forward to ~ing = ~을 고대하다.  look forward to go → look forward to going
명사 + 동사ed [동사ing] 중 어느 것이 맞는지는 동사ed [동사ing] 앞에 be동사를 넣어서 의미가 맞는지 확인해 보면 된다. 이것을 interested에 적용해 보면 [ anything (is) interested in it (사물인 무언가가 그것에서 흥미를 얻는다) ]가 된다. 흥미를 얻는 것은 감정을 지닌 사람이므로 사물인 anything은 말이 되지 않는다. interested → interesting
정답

2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7. 서울시 9급)
 
Strange as ① it may seem, ② the Sahara was once an expanse of grassland ③ supported the kind of animal life ④ associated with the African plains.

정답 & 해설

해석이상하게도 보일지도 모르지만, 사하라 사막은 한때 아프리카 평야과 관련된 동물의 생명을 지탱하는 넓은 초원이었다.
해설 
itSahara를 뜻하며 Strange as it may seem은  [도치 양보부사절]이다. 형식은 [ 보어/부사 + 양보접속사(as/ though/ that) S + V ]이다.
The Sahara desert에서 desert를 생략한 The Sahara단수명사이다. 그 다음에 동사인 was단수이므로 올바르다.
명사 + 동사ed(수동)가 맞는지는 [동사ed] 앞에 be동사를 넣어서 의미가 맞는지 보면 된다. 이것을 supported에 적용해 보면 [ grassland (is) supported the kind of animal life (초원이 동물의 생명을 지탱받고 있다) ]가 된다. 이것은 문맥상 의미가 맞지 않다. 초원이 동물의 생명을 지탱하는 것이다. supportedsupporting
associate타동사일 때 associate A with B(A를 B와 연관시키다)로 쓰인다. 자동사일 때는 associate with(~와 교재하다, 어울리다)로 쓰인다. 명사 바로 다음associated가 문법적으로 맞는지는 앞에 be동사를 넣어서 재구성해 보면 알 수 있다. [ animal life (is) associated with the African plains (동물의 생명이 아프리카 평원과 관련되어 있다)]가 된다. 이것은 문맥상 의미가 맞다.
정답

3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14. 국가직 7급)
 
A Civil Service career is your chance ①to begin a journey ②where the things that you accomplish on a daily basis can make a difference in the world. From improving trade opportunities for U.S. business, to monitoring human rights issues, ③to providing management supervision, you can use your skills in a Civil service career to directly impact foreign policy issues or uphold the business practices and processes ④involving in supporting the U.S. Department of State’s diplomatic efforts.

정답 & 해설

해석공무원 조직의 경력은 매일 매일(on a daily basis) 성취하는 것들이 세상에서 영향을 줄 수 있는 여행을 시작할 수 있는 당신이 갖는 기회이다. 미국과의 교역 가능성을 증진시키는 것에서 부터 인권 문제를 감시하는 것, 경영 감독을 제공하는 것에 이르기까지, 당신은 공무원 조직의 경력은 당신이 갖은 기술들이 외교 정책 문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거나 또는 미 국무성의 외교적 노력을 지지하는 것과 관련된 사업적 관행과 과정을 지지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해설[타동사+ing]도 타동사를 이용하므로 타동사 다음목적어가 있어야 한다.그런데 ④번 involving 다음에 목적어오지 않았다. 타동사의 목적어는 [능동태 다음, 수동태 앞]에 온다. 타동사 다음에 목적어가 없다면 그 타동사는 수동태로 바뀌어야 한다.이 영문도 involved로 바뀌어야 한다. the business practices and processes (are) involved in supporting the U.S. Department of State’s diplomatic efforts (사업적 관행과 과정들이 미 국무성의 외교적 노력을 지지하는 것과 관련되어있다)가 된다. 이것은 문맥상 의미가 맞다. involving → involved
정답

4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16. 사복직 9급)
 
The middle-class Americans who chose ①to avoid the suburban lifestyle and ②live in the central city ③were most often those least ④depended on central-city government services.

정답 & 해설

해석교외 생활 방식을 피하고 중심도시에서 생활하는 것을 선택하는 미국의 중산층은 중앙 정부 서비스에 거의 의존하지 않은 사람들이다.
해설 
choose(선택하다)는 to do를 목적어로 취하다. 따라서 chose 다음에 to avoid는 옳다.
and 앞같은 품사로 되어 있어야 한다. 이것을 병치[병렬]이라 한다. and 다음의 live동사원형으로 동사원형avoid병치된 것이므로 옳다.
주어인 The middle-class Americans가 복수이므로 복수동사 were이 온 것은 올바르다.
depend(자동사) + on(전치사)는 [믿다, 의지하다]는 뜻의 동사구이며, 수동태는 be depended on이다. [명사 +  동사ed(수동)]에서 동사ed는 수동이므로 다음에 목적어가 올 수 없다. 그런데 on 다음에 목적어(central-city government services)가 있으므로 잘못이다. 목적어타동사전치사 다음에 있으려면 동사는 능동형이어야 한다. depended → depending
정답

5

다음 빈 칸에 순서대로 들어갈 말로 가장 옳은 것은? (12. 경찰직 2차)
 
It was a really          experience. Afterwards everybody was extremely          .
  
terrifying, shocked
terrifying, shocking
terrified, shocked 
terrified, shocking

정답 & 해설

해석정말 무서운 경험이었다. 그 후 모두 사람은 극도로 충격을 받았다.
해설 
terrify는 [겁먹게 하다]의 뜻의 타동사이다. terrifying는 [겁먹게 하는(능동)] 뜻의 현재분사이고, terrified는 [겁먹은 (수동)]뜻의 과거분사이다. 분사는 형용사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들이 빈 곳에 들어가면 experience(경험)를 수식한다. a terrified experience (겁먹은 경험)는 의미가 맞지 않다. 따라서 빈 곳에는 terrifying이 옳다.
shock는 [충격을 주다]는 뜻이다. shocking은 [충격을 주는(능동)]뜻의 현재분사이고, shocked는 [충격을 받는(수동)] 뜻의 과거분사이다. was shocking은 [충격을 주고 있었다]는 뜻의 진행형 능동태이고, was shocked는 [충격을 받았다]는 뜻의 수동태이다. 문맥상 모두가 충격을 받았으므로 둘째 빈 곳은 수동태이어야 한다. 따라서 빈 곳은 shocked가 옳다.  
정답
정답

6

다음 밑줄 친 (A)와 (B)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표현은? (17. 국회직 9급)
Even though freedom of speech is controlled to an extent by the government in Singapore, one Internet site established by a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A)                in Singapore, (B)                  Think Center, polled Singaporeans on their view on the death penalty.
       
  (A) (B)   (A) (B)
operating calling operated called
operation calling operating called
operated calling      

정답 & 해설

해석비록 언론의 자유가 싱가포르 정부에 의해 어느 정도 통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Think Center라고 불리어지는 싱가포르에서 운영되는 비정부기구 (NGO)에 의해 설립된 한 인터넷 사이트는 싱가포르 국민들에게 사형제도에 대한 여론 조사를 했다.
해설 
(A)operate는 [운영되다, 운영하다] 뜻의 [자동사/타동사]이다. [ 명사 + 동사ing(능동), 명사 + 동사ed(수동) ]의 문법적 판단은 명사 다음be동사를 넣어서 뜻이 맞는지를 통해 판단한다. 이것을 operating에 적용해 보면 [ a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is) operating in Singapore (비정부기구인 NGO가 싱가포르에서 운영되고 있다) 가 된다. 이것은 의미가 적합하다. 따라서 operating은 [자동사+ing]이며 주체는 NGO이다. 따라서 능동형operating은 올바르다. 
(B)call은 [~를 ~라고 부르다]는 뜻의 5형식 동사이다. called의미상 주어one Internet site이며 이 둘은 문맥상 수동관계이다. 즉, One Internet site (which was) called Think Center에서 which is가 생략된 것과 같은 원리이며 Think Center는 주격보어이다.  
정답

7

다음 중 어법상 틀린 것을 고르시오. (12. 국회직 9급)
 
According to Greek myth, Theseus was able to find ①his way back out of the Labyrinth, a maze of passages and galleries ②built to house a fearful monster, ③by following a strand of wool that he had slowly unrolled from a large ball ④as he penetrated deeper and deeper into the bowels of the ⑤confused building.

그리스 신화에 따르면, 테세우스는 그가 혼란스러운 건물의 가장 깊은 곳으로 점점 더 깊이 뚫고 들어갈 때 그가 거대한 공으로부터 천천히 풀어놓았던 털실 한 가닥을 따라 감으로서 무서운 괴물을 수용하기(house) 위해 지어진 통로와 지하통로(gallery)의 미로(maze)인 Labyrinth에서 돌아 나가는 길을 찾을 수 있었다.

정답 & 해설

해설 
Theseus가 남성이면서 단수이므로 his는 올바르다.
builtbuild(건설하다)의 과거분사이며 galleries수식한다. galleries (were) built (통로가 건설되었다)는 수동관계이며 문맥상 의미도 옳다.
by = (수단, 매개) ~으로, ~에 의하여
as = (접속사) ~할 때, ~하면서, ~하는 동안
confuse는 [~를 혼란스럽게 만들다, ~와 ~를 혼동하다]는 뜻의 타동사이다. [관사 + 동사ed(수동) + 명사 관사 + 명사 +동사ed(수동)]에서 명사동사ed가 맞는지는 둘 사이에 be동사를 넣어서 판단한다. 이것을 confused에 적용해보면 [ the building (is) confused (건물이 혼란스러워 한다)]가 된다. 이것은 의미가 맞지 않다. 건물이 사람에게 혼란을 줄 수는 있다. 따라서 the confusing building(혼란스러움을 주는 건물)으로 하는 것이 맞다. confusedconfusing
정답

8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15. 교행직 9급)
 
I met a university professor who reported that his daughter ① had sent thirteen thousand text messages to her friends in a single month. If each message took, say, fifteen seconds ② to key in, the father calculated that the daughter spent hours a day texting, a word my spell-checker does not yet recognize. Sending text messages ③ is obviously an addictive and compulsive behavior. My wife and I once drove past a young man ④ rode no hands on a bicycle. In one hand he was thumbing a text message. In the other he held what looked like a three- or four-month-old baby

나는 그의 딸이 한 달 만에 1만 3천 개의 문자 메시지를 그녀의 친구들에게 보냈다는 한 대학의 교수를 만났다. 만일 각 메시지가 키보드로 입력하는데 15초가 걸렸다면, 그 아버지는 딸이 하루에 문자 메시지를 보내는데 몇시간을 보냈고 – 나의 멎춤법 검사 프로그램이 아직 인식하지 못한 글자라고 추정했다. 문자 메시지를 보내는 것은 분명히 중독성이고 강박적인 행동이다. 나의 아내와 나는 핸들을 잡지 않고 자전거를 타고 있는 한 젊은 사람을 지나쳐 차를 몰았다. 그는 한 손으로 문자 메시지를 훑어 보았다. 다른 한 손에는 3 ~ 4개월 된 아기처럼 보이는 것을 안고 있었다.

정답 & 해설

해설 
관계대명사절에서 과거동사reported(전하다)보다 문자 를 보낸 것이 먼저이다. 과거보다 먼저이면 대과거이다. 대과거는 had sent이다.
key는 [키보드로 입력하다]는 뜻이다. to key infifteen seconds수식하는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으로 옳다.
is의 주어는 동명사구인 Sending text messages이다. 동명사하나이면 단수이므로 is는 옳다.
ride – rode – ridden는 [(자전거/말 등을) 타다]는 뜻의 타동사 [자동사]이다. roderide과거동사이다. 그런데 이 영문에서 rode의 자리는 과거동사가 올 자리가 아니다. rode는 man수식하는 형용사 자리이다. 동사를 형용사로 만든 것이 분사이다 따라서 rode를 riding으로 바꿔야 한다. rode → riding
정답

9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16. 국가직 7급)
 
Each person defines his or her own space-the surrounding area ①reserved for the individual. Acute discomfort can occur when another person stands or sits within the space ②identifying as inviolate. Middle Easterners prefer to be no more than 2 feet from ③whomever they are communicating with so that they can observe their eyes. Latinos enjoy personal closeness with friends and acquaintances. African Americans are likely to be offended if a person moves back or ④ tries to increase the distance between them.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s most successful when spatial preferences are flexible.

각 사람은 자신의 공간을 정의한다 – 주변 지역은 개인을 위해 마련된 것이다. 강한 불편 함은 존중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지는 공간에 다른 사람이 서 있거나 앉아있을 때 발생할 수 있다. 중동 인들은 그들이 그들의 눈을 관찰 할 수 있도록 의사 소통하는 사람과 2피트 이상 떨어져 있지 않은 것을 선호한다. 라틴계인들은 친구나 지인들과 개인적인 친밀감을 즐긴다. 사람이 뒤로 물러나거나 그들 사이의 거리를 늘리려고하면 아프리카계 미국인은 기분 상하게 될 지 모른다. 다양한 문화간의 의사소통은 이러한 공간적 선호도가 융통성 있게 조절될 때, 가장 성공적이다.

정답 & 해설

해설 
reserved는 the surrounding area를 수식하는 과거분사이다.
identify= [타] 확인하다, 식별하다, 감정하다, 동일시하다. identify타동사이므로 능동태 다음에 목적어가 있어야 한다. 타동사+ing인 identifying 타동사 능동태를 이용한 것이므로 다음에 목적어 있어야 한다. 그런데 이 영문에는 identifying 다음에 목적어없다. 타동사의 능동태 다음에 목적어가 없으면 타동사 수동태 과거분사로 수정해야 한다. identifying → identified
whomever는 복합관계대명사이며 앞에 선행사가 오지 않는다. 이 영문에서 whomever는 with의 목적어이다.
tries와 moves는 or에 의해 병치되었다.
정답

10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2. 지방직 7급)
 
At one time there was nothing unusual about later motherhood. In many families, sibling births ㉠spanning a generation, and grandchildren were often similar in age to their parents’ younger brothers and sisters. The medical perspective on later motherhood tends to be problemcentered. ‘Elderly’ pregnant mothers ㉡are seen purely in terms of ㉢increased risks to themselves and their infants. Psychological research of women who become mothers later than usual ㉣are scarce, but those that are available suggest they ㉤have qualities which make them just as good, though different from their younger counterparts.
 
㉠ ㉣㉠ ㉤
㉡ ㉢㉡ ㉢ ㉣

정답 & 해설

해석한때 늦은 모성에 관해서 특별한 것이 없었다. 많은 가족들에서, 형제 자매의 출생은 세대에 걸쳐있었고, 그리고 손자 손녀들은 종종 어렸을 때 부모의 형제 자매의 나이와 비슷했다. 늦은 모성에 대한 의학적 관점은 문제 중심적인 경향이 있다. ‘노인’임산부는 순전히 그들 자신과 그들의 유아의 위험이 증가한 관점에서 비춰진다. 보통보다 늦게 산모가 되는 여성에 대한 심리 연구는 부족하다. 그러나 비록 그들의 더 젊은 상대들과는 다르더라도, 이용 가능한 것들은 그들도 그들을 훌륭하게 만드는 자질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해설 
span= [타] ~에 걸치다. spanning은 동사가 와야 할 위치이다. 맥문상 시제를 고려하면 과거동사가 되어야 한다. spanning → spanned
are의 주어는 Psychological research이다. 주어단수이면 is가 와야 한다. are → is
정답
3

과거분사

 동사ed (p.p.)  는   수동  이며   동사ed  로 부터 수식받는   명사  가   의미상 주어  이다.
 동사ed (수동)  명사   
의미상주어
명사  동사ed (수동)    
의미상주어
 
동사ed + 명사, 명사 + 동사ed는 [명사 + (be) + 동사ed]로 바꿔서 판단한다.
The wounded boy was seriously ill.
  부상당한 소년은 중태였다.
  wounded boy = The boy (be) wounded  (부상당한 소년)
  boy가 wounded의 의미상 주어이자 was의 주어이다.
The book written in English is hers.
  영어로 쓰인 그 책은 그녀의 것이다.
  The book (be) written in English (영어로 쓰여진 책)
  book은 written의 의미상 주어이자 is의 주어이다.

기출 21회

18. 지방직 9급

18. 국가직 9급

18. 서울시 9급

18. 교행직 9급

18. 기상직 9급

17. 서울시 9급

17. 국회직 9급

17. 국가직 9급

17. 국가직 7급

17. 서울시 7급

16. 법원직 9급

16. 기상직 9급

15. 서울시 9급

15. 교행직 9급

15. 기상직 9급

14. 국가직 9급

13. 국가직 9급

13. 서울시 9급

19. 경찰직 1차

15. 경찰직 3차

13. 경찰직 1차

5/5

1

어법상 밑줄 친 부분에 가장 적절한 것은? (15. 서울시 9급)
 
Most of the art                      in the museum is from Italy in the 19th century.
 
is displayeddisplaying
displayedare displayed

정답 & 해설

해석박물관에 전시된 예술품의 대다수는 19세기 이탈리아에서 온 것이다.
해설 
술어동사가 2개이면(is, is) 접속사가 1개 있어야 한다. 이 영문에는 접속사가 없다. 따라서 빈 곳 다음에 술어동사(is)가 있으므로 빈 곳에 술어동사인 is displaying이 들어갈 수 없다.
[명사 + 동사ing(능동)]가 맞는지 둘 사이에 be동사를 넣어서 의미가 맞는지 확인해 보면 된다. 이것을 displaying에 적용해보면 [ Most of the art (is) displaying (예술품의 대다수가 전시하고 있다) ]가 된다. 이것은 의미가 맞지 않다. 예술품은 전시되어지는 대상이지 예술품이 전시할 수는 없다. 따라서 빈 곳에 displaying부적합하다.
[명사 + 동사ed(수동)]가 맞는지는 둘 사이에 be동사를 넣어서 의미가 맞는지 확인해 본다. 이것을 displayed에 적용해보면 [Most of the art (is) displayed (예술품의 대다수가 전시되고 있다)]가 된다. 이것은 의미가 맞다. 따라서 빈 곳은 displayed가 옳다.
①과 같은 이유로 are displayed는 들어갈 수 없다.
정답

2

밑줄 친 부분중 어법상 옳은 것은? (14. 국가직 9급)
 
Compared to newspapers, magazines are not necessarily up-to-the-minute, since they do not appear every day, but weekly, monthly, or even less frequently. Even externally they are different from newspapers, mainly because magazines ①resemble like a book. The paper is thicker, photos are more colorful, and most of the articles are relatively long. The reader experiences much more background information and greater detail. There are also weekly news magazines, ②which reports on a number of topics, but most of the magazines are specialized to attract various consumers. For example, there are ③women’s magazines cover fashion, cosmetics, and recipes as well as youth magazines about celebrities. Other magazines are directed toward, for example, computer users, sports fans, ④those interested in the arts, and many other small groups.

신문과 비교했을 때, 잡지들은 매일 발생되는 것이 아니라 매주, 매월 또는 그보다 자주 발행되지 않기 때문에 꼭 최신 정보일 필요는 없다. 외부적으로도 신문과는 다른데, 주로 잡지들은 책과 비슷하기 때문이다. 종이가 더 두껍고 사진이 더 다채롭고 그리고 기사의 대부분이 상대적으로 길다. 독자는 훨씬 많은 배경 정보와 보다 자세한 내용을 경험한다. 또한 주간 뉴스 메거진들이 있는데, 이것들은 많은 주제에 대해 보도하지만 그 메거진들의 대다수는 다양한 소비자들을 유치하기 위해 전문화되어 있다. 예를 들어, 유명인에 관한 청소년 잡지 뿐만 아니라 패션, 화장품 그리고 조리법을 다루는 여성 잡지들이 있다. 다른 잡지는 예를 들어 컴퓨터 사용자, 스포츠 팬, 미술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 그리고 많은 다른 소그룹을 대상으로 한다.

정답 & 해설

해설 
resemble(닮다)은 타동사이다. 타동사 다음목적어가 오며 전치사올 수 없다. resemble likeresemble
[선행사(,) + 관계대명사 + 동사]의 형식에서 동사의 단/복수는 선행사가 결정한다. which + reports에서 reports단/복수는 선행사인 weekly news magazines결정한다. weekly news magazines이 복수이므로 동사도 복수형이 와야 한다. reports → report
cover(보도하다)는 타동사이다. 문장에 술어동사가 2개이면 접속사가 1개 있어야 한다. 이 영문도 술어동사2개(are, cover)인데 접속사없어서 잘못된 문장이다. 문맥상 의미를 고려하면 cover현재분사(=형용사)인 covering으로 바꿔서 magazines수식하게 하면 된다. cover → covering
[명사 + 동사ed]가 맞는지는 둘 사이에 be동사를 넣어서 의미가 맞는 지 확인해 보면 된다. 이것을 interested에 적용해보면 [those (are) interested in the arts (사람들이 예술에서 흥미를 느낀다)]가 된다. 이것은 의미가 맞다.
정답

3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17. 국가직 7급)
 
The corals are the foundation of an ecosystem ①increasingly damaging by fishing nets, but scientists know ②very little about the ③slow-growing life-forms because they are somewhat difficult ④to reach.

정답 & 해설

해석산호는 어망에 의해 점점 손상받는 생태계의 토대입니다. 그러나 과학자들은 천천히 자라는 생물의 형태에 대해서 거의 알지 못합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다소 도달하기 어려운 곳에 있기 때문입니다.
해설damage는 [~에 손해를 입히다, ~을 손상하다, 해치다]는 뜻의 타동사이다. [타동사+ing]도 타동사 이용하므로 타동사 다음목적어가 있어야 한다. 그런데 damaging 다음에 목적어없어잘못이다. 타동사 목적어 [능동태 다음, 수동태 앞]에 온다. 타동사 다음 목적어 없다면 타동사 수동태 바뀌어야 한다. 이 영문도 damaged로 바뀌어야 한다. [명사 + 동사ing(능동)]가 맞는지 [명사 + 동사ed(수동)]가 맞는지는 명사동사ing [동사ed] 사이에 be동사를 넣어서 문맥상 의미가 맞는지 확인해 보면 된다. 이것을 damaged에 적용해보면[an ecosystem (is) damaged by fishing nets (생태계가 그물망에 의해 손상을 입는다)]가 된다. 이것은 문맥상 의미가 맞다. damaging → damaged
정답

4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18. 국가직 9급)
 
Focus means ①getting stuff done. A lot of people have great ideas but don’t act on them. For me, the definition of an entrepreneur, for instance, is someone who can combine innovation and ingenuity with the ability to execute that new idea. Some people think that the central dichotomy in life is whether you’re positive or negative about the issues ②that interest or concern you. There’s a lot of attention ③paying to this question of whether it’s better to have an optimistic or pessimistic lens. I think the better question to ask is whether you are going to do something about it or just ④let life pass you by.

집중은 어떤 것이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많은 사람들이 훌륭한 생각을 가지고 있지만 그것에 따른 행동을 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내게 있어서 기업가의 정의는 혁신과 독창성을 새로운 아이디어를 실행할 수 있는 능력과 결합할 수 있는 사람이다. 어떤 사람들은 삶의 중심적인 이분법은 당신에게 흥미를 주거나 또는 영향을 미치는 문제들에 관해 당신이 긍정적이거나 또는 부정적이라고 생각한다. 낙관적이거나 비관적인 렌즈를 가지고 있는 것이 더 좋은지에 대한 이 질문에 많은 관심이 있다. 내가 생각하기에 더 좋은 질문은 당신이 그것에 대해 무언가를 할 것인지 아니면 인생이 당신을 지나쳐 버리게 할 것인가이다.

정답 & 해설

해설 
mean + ~ing는 [(효과/결과를) 일으키다]의 뜻이다. 명사 + 동사ed(p.p.)가 올바른지는 둘 사이에 be동사 넣어서 의미확인한다. 이것을 적용해 보면 [stuff (is) done(어떤 것이 이루어지다)]가 된다. 이것은 의미가 옳다.
관계대명사 다음불완전한 절(=주어, 목적어, 보어 중 하나가 없는 절)이 온다. 이 글에서 관계대명사 that 다음에 주어없으므로 불완전한 절이며 선행사는 the issues이다. 
pay = (주의, 관심 등)을 주다, (대가 등을) 지불하다. [명사 + 동사ing(능동) or 동사ed(수동)]의 문법적 오류는 둘 사이에 be동사를 넣어서 의미가 맞는지 보면 된다. 이것을 paying에 적용해보면 [a lot of attention (is) paying to this question (많은 주의가 이 문제에 주고 있다)]가 된다. 이것은 문맥상 의미맞지 않다. 주의를 주는 것은 사람이다. 많은 관심이 이 문제에 주어지고 있다고 해야 한다. paying → paid
사역동사 + 목적어 다음에 목적격 보어로 부정사가 오면 사역동사 + 목적어 + 동사원형 형식이다. let사역동사이다. let + life + pass you by는 이 형식에 따른 것이므로 올바르다. or 앞/뒤는 같은 품사로 구성된다. 이것을 병치[병렬]라 한다. 이 영문에서 or 다음의 let은 동사원형으로 do병치를 이룬다. pass는 타동사인데 원형부정사로 쓰였으며 you는 pass의 목적어이고 by는 부사이다.
정답

5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8. 서울 9급 1차)
 
Lewis Alfred Ellison, a small-business owner and ① a construction foreman, died in 1916 after an operation to cure internal wounds ② suffering after shards from a 100-lb ice block ③ penetrated his abdomen when it was dropped while ④ being loaded into a hopper.

중소기업 오너이자 건설 감독인 루이스 알프레드 엘리슨 (Lewis Alfred Ellison)은 100 파운드 아이스 블록에서 나온 파편이 호퍼에 적제되는 동안 그것이 떨어졌을 때 그의 복부를 뚫은 후에 겪은 내부 상처를 치료하기 위한 수술 후에 1916년에 사망했다.

정답 & 해설

해설 
a는 모음(a æ e i ə ʌ o ɔ u)을 제외한 자음으로 시작하는 단어 앞에 쓴다. construction은 자음으로 시작하므로 올바르다.
suffer(겪다, 당하다)는 타동사이다. [명사 + 동사ing(능동)]가 맞는지 둘 사이에 be동사를 넣어서 의미가 맞는지 확인해 보면 된다. 이것을 suffering에 적용해보면 [wounds (is) suffering (부상이 겪고 있다)]가 된다. 이것은 의미가 맞지 않다. [wounds (is) suffered :부상을 겪다(능동태로 바꿔서 해석 바람]가 된다. 이것은 의미가 맞다. sufferring → sufferred
penetrate(관통하다, 스며 들다, 침투하다)를 뜻하는 타동사이다. penetrated는 과거동사이면서 목적어를 취했으므로 올바르다.
being loaded의 의미상 주어는 it(=a 100-lb ice block 100파운드 어름 덩어리)이다. 이것을 재구성해 보면 [a 100-lb ice block + being loaded into a hopper (100파운드 어름 덩어리가 호퍼 차(분말을 수송하기 위해 밑바닥 이나 옆이 열리는 구조의 차)에 적재되어지다)]가 된다. 이것은 의미나 구조가 맞다.
정답

6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7. 서울시 9급)
 
The first coffeehouse in western Europe ① opened not in ② a center of trade or commerce but in the university city of Oxford, ③ in which a Lebanese man ④ naming Jacob set up shop in 1650.

정답 & 해설

해석서유럽 최초의 커피 하우스는 무역이나 상업의 중심지가 아닌 옥스퍼드 대학의 도시에서 열었고, 야곱이라 불리어지는 레바논 사람이 1650년에 가게를 설립했다.
해설 
open = [자/타] 열리다, 열다. 영문에서 opened는 목적어가 없으므로 자동사의 과거로 쓰였다. not은 not A but B (A가 아니라 B이다)구조로 쓰였다.
a center는 in의 목적어이면서 of trade or commerce로 부터 수식받고 있다.
[전치사 + 관계대명사] 다음은 완전한 절(=주어, 목적어, 보어의 생략이 없는 절)이 온다. in which 다음은 3형식으로 완전한 절이다.
name = [타] ~에 이름을 지어주다, ~이라고 ~을 부르다. [명사 + 동사ing(능동)]가 맞는지는 둘 사이에 be동사를 넣어서 의미가 맞는지 확인해 본다. 이것을 naming에 적용해 보면 [a Lebanese man (is) naming Jacob (어떤 레바논 사람이 야곱에게 ~라고 이름을 부르고 있다)]가 된다. 동사ed (수동)로 재구성해 보면 [a Lebanese man (is) named Jacob (어떤 레바논 사람이 야곱이라고 이름 불리어지다)]가 된다. 이것은 의미가 맞다. naming Jacob → named Jacob
정답

7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15. 교행직 9급)
 
As our knowledge of emotional intelligence continues to evolve, ① so does this book on emotional and social intelligence. Just over ten years ② have passed since we wrote the first edition of this book. The previous revised editions were driven by the huge increase in knowledge, both scientific and experiential, ③ that arose on this new topic. The present revision is primarily driven by the first major revision of the most widely used test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world, the Emotional Quotient Inventory, now ④ referring to as the Emotional Quotient Inventory 2.0.

감성 지능에 대한 우리의 지식이 계속 진화함에 따라서, 정서적 사회적 지능에 관한 이 책도 마찬가지입니다. 우리가 이 책의 초판을 쓴 이래로 10년이 지났습니다. 이전의 개정된 판은 이 새로운 주제에 관해서 발생한 과학적, 경험적 지식의 엄청난 증가에 따른 것입니다. 현재의 개정은 주로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감성 지능 테스트의 첫 번째 주요 개정인 Emotional Quotient Inventory에 의한 것이며, 현재는 Emotional Quotient Inventory 2.0으로 언급되고 있다.

정답 & 해설

해설 
So + do + S는 [ 앞에 나온 절의 내용이 주어만 다르고 나머지는 그대로 반복될 때 ] 이를 줄여서 쓰는 방식이다. 이때 두 절의 동사는 형태와 시제가 같아야 한다. does는 대동사로서 continues to evolve를 대신해서 쓰였다. so does는 문법적으로 옳다. 
since = [접/전] ~이후 (현재까지). since는 [ have + p.p. ~ since S + 과거동사 ] 형식으로 쓰인다. 따라서 have passed since we wrote는 옳다.
관계대명사 다음불완전한 절(=주어, 목적어, 보어 중 하나가 없는 절)이 온다. that 다음에 주어가 없다. 따라서 that관계대명사이다. 관계대명사인 that 앞에는 콤마를 둘 수 없다. 이 문장에서 that 앞의 콤마는 both scientific and experiential의 삽입구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며 관계대명사 that의 계속적 용법을 위한 콤마(,)가 아니다. 삽입구를 제거하면 콤마도 같이 제거되면서 knowledge that arose on this new topic가 되는 것이므로 옳다.
refer to A as B(A를 B라고 부르다)의 수동태는 A be referred to as B(A는 B라고 불리어지다)이다. referring 다음에 to as가 나란히 오려면  referring은 수동태가 되어야 한다. referring → referred
정답

8

다음 중 우리말을 영어로 잘못 옮긴 것을 고르시오. (09. 국가직 7급)
나는 딸이 여섯 살일 때 나눗셈을 가르쳤다.
 I taught my daughter how to do division at the age of six.
복면을 쓴 강도들이 쳐들어와서 8,000달러를 가지고 도망쳤다.
 Mask robbers broke off and ran away with $8,000.
회사를 지배하려고 한 그의 노력은 실패했다.
 He failed in his attempt to take control of the company.
그 식당은 매우 인기가 있으니 미리 예약을 하렴.
 Do book ahead as the restaurant is very popular.

정답 & 해설

해설mask = [타] ~에 가면을 씌우다. 우리말에서 [복면을 쓴 강도들]을 표현하려면 mask는 명사인 robbers수식해야 한다. 그런데 mask는 동사원형 이므로 명사인 robbers를 수식할 수 없다. 명사식하려면 형용사바뀌어야 한다. 동사를 형용사로 전환하는 방법은 분사로 만드는 것이다. 현재분사인 [동사ing]는 능동의 뜻을 갖고 과거분사인 [동사ed]는 수동의 뜻을 갖는다. 문맥상 수동형masked(가면을 쓴)가 되어야 한다. Mask robbers → Masked robbers
정답

9

우리말을 영어로 가장 잘 옮긴 문장은? (13. 서울시 9급)
그는 제인이 제안한 대안이 실효성이 없을 것이라고 굳게 믿고 있다.
 He strongly believes that the alternatives had been offered by Jane won’t work.
히틀러가 다른 유럽국가를 침략하지 않았다면 2차세계 대전은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If Hitler hadn’t invaded other European countries, World War II might not take place.
나는 커튼 뒤에 숨어서 그림자가 다시 나타나기를 기다렸다.
 Hiding behind the curtain, I waited the shadow to reappear.
그는 미국회사에서 회계사로 5년 동안 근무했다.
 He worked for an American company as accountant during 5 years.
탐은 자기 생각을 영어보다 러시아어로 표현하는 것이 훨씬쉽다고 한다.
 Tom says that it is much easier for him to express his thoughts in Russian than in English.

정답 & 해설

해설 
술어동사2개(had been, won’t work)이면 접속사1개 있어야 하는데 없다. 따라서 동사를 하나 없애야 한다. S(the alternatives) + V(had been offered by Jane) + V(won’t work) → S(the alternatives )+ p.p.(offered by Jane) + V(won’t work)
가정법에서 시간부사가 없으면 두 절의 동사 시제 같아야 한다. 이 영문에서 if절가정법 과거완료인데 주절과거이므로 두 절의 시제다르다. 우리말에서 2차세계 대전은 과거의 일이다. 과거일을 가정법으로 나타내면 가정법과거완료이다. might not take place → might not have taken place
wait(기다리다)는 wait, wait for, wait + (for 목적어) to do 형식으로 쓰인다. 이 영문의 V(waited) + O(the shadow) + OC(to reappear)는 5형식이다. wait는 1.3 형식 동사이며 5형식 동사가 아니다. waited →  waited for  
during의 목적어는 한정사(the, this, that, 소유격)로 시작하고 for의 목적어는 수 개념으로 시작한다. during 5 years → for 5 years
easy는 [쉬운] 뜻의 형용사로서 [It is easy for 목적어 to do] 형식으로 쓰인다. 이 영문은 이 형식에 충실하다.
정답
4

missing

 없어진, 실종된   뜻은   missing  이며   missed  는   잘못  이다.
 없어진, 실종된  missing (O)  
 missed  (X)
We found the missed child. (X)
우리는 그 실종된 아이를 찾았다. 
missed → missing
The boy is missed. (X)
그 소년은 실종이 되었다. missed → missing

기출 5회

19. 경찰직 1차

17. 국회직 9급

15. 경찰직 3차

13. 경찰직 2차

07. 국회직 8급

1.5/5

1

다음 ㉠, ㉡, ㉢에서 어법에 맞는 표현을 골라 나열한 것은? (15. 경찰직 3차)
 
A retired minister in a small town does not return from a fishing trip. Police find his car ㉠ parking/parked about halfway to the lake. It is locked and undamaged. In it,they find a half-eaten ham sandwich, fishing tackle, a gun with one shell ㉡ firing/fired, and a copy of Penthouse. The minister is ㉢ missing/missed. You’re the reporter and your story is due.
 
parking – firing – missing
parked – firing – missed
parking – fired – missed
parked – fired – missing

정답 & 해설

해석작은 마을의 은퇴한 한 목사는 낚시 여행에서 귀가 하지 않고 있다. 경찰은 그의 차가 호수 중간에 주차된 것을 발견했다. 그것은 잠겨 있고 손상되지 않았다. 그 안에서 그들은 반쯤 먹은 햄 샌드위치, 낚시 도구, 한 발 발사된 총과 펜트 하우스의 사본을 발견했다. 목사는 실종되었다. 당신은 기자이고 기사는 써야 한다.
해설 
[명사 + 동사ing(능동) or 명사 + 동사ed(수동)]의 문법적 적합성은 둘 사이be동사를 넣어서 의미가 맞는지 확인해 보면 된다. [his car (is) parking (차가 주차하다)]는 차가 스스로 주차할 수 없으므로 맞지 않다. [his car (is) parked (차가 주차되어지다)]는 의미가 맞다. 따라서 parked가 옳다.
[one shell (is) firing (총알 한 발이 발사한다)]는 의미가 맞지않다. [one shell (is) fired (총알 한 발이 발사되었다)]는 의미가 맞다. 따라서 fired가 옳다. ※ shell = 포탄, 껍질
[실종된, 행방불명인, 행방불명된, 없어진] 표현은 missing이다.
정답

2

Choose the sentence that is not grammatically correct. (07. 국회직 8급)
Rescue workers searched the most remote areas of the park trying to locate the missed man.
The entry fee to the exposition will be reduced for tickets purchased in advance.
We have decided not to commission new project.
Immigrants must obtain a certificate of alien registration.
You look sick. You had better consult a doctor.

정답 & 해설

해석 
구조대원들은 실종자를 찾으려 공원의 가장 먼 지역을 수색했다.
사전에 구입된 티켓은 전시회 참가비가 할인될 것이다.
우리는 새로운 프로젝트를 위임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이민자는 외국인 등록증을 획득해야 한다.
너는 아파보인다. 너는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좋겠다.
해설[ 없어진, 실종된 ] 뜻은 missing이며 missed가 아니다. 따라서 실종자는 missing man으로 표현한다. missed man → missing man
정답
5

주격보어와 분사

 주어 + 동사 + 동사ing  (능동)
 동사ed  (수동)
문장의주어   보어  
의미상주어     
 
문장의 주어동사ing, 동사ed의미상 주어이다.
He sat singing merrily.
그는 즐겁게 노래 부르며 앉아 있었다.
singing은 능동으로 He가 singing의 의미상 주어이다.
He stood astonished at the sight.
그는 그 장면에 놀라서 서 있었다.
astonished는 수동으로 He가 astonished의 의미상 주어이다.

기출 19회

21. 국가직 9급

20. 지방직 9급

20. 지방직 7급

19. 국가직 9급

19. 지방직 9급

19. 교행직 9급

19. 소방직 1차

18. 교행직 9급

18. 법원직 9급

18. 국회직 9급

18. 경찰직 3차

18. 경찰직 1차

17. 경찰직 1차

17. 지방직 9급

17. 기상직 9급

17. 지방직 7급

15. 국가직 9급

11. 기상직 9급

11. 지방직 9급

5/5

1

우리말을 영어로 옳게 옮긴 것은? (17. 지방직 9급)
내가 열쇠를 잃어버리지 않았더라면 모든 것이 괜찮았을텐데.
 →Everything would have been OK if I haven’t lost my keys.
그 영화가 너무 지루해서 나는 삼십 분 후에 잠이 들었어.
 →The movie was so bored that I fell asleep after half an hour.
내가 산책에 같이 갈 수 있는지 네게 알려줄게.
 →I will let you know if I can accompany with you on your walk.
내 컴퓨터가 작동을 멈췄을 때, 나는 그것을 고치기 위해 컴퓨터 가게로 가져 갔어.
 →When my computer stopped working, I took it to the computer store to get it fixed.

정답 & 해설

해설 
가정법에서는 시간부사가 없다면 주절 동사조건절 동사시제같아야 한다. 주절에 과거완료(would have been)가 왔으므로 조건절에도 가정법 과거완료가 와야 한다. haven’t losthadn’t lost
bored는 [지루함을 받은] 뜻이다. 지루함을 받는 것감정을 지닌 사람만이 가능하다. 그런데 영화(The movie)가 주어로 왔다. 영화(The movie)는 관객들에게 지루함을 주는 대상이지 받는 대상이 아니다. 따라서 boring(지루함을 주는)으로 바꿔야 한다. bored → boring
accompany(~와 동반하다, ~와 동행하다)는 타동사이다. 따라서 전치사가 올 수 없다. accompany with → accompany
stop + ~ing는 [과거부터 ~해 오던 것을 멈추다]이고 stop + to do는 [앞으로 ~하기 위해 멈추다]이다. 우리말에서 컴퓨터가 작동을 멈췄다는 것은 [이전 부터 작동해 오던 동작을 멈추는 것]이므로 stopped working은 올바르다. get + 목적어 + p.p.에서 목적어p.p.수동관계이다. it(=computer)은 수리되어지므로 fixed(수리되어지는)는 올바르다.
정답

2

우리말을 영어로 잘못 옮긴 것은? (17. 지방직 7급)
예산은 처음 기대했던 것보다 약 25 퍼센트 더 높다.
 →The budget is about 25% higher than originally expecting.
시스템 업그레이드를 위해 해야 될 많은 일이 있다.
 →There is a lot of work to be done for the system upgrade.
그 프로젝트를 완성하는데 최소 한 달, 어쩌면 더 긴 시간이 걸릴 것이다.
 →It will take at least a month, maybe longer to complete the project.
월급을 두 배 받는 그 부서장이 책임을 져야 한다.
 →The head of the department, who receives twice the salary, has to take responsibility.

정답 & 해설

해설 
than 다음은 the budget is가 생략되었다. 생략된 부분을 재구성하면 <the budget is originally expecting (예산이 처음에 기대하고 있다) >가 된다. 기대하는 것은 사람이므로 이것은 의미가 맞지 않다. 예산은 기대되어지는 대상이므로 수동형인 expected가 되어야 한다. expecting → expected
There은 There + V + S 형식으로 쓰인다. a lot of work단수 주어이다. 따라서 단수동사 is가 온 것은 옳다. 우리말에서 [해야 될]은 미래와 관련된 표현이다. 미래에 쓰이는 준동사to do이므로 to be는 올바르다. workto be done의미상 수동관계이므로 to be done은 올바르다.
it takes + 목적어 + 시간 + to do = it takes + 시간 + (for 목적어) to do= ~하는데 ~의 시간이 걸리다
관계대명사 다음불완전한 절(=주어, 목적어, 보어 중 하나가 없는 절)이 온다. who 다음의 절(receives twice the salary)은 주어없는 불완전한 절이므로 올바르다. 주어인 The head of the department가 단수이므로 동사단수인 has가 왔다.
정답

3

다음 (A), (B)에 들어갈 말로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7. 기상청 9급)
 
Many government leaders are encouraging people to ride bikes more often. In many cities, people are ( A ) to use bikes instead of cars for short trips. Several cities have added bike paths and parking spaces for bikes to make bike riding easier and safer. Bicycle training is ( B ) for both children and adults. Learning the rules of the road and practising good riding skills help people become smarter, safer cyclists.
     
 (A)(B) (A)(B)
askingofferingaskingoffered
askedofferedaskedoffering

정답 & 해설

해석많은 정부 지도자들은 사람들이 자전거를 더 자주 탈 수 있도록 격려하고 있다. 많은 도시에서, 사람들은 (A) 짧은 여행을 위해 자동차 대신에 자전거를 사용한다. 몇몇 도시들은 자전거 탑승을 더 쉽고 더 안전하게 하기위해 자전거 경로와 자전거를 위한 주차 공 간을 추가했다. 자전거 훈련은 (B) 아동과 성인 모두를 위한 것이다. 도로 규칙을 배우고 좋은 승차 기술을 연습하면 사람들이 더 똑똑하고 더 안전하게 자전거를 타는 사람이 되는데 도움이 된다.
해설 
(A)사람들이 자전거 사용을 요청을 받는 것이므로 수동이다. 따라서 asked가 옳다.
(B)자전거 타는 훈련(Bicycle training)은 아이들과 성인들에게 제공되어지는 것이므로 수동is offered가 옳다.
정답

4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18. 법원직 9급)
 
In criminal cases, the burden of proof is often on the prosecutor to persuade the trier (whether judge or jury) ①that the accused is guilty beyond a reasonable doubt of every element of the crime charged. If the prosecutor fails to prove this, a verdict of not guilty is ②rendered. This standard of proof contrasts with civil cases, ③where the claimant generally needs to show a defendant is liable on the balance of probabilities (more than 50% probable). In the USA, this is ④referring to as the preponderance of the evidence.

형사 사건에서 입증의 책임은 종종 검사가 재판관 (판사이든 배심원이든)에게 그 피고는 기소된 모든 범죄와 관련된 합당한 이유 이상으로 죄가 있음을 설득해야 하는 것이다. 검사가 이를 증명하지 못하면 무죄 평결이 내려진다. 이 증거의 기준은 민사 사건과는 대조되는데, 민사 사건에서는 청구자가 일반적으로 피고가 확률의 균형 (50% 이상)에 대해 책임이 있음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 미국에서는 이것을 증거의 우세함으로 언급된다.

정답 & 해설

해설 
접속사 다음완전한 절(=주어, 목적어, 보어 중 생략된 것이 없는 절)이 온다. 이 영문에서 that 다음은 2형식으로 완전한 절이다.
render(선고하다, 만들다, 되게하다)는 타동사이다. render의 수동태는 is rendered(선고가 내려지다)이다.
where관계부사이다. 관계부사 다음완전한(=주어, 목적어, 보어 중 생략된 것이 없는 절)이 온다. 이 문장도 where 다음3형식으로 구성된 완전한 절이다. where 앞에는 콤마를 둘 수 있다. show 다음에 접속사 that이 생략되었다. 동사의 목적어가 that 절일 때 that을 생략하는 것은 흔한 일이다.
refer to A as B = A를 B라고 부르다. 수동태는 A be referred to as B이다. 이 문장에서 referring to 다음에 to의 목적어가 없다. 목적어가 없다는 점과 문장의 의미를 고려하면 수동태인 A be referred to as B의 형태이어야 한다. referring → referred
정답

5

다음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18. 국회직 9급)
 
Affording a home in one of Britain’s opulent seaside towns has long been way out of reach, even for ② the moderately rich. But now it seems that house prices in two of the smartest resorts have tumbled significantly in the last year. In the boating haven of Salcombe in South Devon, prices ③ have fallen 8.2%, according to the Halifax. And in Sandbanks in Dorset, ④ renowned for being the UK’s most expensive resort, prices ⑤ being down 5.6%.

영국의 부유한 해변마을 중 한 곳에 주택 한채를 마련하는 여유가 오랫동안 중간 정도의 부자들에게 조차도 닿을 수 없는 상태였다. 그러나 이제는 가장 똑똑한 리조트 중 2곳의 주택 가격이 지난해 크게 하락한 것 같다. South Devon에 있는 Salcombe의 보트 천국에서, Halifax에 따르면, 가격은 8.2 % 하락했다. 그리고 영국의 가장 값비싼 리조트로 유명한 Dorset의 Sandbanks에서 가격은 5.6% 하락했다.

정답 & 해설

해설 
afford = [타] ~할 여유가 있다. Affording a home(집 한 채를 마련하는 것)은 동명사구이다. 동명사하나이면 단수로 취급된다.
moderately(적절하게)는 부사이다. rich는 형용사이다. rich 다음은 명사인 people이 생략됐다. the rich(부유한 사람들)는 people를 생략하고 복수명사로 쓰인다.
prices복수명사이므로 복수동사have는 옳다. fallen과거분사이며 자동사이다.
renowned(유명한, 명성있는)는 renown(명성) + ed(가진)로 구성된 의사분사로서 형용사이며 Dorset수식한다.
문장에는 술어동사가 1개 있어야 한다. 그런데 이 영문에는 술어동사가 없다. 문맥을 고려하면 being이 술어동사로 바뀌어야 한다. being → have been
정답
6

목적격보어와 분사

 주어  +  동사  +    +  동사ing  (능동)
 동사ed   (수동)
의미상주어 목적격보어
목 = 목적어
목적어가 동사ing, 동사ed의 의미상 주어이다. 
[목적어(의미상주어) + (be) + 동사ing/ 동사ed]로 바꿔서 판단한다.
I can’t have you coming home late.
나는 네가 늦게 집에 오는 것을 내버려 둘 수 없다.
coming은 능동이며 you는 coming의 의미상 주어이다.
you (are) coming home late (네가 늦게 집에 오다)
I had my watch mended.
 나는 나의 시계가 고쳐지게 했다.
 mended는 수동이며 my watch는 mended의 의미상 주어이다.
 my watch (was) mended (나의 시계가 수리되었다)

기출 6회

17. 지방직 9급

17. 경찰직 2차

16. 국회직 9급

15. 국가직 9급

14. 기상직 9급

12. 법원직 9급

4/5

1

다음 밑줄 친 make의 문법상 올바른 형태를 고르시오. (16. 국회직 9급)
 
It is highly exhilarating to contemplate the progress make in the study of English since the opening years of this century. That assertion, too often repeated, that Englishmen are not really interested in their own language, is no longer valid. At last we English are showing an awakened interest in our mother tongue as something living and changing.
     
makingmade
is made  makes
has made  

금세기가 시작된 이후로 영어 공부의 진전을 생각하는 것은 매우 기쁘게 한다. 영국인이 자신의 언어에 정말로 관심이 없다는 주장이 너무 자주 반복되어,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 마침내 우리 영국인들은 우리 모국어에 대한 관심이 잠에서 깨어나서 살아 있고 변 화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정답 & 해설

해설한 문장에 술어동사2개가 존재하려면 접속사1개 있어야 한다. 그런데 It is ~ century.에는 접속사가 없다. 따라서 더 이상 술어동사는 들어갈 수 없다. is made, makes, has made술어동사들이다. 이미 문장에 술어동사인 is가 있으므로 이들은 들어갈 수 없다. 현재분사인 making와 과거분사인 made만 고려하면 된다. 명사 다음에 동사ing(능동)가 맞는지 동사ed(p.p.)가 맞는지는 둘 사이에 be동사를 넣어서 의미가 맞는지 보면 된다. 이것을 making에 적용해보면 [the progress (is) making in the study of English (진보가 영어 연구에서 만들어지고 있다)]가 된다. 이것은 의미가 맞지 않다. 인간이 진보를 이루어내는 것이지 진보가 뭔가를 만들어 내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 made에 적용해보면 [the progress (is) made in the study of English (진보가 영어 연구에서 이루어지고 있다)]가 된다. 이것은 의미가 맞다. 따라서 make는 made가 되어야 한다. ※ make the progress(진보하다)
정답
7

분사구문

 콤마  에 의해   주절에서 분리  되어 있는   분사  를   분사구문  이라 한다.
 동사ing (능동) + ~  , 주어 + 동사  
 동사ed (수동) + ~  , 주어 + 동사  
분사구문 주절
 Seeing the policeman  , he ran away.
 경찰을 보자, 그는 달아났다.
 Seeing ~은 분사구문이며, Seeing은 능동이다.
 Wounded in the legs  , he can’t walk.
 다리에 부상을 입어서, 그는 걸을 수 없다.
 Wounded ~는 분사구문이며, Wounded는 수동이다.

기출 10회

19. 국가직 9급

18. 교행직 9급

18. 법원직 9급

18. 소방직 공채

17. 국회직 9급

13. 서울시 9급

13. 지방직 7급

10. 국회직 8급

09. 국회직 8급

07. 법원직 9급

4/5

1

다음 빈 칸에 가장 적합한 것은? (13. 서울시 9급)
 
No one knew of the existence of the Indus culture until archeologists discovered it at the site of Harappa in the 1920s. Since then, some seventy cities, the largest ㉠                         Harappa and Mohenjo-Daro, have been identified. This urban civilization had bronze tools, writing, covered drainage systems, and a diversified social and economic organization. Though it ㉡                      the least understood of the early river valley civilizations, archeological evidence and inferences from later Indian life allows us to reconstruct something of its culture.
  
㉠ are  ㉡ remains as
㉠ be㉡ remained
㉠ being㉡ remained as 
㉠ being㉡ remains
㉠ are ㉡ remained 

archaeologist [ὰːrkiάlədʒist] [명] 고고학자 identify [aidéntəfài] [동] 동일시하다, 일치하다, ~임을 확인하다 civilization [sìvəlaiziʃən] [명] 문명, 문화 bronze [brɔnz] [명] 청동, 청동제의 물건, (물감의)청동색 drainage [dréinidʒ] [명] 배수, 하수 diversified [divə́ːrsəfàid] [형] 변화많은, 다양한, 다채로운, 다각적인 archeological [ὰːrkiəlάdʒikəl] [형] 고고학의 reconstruct [riˌkənstrəˈkt] [동] 재건하다, 개조하다, 부흥하다

정답 & 해설

해석고고학자들이 1920년대에 하라파유적지에서 그것을 발견할 때까지는 아무도 인더스 문화의 존재를 알지 못했다. 그 때 이후부터, 대략 70개의 도시들(가장 큰 것은 하라파와 모헨조다로)이 확인되었다. 이 도시 문명은 청동 도구, 글자, 덥개가 있는 배수 시스템 그리고 다양한 사회 경제적 조직을 갖추고 있었다. 비록 그것이 초기 강 유역 문명들의 최소한의 이해였지만, 고고학적인 증거들과 후기 인도인의 삶으로부터의 추론은 우리들에게 그 문화가 갖는 무언가를 복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해설 
빈 곳에 are이 들어가면 술어동사 2개가 된다. 술어동사 2개이면 접속사 1개가 있어야 한다. 이 영문에 접속사는 없고 술어동사 1개(have been)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술어동사 are은 들어갈 수 없다. being이 들어가면 분사구문이 된다. 분사구문부사구이다. 따라서 빈 곳은 being이 옳다.
remain은 [remain + 보어] 형식으로 쓰인다. remains와 보어 사이에 as는 필요없다. 따라서 빈 곳은 remains가 옳다.
정답
8

분사구문의 위치

 분사 구문의 위치  는 문장의   첫머리  ,  중간  ,  끝부분  이다.             
 Playing the piano  , the girl did not know.
피아노를 치고 있었기 때문에, 그 소녀는 알지 못했다. 
The bus,   starting at five  , arrives in Paris at ten.
버스는 5시에 출발해서 10시에 파리에 도착한다.
He entered the room,   switching on the light  .
그는 방에 들어가서 불을 켰다. 

기출 8회

19. 국회직 9급

18. 법원직 9급

17. 교행직 9급

17. 국회직 9급

16. 국가직 7급

15. 국가직 7급

08. 국회직 8급

07. 국회직 8급

3/5

1

다음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17. 교행직 9급)
 
From a neurological perspective, every time you encounter something new, your brain tries to record as ① much information as possible. Thousands of neurons are stimulated, which help code and store this information, ultimately ② caused you to feel and notice a lot. But as time goes on, the “new” experience becomes old, and your brain begins to use less and less energy ③ to encode information—simply because it already knows it. If you drive to and from work every day, the drive isn’t stimulating your brain ④ nearly as much as the first time you took that route.

신경 학적 관점에서, 당신이 새로운 무언가를 발견할 때마다, 당신의 뇌는 가능한 많은 정보를 기록하려고 한다. 수천 개의 뉴런이 자극을 받아서, 정보를 코드화하고 저장하는데 도움을 주며, 당신으로 하여금 많은 것을 느끼고 알아차리게 한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새로운”경험은 오래되고 그리고 당신의 뇌는 정보를 코드화하는데 점점더 적게 에너지를 사용하기 시작한다. 왜냐하면 뇌는 이미 그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만일 당신이 매일 직장을 오가며 운전하는 경우, 운전은 처음으로 그 길을 택한 때와 거의 비슷하게 뇌를 자극하지 않습니다.

정답 & 해설

해설 
much불가산명사와 결합한다. information불가산명사이다. 
caused가 과거동사가 되면 술어동사3개(are, help, caused)가 된다. 술어동사3개이면 접속사2개 필요하다. 그런데 이 영문에는 접속사which 밖에 없다. 따라서 caused는 과거동사 아니라 [과거분사]이다. 4형식의 수동태가 아니면 과거분사(수동) 다음에는 목적어 올 수 없다. 그런데 이 영문에는 타동사의 과거분사인 caused 다음에 목적어 you존재한다. 따라서 이 부분이 잘못되었다. 타동사 다음에 목적어가 존재하려면 능동형인 causing이 되어야 한다. caused → causing
to encode information는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이다. encode는 [~를 암호문으로 바꾸다, 부호화하다]는 뜻의 타동사이다. 따라서 목적어 information이 있는 것은 올바르다.
nearly = [부사] 거의, 대략. 이 문장에서 nearly는 동사를 수식한다. the first time과 you took 사이에는 관계부사 when이 생략됐다. 
정답

2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18. 법원직 9급)
 
In recent years, peer-peer (P2P) lending has ①become the poster child of the alternative finance industry. In a 2015 report Morgan Stanley predicted that such marketplace lending ②would command $150 billion to $490 billion globally by 2020. P2P lending is the practice of lending money to individuals or businesses through online services that match lenders-investors directly with borrowers, ③enabled both parties to go around traditional providers such as banks. Lenders typically achieve better rates of return, while borrowers — individuals and SMEs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 get access to flexible and competitively priced loans. For investors, the benefits are attractive. Being ④matched with a borrower can take anywhere from a few days to a few hours. And where a bank might typically earn under 2% on personal lending, P2P returns can be more than three times that.

최근 P2P(peer-peer) 대출은 대체 금융 산업의 전형(poster child)이 되어 왔다. 2015년 보고서에서, 모건 스탠리(Morgan Stanley)는 그러한 시장 대출이 2020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1,500억 달러에서 4,900억 달러를 찾이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P2P 대출은 대출 기관과 투자자를 직접 연결하는 온라인 서비스를 통해 개인이나 기업에 돈을 대출하는 관행이며, 양측이 은행과 같은 전통적인 공급자들에게 갈 수 있게 한다. 대출 기관들은 개인 및 중소기업과 같은 차용자가 융통성 있고 경쟁력 있는 가격의 대출에 접근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대출 기관이 더 나은 수익률을 달성한다. 투자자에게는 수익이 매력적이다. 차용자와 연결되는 것은 어디에서나 며칠에서 수 시간이 걸릴 수 있다. 개인 대출을 통해 은행이 일반적으로 2% 미만으로 벌어 들일 수 있는 곳에서는 P2P 수익률이 그것의 3배 이상 될 수 있다.

정답 & 해설

해설 
become자동사이며 과거분사이다. 자동사는 보어(the poster child)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become은 올바르다.
주절현재동사이면 종속절 동사미래will로 표현된다. 만일 주절과거동사이면 종속절 동사미래would로 표현된다. 종속절에 끝에 있는 by 2020미래시간이다. 미래시간이면 종속절 동사will이나 would가 와야 한다. 이 문장의 주절이 과거동사(predicted)이므로 종속절 동사의 미래를 would로 표현한 것은 옳다.
enable = ((5형식)) ~로 하여금 ~할 수 있게 하다 ((3형식)) ~을 가능하게 하다. enabled ~banks는 분사구문이다. 타동사 다음에 목적어(both parties)가 있으면 타동사는 능동형만 가능하다. 따라서 enabled는 능동형인 enabling으로 되어야 한다. enabled → enabling
match = [타] ~와 어울리는 것을 찾아주다, ~에 필적하다, ~과 조화하다, ~에 어울리다. match의 수동태는 be matched이다. 이 영문에서 Being matched는 올바르다. Being matched with a borrower는 동명사이다.
정답

3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16. 국가직 7급)
 
Much of the debate over police drones in the United States ①has been over privacy. However, a new concern has come to light: the threat of hackers. Last year, security researcher Nils Rodday claimed he could take over a drone that ②cost between $ 30,000 and $ 35,000 ③used just a laptop and forty dollars’ ④worth of special equipment.

정답 & 해설

해석미국의 경찰 무인기에 대한 많은 논쟁은 사생활에 관한 것이었다. 그러나 새로운 걱정거리가 알려지게 되었다; 해커들의 위협이다. 지난해 닐스로드 데이(Nils Rodday)라는 보안 연구원은 노트북과 40달러 가치의 특수장비를 이용해서 $30,000 ~ $35,000의 비용이 드는 무인 항공기를 탈취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해설 
has의 주어much이다. much단수이므로 단수동사 has는 올바르다.
last year(지난해)은 과거이므로 과거동사cost는 올바르다.
use(사용하다, 이용하다)는 타동사이다. used ~ equipment분사구문이다. 분사구문에서 used는 타동사의 과거분사로서 수동태의 일부분이다. 수동태 다음에는 목적어존재할 수 없다. 그런데 used 다음목적어a laptop ~ equipment가 있다. 이것이 잘못이다. 타동사 다음에 목적어가 있으면 타동사는 능동형만 가능하다. used → using
worth = [명] 가치 [형] ((서술적)) ~의 가치가 있는. worth는 앞의 소유격(forty dollars’)으로 부터 한정되고 뒤의 of special equipment로 부터 수식받는 명사이다.
정답

4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은 것은? (15. 국가직 7급)
 
Russian military vehicles crossed the border into Ukraine on Thursday, ①prompted a skirmish between Ukrainian and Russian forces, acting Ukrainian Interior Minister Arsen Avakov said. According to Avakov, tanks crossed the border at a checkpoint ②controlled by pro-Russian separatists in the Luhansk region of eastern Ukraine. Armored vehicles and artillery were part of the columns, Avakov said, ③cited Ukrainian intelligence. The incident ④was occurred in the midst of Ukrainian leaders’ campaign of violence against people living in the largely pro-Russian east.

러시아 군용 차량이 목요일 우크라이나 국경을 넘어서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군대 사이의 충돌을 촉발시켰다고 아르센 아바코프 우크라이나 내무장관 직무대행이 밝혔다. 아바코프(Avakov)에 따르면, 탱크는 동부 우크라이나의 루한 스크 지역의 친러시아 분리 주의자들에 의해 통제되는 검문소에서 국경을 넘었다. 무장 차량과 대포가 행렬의 일부였다고 우크라이나 정보국을 인용하여 아바코프(Avakov)가 말했다. 이 사건은 우크라이나 지도자들에 의해 진행된 친 러시아 동부지역에 살고있는 사람들에 대한 폭력 운동의 한 가운데에서 발생했다.

정답 & 해설

해설 
prompt = [타] 자극하다, 촉발하다, 유도하다. prompted 과거분사이며 수동의 뜻을 갖는다. 타동사 수동태 다음 목적어 올 수 없다. 그런데 a skirmishprompted목적어이므로 잘못이다. 타동사 다음에 목적어가 있으려면 타동사능동형이어야 한다.  prompted → prompting
control = [타] 통제하다, 지배하다, 감독하다. 타동사 목적어 능동태 다음 수동태 앞위치한다. 이 영문에서 controlled과거분사로서 수동태의 일부분이다. 따라서 목적어는 앞의 checkpoint이다. 따라서 올바르다.
cite = [타] 인용하다, 소환하다. cited는 분사구문의 일부분이며 과거분사(수동)이다. 타동사수동태 다음목적어올 수 없다. 그런데 Ukrainian intelligencecited목적어이므로 잘못이다. 타동 사 다음에 목적어가 있으려면 타동사는 능동태이어야 한다. cited → citing
occur = [자] (사건이) 일어나다, 생기다. occur자동사이므로 수동태불가하다. was occurred수동태이므로 능동태로 되어야 한다. was occurred → occurred
정답
9

분사구문의 의미상 주어

 분사 앞  에   명사  가   없다면    문장의 주어  가   의미상 주어  이다.  
 분사 앞  에   명사  가   있다면    명사    의미상 주어  이다.  
 Opening   the window,  Tom   looked out.
창문을 열고 톰은 밖을 내다봤다. 
Tom은 looked의 주어이자 opening의 의미상주어이다.
 The weather    being   fine,   We   were happy.
날씨가 좋아서 우리는 행복했다.
the weather이 being의 의미상 주어이다.

기출 10회

19. 국가직 9급

19. 국회직 9급

19. 경찰직 1차

18. 경찰직 2차

18. 지방직 9급

15. 국가직 9급

11. 서울시 9급

11. 사복직 9급

08. 지방직 7급

07. 국회직 8급

4/5

1

빈칸에 알맞은 말을 넣으시오. (11. 서울시 9급)
 
Having been selected to represent the Association of Korean Dancers at the Annual Convention,                             .
  
the members applauded her 
she gave a short acceptance speech
a speech had to be given by her
the members congratulated her
given a short acceptance speech

정답 & 해설

해석연례모임에서 한국 무용 협회를 대표하기 위해 선택되어진 그녀는 짧은 수락 연설을 했다.
해설분사구문에서 분사(Having been selected) 에 분사의 의미상 주어없다면 주절의 주어와 같아서 생략된 것이다. 영문에서 Having been selected 앞에 의미상 주어없다. 따라서 빈 곳에 주절을 찾아 넣을 때 이 부분을 고려해야 한다. Having been selected(선출되었다)는 수동의 뜻이다. 선출되어지는 것사람이다. 따라서 빈 곳에 들어갈 주절 주어람이어야 한다. 선택지에서 사람을 주어로 하는 것은 the members와 she이다. the members주어로 하면 문맥상 의미가 맞지 않다. 따라서 she로 시작하는 she gave a short acceptance speech가 옳다.
정답

2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15. 국가직 9급)
The main reason I stopped smoking was that all my friends had already stopped smoking.
That a husband understands a wife does not mean they are necessarily compatible.
The package, having wrong addressed, reached him late and damaged.
She wants her husband to buy two dozen of eggs on his way home.

정답 & 해설

해석 
내가 담배를 끊은 주된 이유는 모든 나의 친구들이 이미 담배를 끊었기 때문이다.
남편이 아내를 이해한다는 것이 그들이 반드시 양립 가능하다는 것은 아니다.
그 소포는 주소가 잘못 적혀 있었서 그에게 손상된채 늦게 도착했다.
그녀는 그녀의 남편이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달걀 2다스를 사기를 원한다.
해설 
I stopped 앞은 관계부사 why가 생략됐다. [명사 + S + V] 형식은 명사S 사이관계대명사관계부사 중 하나가 생략됐다.
목적어로 that절이 오면 흔히 that은 생략된다. mean 다음접속사 that생략됐다.
having ~addressed는 분사구문이며 의미상 주어The package이다. address는 [~에 주소를 쓰다]는 뜻의 타동사이다. The package having wrong addressed(소포가 주소를 잘못 썼다)는 문맥상 의미가 맞지 않다. 또한 타동사인 addressed 다음목적어없다. wrong형용사이므로 addressed수식할 수 없고 부사형 wrongly으로 바꿔야 한다. 문맥상 의미를 고려하면 having addressed수동형으로 되어야 한다. damaged타동사의 과거형이다. 타동사 다음에는 목적어가 있어야 하는데 없다. 타동사 다음에 목적어가 없으면 수동태인 was damaged로 바꿔야 한다. having wrong addressed → having been wrongly addressed,  damaged → was damaged
정답

3

우리말을 영어로 잘못 옮긴 것은? (18. 지방직 9급)
모든 정보는 거짓이었다.
 →All of the information was false.
토마스는 더 일찍 사과했어야 했다.
 →Thomas should have apologized earlier.
우리가 도착했을 때 영화는 이미 시작했었다.
 →The movie had already started when we arrived.
바깥 날씨가 추웠기 때문에 나는 차를 마시려 물을 끓였다.
 →Being cold outside, I boiled some water to have tea.

정답 & 해설

해설 
All이 가산명사의 복수를 받을 때는 [복수 취급], 불가산명사를 받을 때는 [단수 취급]한다. information불가산명사이므로 All단수이다. 따라서 단수동사인 was는 옳다.
should have p.p.= ~했어야 했는데 하지않은 것이 유감이다
대과거(had + p.p.)는 과거이전에 일어난 일을 나타낸다. 우리가 과거에 도착한(arrived) 것보다 영화가 그 전에 상영을 시작했다(had started). 따라서 had started는 올바르다.
Being cold outside분사구문이다. 분사구문에서 Being의 의미상주어가 바로 앞에 없다. 이때 Being의미상 주어주절주어 I가 오게 된다. 그런데 I를 주어로 하면 문맥상 의미가 맞지 않다. 따라서 Being cold의미상 주어It을 둬야 한다. 자연현상의 주어비인칭 It을 쓴다. Being → It being
정답

4

다음 빈칸에 들어갈 표현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8. 경찰직 2차)
 
The chameleon’s camouflage is very effective. As a result,                  from a distance, it is indistinguishable from its environment.
     
seeingthey are seen
to be seenseen

정답 & 해설

해석 카멜레온의 위장은 매우 효과적입니다. 결과적으로 멀리서 보였을 때 환경과 구별 할 수 없다.
해설 주절 앞에 콤마가 있고, 콤마 앞에 오는 준동사는 분사구문이다. 분사구문은 분사를 중심으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빈 곳은 분사인 seeing, seen 중 하나가 들어간다. 먼저 목적어위치를 알아야 한다. 적어의 위치는 타동사전치사 , (be) + p.p. 이다. seeing타동사 + ing이므로 seeing 다음목적어가 있어야 된다. 그런데 빈 곳 다음에 목적어가 없다. 따라서 빈 곳에 seeing들어갈 수 없다. seenp.p.(과거분사)이므로 목적어오지 않는다. 따라서 빈 곳은 seen이 옳다. seen 앞에는 being이 생략됐다.
정답

5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11. 사복직 9급)
 
The week before I was scheduled to fly home from St. Louis, there ①were periods of bad weather-severe storms and tornadoes. I thought there was a good chance my flight to New York would be canceled. But that morning the weather was flyable and we took off as scheduled. The plane was full, every seat ②to take. We had not been aloft for long-the seat belt sign was still on-when the plane began to shudder. I travel often and have never been afraid of ③flying. I assumed we were going through ④what is normally called turbulence, though I had never felt such lurching.

내가 세인트 루이스에서 집으로 비행할 예정이었던 전 주에, 심한 폭풍우와 토네이도가 발생한 좋지못한 기간의 날씨였다. 나는 뉴욕행 나의 비행기가 취소될 수도 있는 좋은 기회가 있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그날 아침 날씨는 비행하기에 알맞았고 우리는 예정되로 이륙했다. 비행기는 만석이었고, 모든 좌석은 잡혀있었다. 우리는 오랫동안 하늘 높이 있지는 않았으며 – 좌석 벨트 신호는 여전히 켜져있었고 – 그때 비행기가 흔들리기 시작했다. 나는 종종 여행을 했으며 비행에 대해 결코 두려워해본 적이 없었다. 나는 비록 그런 갑작스런 흔들림을 결코 느껴본 적은 없지만, 나는 일반적으로 난기류라고 불리는 것을 통과하고 있다고 생각했다.

정답 & 해설

해설 
주어가 복수명사이므로 복수동사가 온 것은 올바르다.
주절과 콤마(,)로 분리된 준동사는 [부정사의 부사적 용법중 조건]일 때와 [분사구문]일 때이다. every seat to taken은 주절에서 콤마에 의해 리되어 있다. 흔히 부정사는 조건의 뜻일 때 주절에서 콤마에 의해 분리된다. 문맥상 every seat to taken는 조건의 의미가 아니라 원인[이유]에 해당된다. 따라서 부정사로 표현된 것은 잘못이다. 그렇다면 every seat to take는 분사로 바뀌어야 한다. to를 제거하고 재구성해 보면 every seat is taken → every seat being taken → every seat (being) taken(예약된 모든 좌석)으로 되어야 한다. every seat to take → every seat taken
flying동명사이며 전치사 of목적어로 올바르다.
관계대명사 다음불완전한 절(=주어, 목적어, 보어 중 하나가 없는 절)이 온다. what은 관계대명사이며 what 다음에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절이다. 또한 what자체가 선행사이므로 앞에 선행사없다. 이 영문에서도 what 앞에는 전치사 through가 있으며 선행사는 없다. 따라서 what은 올바르다. 
정답
10

접속사 + 분사

분사구문의 뜻을 명확히 하려고   분사     앞  에   접속사  를   둘 수 있다  .             
 시간 when  동사ing / 동사ed 
 while 
조건 unless 
 if 
양보 though 
양태 as if 
  접속사+ 분사
 Unless    wounding  , he could catch me. (X)
부상당하지 않았다면, 그는 나를 잡았을 텐데. 
unless은 접속사이다. wounding → wounded
wounding의 의미상주어는 he이며 둘은 의미상 수동이다. 

기출 4회

17. 국회직 9급

14. 국가직 9급

11. 지방직 9급

09. 지방직 7급

2.5/5

1

다음 중 어법상 어색한 것을 고르시오. (09. 지방직 7급)
 
Advertising shapes our perception of the world ①as surely as architecture shapes our impression of a city. Good, responsible advertising can serve as a positive influence for change, ② while generated profits. Of course, the problem is that ③the obverse is also true: advertising, like any form of mass communications, can be a force ④for both ‘good’ and ‘bad’.

정답 & 해설

해석광고는 건축 양식이 도시에 대한 우리의 인상을 형성하는 만큼 확실히 세계에 대한 우리의 인식을 형성한다. 좋은, 책임 있는 광고는 이윤을 내는 동안 변화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물론, 문제는 반대 또한 사실이다. 광고는, 대중 매체의 어떤 형태처럼, 선과 악에 대한 힘일 수 있다.
해설 분사구문(while generated profits). 분사구문에서는 의미를 명확하게 하기위해 분사 앞 접속사둘 수 있다. 이 영문은 과거분사인 generated 앞접속사while을 생략하지 않고 두었다. generate는 [~를 발생시키다, 생기게 하다]를 뜻하는 타동사이다. 타동사목적어능동태 다음수동태 앞에 온다. generated는 과거분사(수동)이다. 수동 의미의 과거분사 다음에는 목적어올 수 없다. 수동 의미의 과거분사generated 다음목적어profits가 있으므로 잘못이다. 타동사 다음에 목적어가 있으려면 동사는 능동형이어야 한다. generated profits → generating profits
정답
11

with + 신체부분 + 분사

 신체부분  이 뇌의 명령을 받아 움직이면  수동  이 되어  과거분사  가 온다. 이때  신체부분   의미상 주어  가 된다. 하지만 눈물이나 심장처럼  능동  으로 표현되는 것들도 있다.
 with one’s heart beating 
심장이 두근거리면서
 with one’s legs crossed 
다리가 포개어진 채
 with one’s eyes shut 
눈이 감겨진 채
 with one’s arms folded 
 팔짱을 낀 채
 with tears streaming 
눈물이 흘러내리면서
I walked on the stage, with my heart beating.
나는 두근거리는 마음으로 무대로 걸어갔다.

기출 1회

11. 지방직 7급

1.5/5

1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11. 지방직 7급)
 
Have you ever been at sea in a dense fog, ① when it seemed as if a tangible white darkness ② shut you in, and the great ship, ③ tense and anxious, groped her way to ward the shore with plummet and sounding-line, and you waited ④ with beaten heart for something to happen? I was like that ship before my education began.

정답 & 해설

해석만일 당신이 자욱한 안개가 낀 바다에 있어 보게 되면, 마치 만질 수 있을 듯한 흰 어둠이 당신을 안에 가둔것 같을 때, 그리고 긴박하고 그리고 불안한 큰 배가 바다의 깊이를 재는 도구와 바다의 깊이를 재는 선을 갖고 해안을 향해 자신의 항로를 더듬어 찾아갈 때, 그리고 당신은 무언가 일어날 것 같은 두근 거리는 마음으로 기다릴때, 나는 나의 교육이 시작되기 전에 그 배와 같았다.
해설심장이 뛰는 것능동이다. 능동은 [동사+ing]로 표시한다. 따라서 심장이 두근 거리는 즉, 심장이 뛰는 것beating heart [heart beating]으로 표시한다. beaten → beating
정답
12

분사형 전치사 / 접속사

 분사구문  의   의미상 주어   일반인인  we, you, they  일 때, 이것을 생략하고  분사   를   접속사  나   전치사  처럼 쓰는 것을  분사형 접속사, 분사형 전치사  라 한다.
 considering   ~을 고려하면 
 assuming   ~라 한다면 
 granting / granted   ~라 할지라도 
 including   ~을 포함하여 
 concerning /regarding   ~에 관해 
 excepting /excluding   ~제외하고 
 following   ~한 후 
 given   ~을 고려할 때 
He has many books, considered he’s young. (X)
어리다는 점을 고려하면, 그는 책이 많다.
he is young은 목적절이므로 능동인 considering이 옳다.
considered → considering

기출 2회

18. 교행직 9급

11. 국가직 9급

2/5

1

다음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은? (11. 국가직 9급)
 
I ① looked forward to this visit more than one ② would think, ③ considered I was flying seven hundred miles to sit alongside a ④ dying man. But I seemed to slip into a time warp when I visited Morrie, and I liked myself better when I was there. 

정답 & 해설

해석나는 누군가 생각하는 것 보다 더 많이 이 방문을 고대했다, 나는 죽어가는 사람 옆에 앉아 있기 위해 700마일을 비행하고 있는 것을 고려해 보면. 그러나 내가 모리를 방문했을 때 시간적 착각에 빠진것 같았고, 그리고 나는 그곳에 있을 때 나 자신을 더 좋아했다.
해설 
look forward to(~을 고대하다)에서 to전치사이며 목적어로 명사나 동명사가 온다. 이 영문에서는 this visit이 목적어이다.
think(생각하다)는 자동사이다. 비교급시제일치를 하지 않는다.
consider은 [고려하다, 생각하다]를 뜻하는 타동사이다. considered타동사과거분사이므로 considered 다음목적어 있으면 틀린다. 그런데 considered 다음에 목적어(I was ~)가 있으므로 잘못이다. 타동사 다음에 목적어가 있을때 타동사는 능동만 가능하다.  considered → considering
[관사 + 동사ing + 명사]가 맞는지 [관사 + 동사ed + 명사]가 맞는지는 동사ing [동사ed]를 명사 다음에 놓고 그 사이에 be동사를 넣어서 의미가 맞는지 확인해 보면 된다. 이것을 dying에 적용해보면 [a man (is) dying (어떤 사람이 죽어가고 있다)]가 된다. 이것은 문맥상 의미가 맞다. 따라서 올바른 표현이다.
정답

2

다음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18. 교행직 9급)
 
Sustainability is a difficult and complex issue, and an elusive one. It is enormously important ① since it has to do with nothing less than the chances of humankind surviving on this planet. At the rate that the human race is using scarce and limited resources it appears that, unless measures are taken now ― and if there is still time ― the future of civilization, at least as we understand it now, ② is uncertain, to say the least. It follows that such a complex subject has no simple and straightforward treatment, especially ③ considered that sustainability is not a goal but a process. It leads to a better life for the present generation and survival for generations to come, ④ enhancing their ability to cope with the world that they will inherit.

지속가능성은 어렵고 복잡한 문제이며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이다. 그것은 다름 아닌 바로 이 행성에서 생존하는 인류의 기회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인류가 희소하고 제한된 자원을 사용하고 있는 속도로 볼 때, 만일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다면 – 그리고 아직 시간이 있다면 – 문명의 미래는 – 적어도 우리가 지금 이해하고있는 한 – 조금도 과장하지않고 불확실한 것 같다. 그러한 복합 주제는 간단하고 직설적인 처리가 없으며, 특히 지속 가능성은 목표가 아니라 과정으로 간주한다. 그것은 현 세대의 더 개선된 삶에 이르게 하고 그리고 다가오는 세대의 생존에 이르게 하며, 그들이 상속받 을 세계에 대처하는 그들의 능력을 향상시킨다.

정답 & 해설

해설 
since(~이기 때문에)는 이유접속사이다. nothing less than = 다름 아닌 바로, 그야말로
주어(the future of civilization)가 단수이므로 is올바르다. to say the least = 조금도 과장하지 않고
consider은 [고려하다, 생각하다]를 뜻하는 타동사이다. considered타동사과거분사(수동)이다. 4형식 수여동사를 제외한 타동사과거분사(수동) 다음에는 목적어올 수 없다. 그런데 considered 다음에 목적어(that sustainability is ~)가 있으므로 잘못이다.  considered → considering
enhance는 [~을 높이다. 강화하다]를 뜻하는 타동사이다. enhancing는 [타동사+ing]이므로 그 다음에 목적어있어야 하며 their ability목적어이므로 옳다. enhancing의미상 주어주절의 주어인 It이다.
정답
13

나이를 고려해 볼때

   compared with one’s age 
=  considering one’s age 
=  for one’s age 
=  taking one’s age into consideration 
나이를 고려해 볼 때
Comparing with his age, he is clever. (X)
나이를 고려할 때, 그는 총명하다. 
comparing은 [타동사+ing]이므로 다음에 목적어가 없어 틀렸다.
comparing → compared

기출 1회

17. 국회직 9급

1/5

1

다음 문장 중 어법상 틀린 것은? (17. 국회직 9급)
Not having met him before, I don’t know him.
Comparing with his sister, she is not so pretty.
This is a picture of a couple walking together.
Returning to my apartment, I found my watch missing.
The old man could not see his son until allowed to do so.

① 전에 그를 만난적이 없기 때문에, 나는 그를 모른다.
② 그의 누이와 비교했을 때, 그녀는 그렇게 예쁘지는 않다.
③ 이것은 함께 걷고 있는 커플의 사진이다.
④ 내 아파트로 돌아가서, 나는 나의 시계가 없어진 것을 발견했다.
⑤ 그 노인은 그렇게 하도록 허락받을 때까지 아들을 볼 수 없었다.

정답 & 해설

해설 
Having met의미상 주어 I이다. 뜻을 고려하면 그를 현재 모르는 이유가 과거에 만난적이 없기 때문이다. 두 절의 시제가 다르면 분사는 Having + p.p.를 쓴다. 따라서 Having met옳다. 분사의 부정은 not + 분사이므로 Not having met는 옳다. 
comparing타동사+ing이므로 그 다음에 목적어 있어야 하는데 없다. 타동사+ing 다음에 목적어없으면 수동형타동사+ed (p.p.)로 바꿔야 한다. Comparing with his sister → Compared with his sister
[명사 + 동사ing(능동)]가 맞는지는 둘 사이에 be동사 넣어서 뜻을 확인해 보면 된다. walking에 적용해보면 [a couple (is) walking together(커플이 함께 걷고 있다)]가 된다. 이것은 문맥상 의미가 맞다.  
Returning의미상 주어I이다. 내가 나의 아파트로 돌아온 것이므로 IReturning능동관계로 의맞다. missing은 [없어진, 행방불명인, 실종된, 분실된] 뜻의 형용사이다. 
시간접속사 다음에 주어주절주어같고 be동사이면 시간접속사 다음에 [주어 + be동사]는 생략될 수 있다. until (the old man is) allowed to do so에서 the old man is생략된 것이다. 
정답
14

with + 부대상황

 with + 부대상황  이란   어떤 동작/ 상태  에   또 다른 동작/ 상태  가   부가된 것  이다. with는 두 동작이나 상태가 동시동작이나 연속동작을 나타내게 한다.
 with  명사  + 동사ing (능동)
 동사ed  (수동)
 
↳ with = ~와 함께, ~ 한 채, ~ 하면서 
↳ 명사가 동사ing, 동사ed의 의미상 주어이다.
 with one’s boots (being) on/off  
부츠를 신은 채 / 벗은 채
 with the door (being) open 
문을 연채
 with one’s eyes (being) open  
  눈을 뜬 채 
 with one’s head (being) against a cushion  
  머리를 방석에 기댄 채
  ※ being을 생략하고 쓰는 표현들이다.
He walked on, with his dog running beside him.
그는 계속 걸었고, 그의 개는 옆에서 달리고 있었다.
He sat there, with his legs crossed.
그의 다리가 포개어진 채, 그는 그곳에 앉아 있었다.

기출 5회

18. 지방직 7급

18. 경찰직 3차

17  기상직 9급

16. 서울시 7급

15. 지방직 7급

2/5

1

우리말을 영어로 가장 잘 옮긴 것은? (18. 지방직 7급)
그는 옷을 모두 입은 채 물속으로 곧장 걸어갔다.
   
While putting on all of his clothes, he walked straight into the water.
On wearing all of his clothes, he walked straight into the water.
He walked straight into the water, dressing all of his clothes.
He walked straight into the water with all of his clothes on.

정답 & 해설

해설 
while(~하는 동안 : 동작이나 상태의 계속되고 있는 때를 나타냄)은 문맥상 뜻이 맞지 않다.
on(~하자 마자)은 문맥상 뜻이 맞지 않다.
dress = [타] ~에 옷을 입히다 ((in)), 옷을 만들어 주다, ~을 장식하다. dressing all of his clothes → dressed in all of his clothes  
[옷을 모두 입은 채]와 [물속으로 걸어갔다]는 부대상황(=동시동작, 연속동작)이다. 이 표현은 분사구문with + 부대상황으로 나타낼 수 있다. with all of his clothes (being) on이 [옷을 모두 입에 문 채] 뜻이다.
정답